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성포장(Active Packaging) 적용과 기대효과

 1  활성포장(Active Packaging) 적용과 기대효과-1
 2  활성포장(Active Packaging) 적용과 기대효과-2
 3  활성포장(Active Packaging) 적용과 기대효과-3
 4  활성포장(Active Packaging) 적용과 기대효과-4
 5  활성포장(Active Packaging) 적용과 기대효과-5
 6  활성포장(Active Packaging) 적용과 기대효과-6
 7  활성포장(Active Packaging) 적용과 기대효과-7
 8  활성포장(Active Packaging) 적용과 기대효과-8
 9  활성포장(Active Packaging) 적용과 기대효과-9
 10  활성포장(Active Packaging) 적용과 기대효과-10
 11  활성포장(Active Packaging) 적용과 기대효과-11
 12  활성포장(Active Packaging) 적용과 기대효과-12
 13  활성포장(Active Packaging) 적용과 기대효과-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활성포장(Active Packaging) 적용과 기대효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Part 1 Active Packaging이란?

1.1 정의 및 원리

1.2 연구배경 및 필요성

1.3 과채류 포장의 현황 및 문제점

1.3.1 현황분석

1.3.2 문제점 도출

Part 2 Active Packaging의 적용과 기대효과

2.1 Active Packaging의 적용

2.1.1 Active Packaging의 기능

2.1.2 Active Packaging의 적용사례

2.2 Active Packaging의 기대효과

2.2.1 경제적 측면

2.2.2 사회적 측면

2.2.3 기술적 측면

part 3 결론

3.1 장점 및 단점

3.2 연구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3.3 참고문헌
본문내용
Part 1 Active Packaging이란?

1.1 정의 및 원리

Active Packaging이란 외부환경으로부터 과채류를 차단하는 것 이상으로 일정한 기능을 위하여 디자인된 포장재들을 일컫는 말이다. 즉, 제품에 대한 포장 기술도 내용물의 보호성, 취급의 편의성, 판매 촉진성의 기본적인 요소를 바탕으로 기존의 단순 제품 보호기능 형태의 포장을 벗어나 제품의 가치를 높이고 기능성을 부여하는 첨단 포장 기술을 의미한다. Active Packaging의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스제거이다. 이는 포장 안쪽 및 포장 재료 내의 active absorbing agent를 적용하여 포장 내부의 산소나 에틸렌, 이산화탄소와 수분을 흡착하여 과채류의 보관수명을 연장하는 기술이다, 두 번째로는 활성물질 방출이다. 활성물질 방출은 흡착제와는 반대로 주로 포장 소재에서 이산화탄소나, 에탄올과 같은 항균제와 같은 active agent가 방출되어 나와서 과채류의 품질을 연장하는 것이다. 마지막은 가스조절로서 산소나 수분의 적절한 투과도를 유지함으로써 포장내부의 식품에 필요한 가스 조성을 만들어 과채류의 보관수명을 연장하는 기술이다.[20]

1.2 연구배경 및 필요성

채소류는 매년 약 1,000만 톤 생산되고 있으며, 과실은 매년 약 250만 톤 생산되고 있다. 또한 1인당 소비량은 채소가 약 150kg/년, 과실이 약 67kg/년이다.([표1] 참조)

참고문헌
[1] 농촌진흥청 농업공학연구소(2007), “과일 신선도 유지 매뉴얼”, p.18~27
[2] 전병철(2004), “기체흡착능을 갖는 과채류 포장용 필름 개발”, 수원대학교, p.1~18
[3] 이남종(2009), 농수축산신문 2009.01.05. “[신년기획] 농산물 유통손실 3조원을 잡아라”
[4] 농촌진흥청(2007), “농산물 저장과 가공”, p.191
[5] 김청(2008), 기능성포장, ㈜포장산업, p.14~24, p.81
[6] 박형우(2004), 월간 포장계 “농산물 포장 현황 및 전망”, p.59~61
[7] 김동진(2011), 농산물 단위용기의 개발이 물류 효율화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p.8
[8] 정우정(2006), 환경사랑학술지-환경칼럼 “농산물 포장재의 현황 및 개선에 대하여”
[9] 홍기운 외(2007), 제5판 식품위생학, 대왕사, p.65~84
[10] 배영수(2001), “수목 추출성분을 이용한 식품포장용 골판지 천연 방충처리제 개발”, p11
[11] 네이버 카페 “금호냉동” (http://cafe.naver.com/kumhoeng), 냉동공조산업저널 랙즈 (2008), 6월호 “농산물 저장기술 1”
[12] 홍석인, 박종대(1997), 식품기술 제10권 제3호 “과채류 포장기술의 새로운 경향”, p.88~89
[13] 박형우(1995),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농산물 포장, p.78~79
[14]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홈페이지(http://www.nihhs.go.kr), 홍윤표 “저장기술 및 저장고 환경관리”
[15] http://blog.paran.com/jin53/8117535
[16] http://blog.daum.net/mepr_greenwing/7632859
[17] 이병일(2007), “과일포장상자”
[18] 최주섭(2004), 월간 포장계 “스티로폼농산물포장현황”, p.63
[19] 홍치선(2005), 환경사랑학술지-환경칼럼 “농산물포장재의중요성과변화”
[20] http://blog.daum.net/show5/7224856
[21] 한국포장협회(2001), 기능성포장, p.121
[22] http://www.pack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