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 판소리와 조선사회

 1  [한국문학] 판소리와 조선사회-1
 2  [한국문학] 판소리와 조선사회-2
 3  [한국문학] 판소리와 조선사회-3
 4  [한국문학] 판소리와 조선사회-4
 5  [한국문학] 판소리와 조선사회-5
 6  [한국문학] 판소리와 조선사회-6
 7  [한국문학] 판소리와 조선사회-7
 8  [한국문학] 판소리와 조선사회-8
 9  [한국문학] 판소리와 조선사회-9
 10  [한국문학] 판소리와 조선사회-10
 11  [한국문학] 판소리와 조선사회-11
 12  [한국문학] 판소리와 조선사회-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학] 판소리와 조선사회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판소리'의 의미
2. 판소리의 기원 및 약사
2.1 판소리의 기원
2.2 판소리의 약사
3. 판소리 이해
3.1 판소리 용어 해설
3.2 판소리에 쓰이는 마당
4. 판소리 특징
4.1 미학적 특징
4.2 문학적 특징
4.3 정리
5. 판소리의 형성과 전개
6. 전승된 판소리 작품
7. 판소리에 나타난 민중의식
7.1 봉건이념의 모순과 해결의 전망 - [수궁가}
7.2 신분해방의 의지 - [춘향가]
7.3 빈부의 모순에 대한 비판 - [박타령(흥보가)]
8.판소리의 전반적인 성격

본문내용
1. '판소리'란 말의 뜻

판소리는 조선후기 서민문화의 발흥과 함께 생성, 발전해 온 전통적 연행예술(演行藝術)로서, 전문적 소리꾼인 광대가 고수의 북장단에 맞춰 말과 노래로 이야기를 연창하는 구비적 현장예술이다.
'판소리'는 '판'과 '소리'의 합성어인데, '판'의 뜻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그 뜻풀이도 달라진다. '판'을 으로 이해하면, 판소리는 가 되며, '판'이 '판을 짠다'는 말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면, 판소리는 가 된다. 이때 '판을 짠다'는 것은 는 뜻도 되고, 는 뜻도 된다. 이 밖에 '판'은 등으로 풀이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은 판소리의 어느 한 측면만 각각 주목하고 있어, '판'의 함의를 충분히 드러내 주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판소리의 현장성과 음악성, 부분의 독자성 등을 고려할 때, '판'에는 이라는 뜻과 는 뜻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되며, 그렇게 보면 판소리는 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