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사회 문화적 비평방법을 통해 본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1  인문어학 사회 문화적 비평방법을 통해 본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1
 2  인문어학 사회 문화적 비평방법을 통해 본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2
 3  인문어학 사회 문화적 비평방법을 통해 본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3
 4  인문어학 사회 문화적 비평방법을 통해 본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4
 5  인문어학 사회 문화적 비평방법을 통해 본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5
 6  인문어학 사회 문화적 비평방법을 통해 본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어학 사회 문화적 비평방법을 통해 본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사회·문화적 비평방법을 통해 본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1. 들어가며
소설은 타락한 사회에서 타락한 양식으로 진정한 가치를 추구하는 이야기로 특징지어지며, 주인공에 있어서의 이러한 타락은 간접화에 의해서, 즉 진정한 가치가 내재적인 수준으로 되어 명백한 현실로서는 소멸됨으로 해서 나타나는 것이다.
골드만은 소설은 우리가 타락한 세상에 살고 있으므로 소설은 진정한 가치를, 진정히 추구하지 않고 타락한 방식으로 나타낸다고 정의하여 말하고 있다. 그렇게 해야만 소설은 소설로서의 가장 추구해야할 현실에 있을법한, 독자가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사회 문화적 비평자들에 의한 소설 비평방법과 상통하는 이론이다. 그렇다면 사회문화적 비평가들이 추구하는 비평방법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간략하게 살펴보자. 일단 문학작품은 그것을 생산한 환경이나 문화나 문명을 떠나서는 충분히 혹은 진실하게 이해될 수 없다. 허구는 허구로만 인식될 뿐 독자들에게 진실히 다가갈 수 없다는 것이다. 둘째로 문학작품 속에 있는 관념은 형식 및 기교와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세 번째로 생명력 있는 모든 문학작품은 그것을 나오게 한 문화와의 관계에 있어서나, 개개의 독자와의 관계에 있어서 매우 도덕적이다. 네번째로, 문학작품은 사회의 두 방면, 즉 특정한 물질적 요인이나 힘을 혹은 전통, 즉 집단의 정신적`문화적 경향을 반영할 수 있다. 다섯째로 비평은 문학작품에 대해서 초연한 심미적 관조로만 머물러 있어서는 안 된다. 마지막으로 사회문화적 비평가는 과거와 현재의 문학에 책임을 다한다는 것이다.
모든 문학작품을 사회문화적 비평방법으로 보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라 단언할 수 없지만 이는 다른 문학작품 비평방법 중에 가장 현실적이고 올바른 선택이 아닌 가 한다. 문학작품이 독자에게 진실하게 다가가고 그를 읽는 사람에게 공감이 갈 수 있는 부분으로 바라본다면 인간성이 중심이 되고 그런 인간적인 관계나 상황 속에서 보는 제한된 비평방법에 더 많은 공감을 줄 수 있는 것은 인간들이 살아가며, 아파하고, 고민하고, 때론 즐거워하며, 웃을 수 있는 그 현실의 공간이 진실성의 문제를 해결해 줄 것이기 때문이다. 사회·문화적 비평방법을 토대로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란 이문열의 작품을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2.「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시대적 배경
... 자유당 정권이 아직은 그 마지막 기승을 부리고 있던 그해 삼 월중순, 나는 그때껏 자랑스레 다니던 서울의 명문 국민학교를 떠나 한 작은 읍(邑)의 별로 볼것없는 국민학교로 전학을 가게 되었다. 이문열,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민음사, 1992, p.11.
소설의 시작과 함께 시골학교로 오게 된 한병태의 회상을 통해 자연스럽게 당시의 시대상을 끄집어낸다. 앞으로 있을 막대한 갈등으로 전개될 사건의 암시의 한 부분으로 여기는 것은 비약적인 의견일까. 자유당 정권이 마지막 기승을 부릴 때라고 하면 아마 1960년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작가의 소설의 갈등과 사건전개 사항이 너무나도 역사적 사실과 일맥상통하게 진행된다. 그렇다면 우선 자유당정권이 무엇이며, 그들이 왜 무너져 내렸는지 살펴보자.
자유당은 1951년에 창단된 정당이다. 정부수립 초기 정당무용론을 주장했던 이승만 대통령은 국회 내에서 자신의 지지기반이 약화되자 정국타개를 위한 자유당의 창당을 서둘렀다. 즉 야당인 민주국민당(한국민주당의 후신) 주도의 국회에서 직선제로의 개헌이 통과될 가능성이 없었으므로 원외에서 광범위한 관제(官製) 민의운동을 일으켜 국회에 압력을 가하는 방법을 채택, 원외 자유당을 지지기반으로 삼은 것이다. 1951년 11월 이승만의 재집권을 위한 대통령직선제와 상하 양원제를 골자로 한 개헌안이 국회에 제출되자 찬반양론의 대립 속에 원내파와 원외파로 분열, 하나의 이름으로 2개 정당이 만들어지는 기형적인 형태로 자유당은 창당되었다. 1952년 이른바 부산정치파동을 통해 원내 자유당은 합동파(삼우장파)와 잔류파로 분리되는 등의 이합집산과정을 통해 결국 원외 자유당에 통합되어 단일 자유당이 출현되었다. 그러나 독자적인 원외 기반을 구축하고 개헌안을 통과시킨 이승만은 대통령선거의 승리를 확신하고 당내 제2인자인 이범석의 족청계를 외면하고 정부통령선거 전에 함태영을 부통령후보로 지명했다. 이러한 족청계에 대한 이승만의 태도는 이범석의 부통령후보 탈락과 함께 당내 결속에 동요를 가져왔고, 자유당의 지도체계는 이기붕을 2인자로 하는 체제로 개편됨과 동시에 이승만에 의한 권위주의적 정당체계로 변모했다. 같은 해 5월 20일 제3대 민의원선거에서 자유당은 114석을 확보하고, 친여적인 무소속의원들을 포섭함으로써 개헌정족수를 상회(上廻)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국회는 자유당의 전횡(專橫)에 따라 진행되었다. 이후 초대 대통령에 대한 중임제한을 폐지하고 국무위원불신임권을 삭제한 사사오입개헌파동 등을 일으키며 이승만의 집권연장을 기도하다가 1960년 3·15부정선거로 폭발된 4·19혁명으로 붕괴되었다. 그러나 자유당 출신의 인사들은 5·16군사정변 이후 혁명 주도세력이 중심이 되어 결성한 민주공화국에 대거 입당하여 정계에 재진출하기도 했다.
이렇듯 자유당은 창당부터 붕괴와, 잔류, 정당의 주요 인사들이 다음 정권에 줄줄이 재진출을 하기까지 당시의 우리 시대의 힘 있는 자의 권력과 그 힘있는 자에게 잘 보이기 위한 부정부패의 역사적 현상이 고스란히 소설 속에 상황과 너무나도 닮아 있다. 주인공 한병태 역시, 초반 엄석대에게 충성스런 반 아이들은 물론이고, 아버지의 무기력하고 답답한 모습과 선생님의 무관심 속에 홀로 외로이 저항을 결심하고 6개월의 긴 투쟁기간을 거치게 된다. 모두가 약자 한병태의 말에 귀 기울이지 않고 오로지 힘 있는 자 엄석대의 말을 믿고 그에게서 놀아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세 가지의 인간부류를 당시 사회상의 현실 속 사람들의 모습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인물군을 중심으로 사회·문화적 비평방법을 통해 살펴보도록 하자.
3.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인물군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