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훈가사 `우부가`와 `치산가` 특성 연구

 1  교훈가사 `우부가`와 `치산가` 특성 연구-1
 2  교훈가사 `우부가`와 `치산가` 특성 연구-2
 3  교훈가사 `우부가`와 `치산가` 특성 연구-3
 4  교훈가사 `우부가`와 `치산가` 특성 연구-4
 5  교훈가사 `우부가`와 `치산가` 특성 연구-5
 6  교훈가사 `우부가`와 `치산가` 특성 연구-6
 7  교훈가사 `우부가`와 `치산가` 특성 연구-7
 8  교훈가사 `우부가`와 `치산가` 특성 연구-8
 9  교훈가사 `우부가`와 `치산가` 특성 연구-9
 10  교훈가사 `우부가`와 `치산가` 특성 연구-10
 11  교훈가사 `우부가`와 `치산가` 특성 연구-11
 12  교훈가사 `우부가`와 `치산가` 특성 연구-12
 13  교훈가사 `우부가`와 `치산가` 특성 연구-13
 14  교훈가사 `우부가`와 `치산가` 특성 연구-14
 15  교훈가사 `우부가`와 `치산가` 특성 연구-15
 16  교훈가사 `우부가`와 `치산가` 특성 연구-16
 17  교훈가사 `우부가`와 `치산가` 특성 연구-17
 18  교훈가사 `우부가`와 `치산가` 특성 연구-18
 19  교훈가사 `우부가`와 `치산가` 특성 연구-19
 20  교훈가사 `우부가`와 `치산가` 특성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훈가사 `우부가`와 `치산가` 특성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교훈가사의 개념
2.1. 교훈시가의 역사적 전개
2.1.1. 18세기 이전의 교훈시가 - 교훈시조
2.1.2. 18세기 이후의 교훈시가 - 교훈가사
2.2.교훈가사의 주제의식
2.2.1. 오륜가류
2.2.2. 농부가류
2.2.3. 권학가류
2.2.4. 치산가류
2.2.5. 계녀가류

3. 교훈가사의 대표작품
3.1. 우부가
3.1.1. 우부가에 나타나는 교훈가사의 장르적 특성
3.1.2. 우부가 원문
3.2. 치산가
3.2.1. 치산가에 나타나는 교훈가사의 장르적 특성
3.2.2. 치산가 원문

4.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 연구사 검토 및 연구방법

교훈가사란 말 그대로 앞으로의 행동이나 생활의 지침이 될 만한 가르침을 주 내용으로 담고 있는 가사이다. 이는 가사 장르의 문학적 제 1기능인 미적쾌락보다는 교훈에 그 목적을 두는 것으로, 다시 말해 독자에게 철학적‧종교적 진리나 도덕적 식견을 가르치려는 의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교훈가사는 앞서 말 한대로, 미적쾌락보다 교훈을 중시하는 특성 때문에 문학적 가치가 떨어진다고 여겨져 문학사적 평가에서 도외시 되어왔다. 그러나 모든 문학은 기본적으로 일정수준의 교훈성을 담고 있는 바, 이러한 문학의 특성에 주목하여 본다면, 그러한 교훈성이 극대화되어있는 교훈 시가는 충분히 논의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문학사적으로 이러한 의미를 지닌 교훈시가 중, 교훈가사에 집중하여 그 장르를 전반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18세기 이전과 이후 교훈시가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교훈가사를 주제의식에 따라 오륜가류, 농부가류, 권학가류, 치산가류, 계녀가류의 다섯 가지 하위 장르로 분류하여 각각의 특성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교훈가사의 표현 방식에 따라 형상화 표현과 주제적 표현으로 나누어 형상화적 표현방식이 사용된 와 주제적 표현방식이 사용된 를 중심으로 작품 내에서 교훈가사의 장르적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2. 교훈가사의 개념

2.1. 교훈시가의 역사적 전개

2.1.1. 18세기 이전의 교훈시가 - 교훈시조
교훈가사는 전대의 많은 교훈문학의 연장선상에서 창출되었고, 시가사적 전통에서는 교훈시조와 맥을 같이 한다. 따라서 교훈가사를 살펴보기 전에 먼저 교훈시조에 대해 살펴보는 작업은 교훈시가의 역사적 전개 뿐 만 아니라, 갈래 전환의 의미를 해명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작업이다. (교훈시조는 이미 초기부터 ‘교훈적 시가’ 또는 ‘도덕적 시가’라는 범주 하에서 고찰되었으며, 이후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논의된 바 있다.)
참고문헌
강전섭, 「언문 소학 부록의 오륜행실가에 대하여」,『민족문화연구』 19, 고려대, 1986.
권영철, 「규방가사연구3」, 『연구논문집』16, 효성가톨릭대, 1975.
권영철, 「규방가사개설」, 『민족문화논총』11,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1990.
길진숙, 「조선후기 농부가류 가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1990.
김아연, 「《초당문답가》의 담론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논문, 2009.
박연호, 「조선후기 교훈가사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 논문, 1996.
박연호, 『교훈가사 연구』, 다운샘, 2003.
박연호, 「신재효 〈치산가〉와 『초당문답가』의 관련 양상 및 그 의미」, 『국어국문학』149, 국어국문학회, 2008.
성무경, 「 가사의 이본현황과 텍스트 소통」, 『민족문학사연구』22, 2003.
윤석창, 『가사문학개론』, 깊은샘, 1991.
윤혜린, 「조선시대 흐름과 가사 문학 장르의 독자적 시학 : 를 중심으로」(전농어문연구 제 20집, 2008)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2005.
조자현,「계녀가에 나타난 조선후기 양반 여성들의 감정구조」, 『국제어문』, 국제어문학회, 2009.
최상은, 『가사문학의 이념과 정서』, 보고사, 2006.
현종호, 『가사집』, 한국문학사,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