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 인물성 동이론

 1  [동양철학] 인물성 동이론-1
 2  [동양철학] 인물성 동이론-2
 3  [동양철학] 인물성 동이론-3
 4  [동양철학] 인물성 동이론-4
 5  [동양철학] 인물성 동이론-5
 6  [동양철학] 인물성 동이론-6
 7  [동양철학] 인물성 동이론-7
 8  [동양철학] 인물성 동이론-8
 9  [동양철학] 인물성 동이론-9
 10  [동양철학] 인물성 동이론-10
 11  [동양철학] 인물성 동이론-11
 12  [동양철학] 인물성 동이론-12
 13  [동양철학] 인물성 동이론-13
 14  [동양철학] 인물성 동이론-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양철학] 인물성 동이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序 論
II. 본 론
1. 조선조 후기 성리학의 인물성 동이론의 발단과 논쟁의 배경
2. 인물성 동론과 이론에 대한 논변
3. 미발심체의 선악에 대하여
IV. 결 론
1. 논쟁의 가치
2. 마무리
※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리학의 근본은 인간의 문제를 다루는 것이다. 성리를 천리와 천성, 즉 천명이 인간에 내재한 성(本然性)으로 이해하여 인간의 主體性을 형이상학화하여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것이 공자, 자사, 맹자를 이어받은 송대의 정주학 즉 성리학이라 한다면 이것의 특징은 모두 천인 관계를 위주로 하여 객관적 우주론적 경향이 있는데 이에 반하여 우리 조선조 성리학의 양대 산맥이라고 할 수 있는 퇴율 성리학의 성과는 자연이나 우주의 문제보다 인성론으로 일보 전진하여 인간의 내재적 성실성을 통하여 인간의 主體性을 강조한 것이 그 특징이다. 학문적 이론은 그 시대를 반영한다고 한다. 조선 후기 율곡 계통에서 나온 인물성 동이 논쟁 역시 임진왜란, 병자호란 양란이후 인간성의 황폐화 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현실타계를 위한 국력배양의식과 더불어 실학사상의 대두는 성리학에도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자연히 인간 이외의 자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기까지 하였고, 인간과 동물의 성이 같은가 다른가의 문제로까지 대두되었다고 하겠다.
한국성리학사에서 이론적 탐구의 절정을 이루었던 중요한 학술 논쟁이라면 四端七情論과 지금 논하려고 하는 人物性同異論에 대한 논쟁으로 규정하여도 이론이 없을 것이다. 이 두 논쟁들은 性理學의 주요개념에 대한 논리적 해석을 주제로 하였기 때문에 가장 의미있는 철학적 주제로 부상할 수 있었고 따라서 그 당시 뿐만이 아니라 조선말기 까지 그치지 않고 계속된 최대의 이론적 관심사가 되었다.
참고문헌
1. 한국유학사, 배종호, 연세대학 출판부, 1992
2. 한국의 유학 사상, 황의동, 서광사, 1977
3. 한국인물유학사, 한국인물유학사편찬위원회, 한길사, 1996
4. 한국철학강좌, 한국철학사상연구외 지음, 예문서원, 1993
5. 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 김형찬, 예문서원, 1995
6. 한국사상의 이해, 황준연, 1992
7. 조선조 후기 성리학에 있어서 -인물성 동이론에 관한 연구-, 양재열, 석사논문, 1982
8. 인성물성론
9. 우담 정시한의 사단칠정론, 김낙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