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사 교과서 분석-한중일 3국의 개항

 1  동아시아사 교과서 분석-한중일 3국의 개항-1
 2  동아시아사 교과서 분석-한중일 3국의 개항-2
 3  동아시아사 교과서 분석-한중일 3국의 개항-3
 4  동아시아사 교과서 분석-한중일 3국의 개항-4
 5  동아시아사 교과서 분석-한중일 3국의 개항-5
 6  동아시아사 교과서 분석-한중일 3국의 개항-6
 7  동아시아사 교과서 분석-한중일 3국의 개항-7
 8  동아시아사 교과서 분석-한중일 3국의 개항-8
 9  동아시아사 교과서 분석-한중일 3국의 개항-9
 10  동아시아사 교과서 분석-한중일 3국의 개항-10
 11  동아시아사 교과서 분석-한중일 3국의 개항-11
 12  동아시아사 교과서 분석-한중일 3국의 개항-12
 13  동아시아사 교과서 분석-한중일 3국의 개항-13
 14  동아시아사 교과서 분석-한중일 3국의 개항-14
 15  동아시아사 교과서 분석-한중일 3국의 개항-15
 16  동아시아사 교과서 분석-한중일 3국의 개항-16
 17  동아시아사 교과서 분석-한중일 3국의 개항-17
 18  동아시아사 교과서 분석-한중일 3국의 개항-18
 19  동아시아사 교과서 분석-한중일 3국의 개항-19
 20  동아시아사 교과서 분석-한중일 3국의 개항-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아시아사 교과서 분석-한중일 3국의 개항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동아시아사 교과서 관점 분석
1. 당시 시대 배경
2. 청
3. 일
4. 조선
Ⅲ. 중국 교과서와의 비교
Ⅳ. 통합적 관점에서의 교과서 서술 양상 분석
Ⅴ. 새로운 교과서 서술의 예시
Ⅵ. 나오며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2007년 교육인적자원부는 사회과 중등 교육과정 개정에서 ‘동아시아사’를 신설했다. ‘동아시아사’ 과목은 기존의 국사, 세계사 등에 포함된 동아시아사를 떼어내 한층 심도 있게 다루는 것으로, 2012년부터 고교 2, 3학년의 선택과목으로 채택되었다.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과 독도 영유권 주장,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항하기 위해서다. 교육과정 시안을 개발한 연구진들은 동아시아사라는 과목이 단순히 한국사를 확대하거나 한ㆍ중ㆍ일 역사를 합쳐놓은 것이 아니라, 한반도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사를 하나의 지역사로 재해석하는 것이라고 했다. 동아시아 지역은 오래전부터 교류해왔고 공통적으로 ‘한자’를 사용하고 ‘유교문화’를 누리는 등 하나의 문화권을 형성했으며, 현재에도 서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선사 시대부터 현대까지 동아시아인이 성취한 문화의 공통성과 상관성을 탐구하여 동아시아 지역의 발전과 평화 정착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자질을 기르는 것이 동아시아사의 가장 큰 목표이다.
본고에서는 동아시아의 ‘개항’ 부분에 초점을 두고 교과서와 개설서의 내용 및 서술 관점을 비교하려 한다. 임진왜란(1592~1598)에서 청의 자금성 입성(1644)에 이르는 50여 년 간의 국제분쟁이 끝난 후, 동아시아는 약 200년 동안 안정적인 국제 질서를 유지했다. 이를 바탕으로 정치·문화 등 발전이 있기도 했지만 국제관계는 그렇지 않았다. 동아시아 국가 간에는 서로 교류가 있었던 반면, 서양과는 교류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아편전쟁 후 청의 개항을 시작으로 일본과 한국이 뒤를 이어 개항을 했고 서양과 조약을 체결했다. 폐쇄적이고 중국 중심이었던 동아시아 사회는 개항을 하며 급변하는 국제 세계에 입성했다. 개항을 기점으로 동아시아의 질서가 크게 변했고, 각국의 정세 역시 급속하게 변화했다. 이처럼 개항은 동아시아사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본고에서는 현재 고등학교 교과서로 사용되고 있는 천재교육 교과서와 교학사 교과서, 중국 역사 교과서가 개항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그 관점과 내용을 비교한 뒤, 개설서와 다시 비교하고 분석하여 동아시아사의 교육 목표에 부합하는지 알아보려 한다. 또한 더 나아가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제언을 통해, 학생들이 일국사의 관점에서 벗어나 통합적인 관점으로 동아시아사를 바라볼 수 있도록 하여 동아시아 지역의 발전과 평화 정착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Ⅱ. 동아시아사 교과서 관점 분석


1. 당시 시대 배경

1) 19C 개항 당시 동아시아의 국내외 정세

천재교육 (p.176)
교학사 (p.148)
19세기에 들어 각국은 서양의 등장과 이에 따른 국제 정세의 동요에 따라 심각한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 지역에 가장 관심을 보인 것은 18세기 후반에 산업 혁명을 이룬 영국이었다. 영국은 자국에서 생산한 면직물, 모직물과 같은 상품을 판매하려고 아시아 시장을 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동아시아 각국은 서양에 문호를 개방하고 서양 주도의 국제 질서 속에 급속히 편입되기에 이르렀다.
18세기 이후 영국은 무굴 제국이 쇠퇴하자 인도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하였다. 19세기 들어 미얀마와 말레이 반도까지 식민지 지배를 확대하였다. 한편, 청은 영국과의 무역 창구를 광저우의 몇몇 특허 상인들로 제한하고 있었다.

참고문헌
· 손승철 외,『고등학교 동아시아사』, 교학사, 2012.
· 안병우 외,『고등학교 동아시아사』, 천재교육, 2012.

· 교육과학기술부, ‘동아시아사’, 『2007개정 교육과정』,『2011개정 교육과정』
· 김한종 외, 『연구총서 11 – 한중일3국의 근대사 인식과 역사교육』, 고구려연구재단, 2005.
· 동경대 교양학부 일본사연구실, 『일본사개설』, 지영사, 1994.
· 류승렬, 『뿌리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6』, 솔, 2003.
· 아사다 마오히로 외, 『새로 쓴 일본사』, 창작과비평사, 2003.
· 연민수 외 저, 『동아시아 역사교과서의 주변국 인식』, 동북아역사재단, 2008.
·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 『미래를 여는 역사』, 한겨레신문사, 2005.
·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 『미래를 여는 역사』, 한겨레신문사, 2005.
·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1』 휴머니스트, 2012.

· 권소연, 「동아시아사 인식과 교육에 관한 고찰 : 동아시아 근대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13.
· 이성희, 「신설 '동아시아사' 교과서 편찬을 위한 일제언 : 근대사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