[한국사상사] 퇴계의 천인합일 철학

 1  [한국사상사] 퇴계의 천인합일 철학-1
 2  [한국사상사] 퇴계의 천인합일 철학-2
 3  [한국사상사] 퇴계의 천인합일 철학-3
 4  [한국사상사] 퇴계의 천인합일 철학-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상사] 퇴계의 천인합일 철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개요

2. 우주의 원리, 理

3. 주자의 모순 해결

4. 만물의 형상, 氣

5. 理와 氣의 관계

6. 인간의 본성에서 사회규범으로, 性

7. 사단(四端)과 칠정(七情), 선악의 가능성

8. 선악의 철학적 귀결

9. 천인합일사상에서 확보된 사회규범의 당위성과 객관성


본문내용
3. 주자의 모순 해결
그런데 주자학을 계승한 퇴계는 우주론 측면에서의 주자의 이(理) 철학에서 모순점을 발견하게 됩니다. 주자는 이(理)(원두본연처로서의 이)가 창조의 능력이 없음을 주장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만물을 주재하는 역할을 인정함으로서 모순을 띠게 된다.
하지만 퇴계는 이(理)가 동과 정의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고 보았다. 즉 창조의 능력도 있고 만물을 주재하는 원리이기도 한다는 것이다. 리가 동정의 성질을 지니게 된다면 기의 동정에 편승할 필요가 없게 되며 또한 기를 이기 관계의 중개자로 하여 이(理)가 만물을 조작하는데 길을 틀 필요 또한 없게 된다. 그러나 이(理) 또한 직접적으로 만물을 생기게 하는 것이 아니며 여러 층차의 연진을 거쳐 세계 만물을 존재하게 하는 것이다.

4. 만물의 형상, 氣
기(氣)란 형상을 만드는 재료이며 사람과 사물이 지니는 형상이 모두 천지의 기(氣)인 것이다. 퇴계의 철학 논리 구조 안에서 기는 바로 우주의 기화가 사물을 형성하는 재료이며 또한 윤리도덕에서의 기품, 기질의 성질인 것이다.
5. 理와 氣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