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사상] 동양의 인식과 수양

 1  [동양사상] 동양의 인식과 수양-1
 2  [동양사상] 동양의 인식과 수양-2
 3  [동양사상] 동양의 인식과 수양-3
 4  [동양사상] 동양의 인식과 수양-4
 5  [동양사상] 동양의 인식과 수양-5
 6  [동양사상] 동양의 인식과 수양-6
 7  [동양사상] 동양의 인식과 수양-7
 8  [동양사상] 동양의 인식과 수양-8
 9  [동양사상] 동양의 인식과 수양-9
 10  [동양사상] 동양의 인식과 수양-10
 11  [동양사상] 동양의 인식과 수양-11
 12  [동양사상] 동양의 인식과 수양-12
 13  [동양사상] 동양의 인식과 수양-13
 14  [동양사상] 동양의 인식과 수양-14
 15  [동양사상] 동양의 인식과 수양-15
 16  [동양사상] 동양의 인식과 수양-16
 17  [동양사상] 동양의 인식과 수양-17
 18  [동양사상] 동양의 인식과 수양-18
 19  [동양사상] 동양의 인식과 수양-19
 20  [동양사상] 동양의 인식과 수양-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양사상] 동양의 인식과 수양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유가의 수양론
1) 유가의 수양 목적
2) 수양의 방법
2. 불가의 수양론
1) 집착을 버리고 자유에 이르는 길
2) 번뇌의 원인과 번뇌를 제거하는 길
3)도가의 수양론

-무위자연에 이루기 위해



본문내용
☞심(心) + 생(生) = ‘살려는 마음’, ‘삶에의 의지’
☞인간의 마음 중에서 가장 근본적인 것.
- 공자 ‘습성을 위주로 파악하면 서로 다르게 되지만 성을 위주로 파악하면 서로 가까워진다’
- 의미 : 나의 몸에 작용하는 살려는 의지와 남의 몸에 작용하는 살려는 의지는 별개의 것이 아니라 동일한 것이다. 인간에게는 인간의 마음의 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습성이 있고 마음의 본질인 ‘살려는 의지’가 있는데 습성의 기준으로 파악하면, 사람들은 서로 다른 존재처럼 보이지만 이 ‘살려는 의지’ 쪽으로 가면 갈수록 서로 같아진다.

* 성(性)은 마음의 본질이면서 타인의 성과도 일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일치하는 면을 강조하여 그 작용을 천명(天命)이라 하고 그 작용의 주체를 천(天)이라고 한다
☞ 모든 생물체의 성(性)이 모두 개별적인 것이 아니라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전체적인 것이고 유일한 것이라면 이러한 의미의 성(性)의 개념은 전체성을 상징하는 다른 용어로 바뀌어 표현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성(性)은 이미 내 마음의 본성, 내 마음의 본성 등과 같이 개체적인 용어로 쓰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자는 이러한 성(性)의 개념을 천명(天命)이란 용어로 표현하였다. 즉 성과 천명은 같은 내용에 대한 다른 표현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