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어류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어류학회지140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한국 고유종 섬진자가사리 Liobagrus somjinensis의 핵형 분석
조윤정 ( Yun Jeong Cho ) , 박종영 ( Jong Young Par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3호, 175~178페이지(총4페이지)
전라북도 남원시 식정동에서 채집한 한국 고유종인 섬진자가사리를 암, 수 각각 9마리와 8마리의 핵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섬진자가사리의 염색체 수는 2n=42로 조사되었고, 핵형은 28 metacentric과 14 submetacentric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FN은 80이었다. 이번 결과에서 배수체와 암수 간의 성적이형은 발견되지 않았다. 섬진자가사리는 근연종들과 염색체 수는 같았으나, 핵형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TAG Liobagrus somjinensis, chromosome, karyotype, Korea
스텔렛 철갑상어 (Acipenser ruthenus)의 난 발생과 자치어 형태발달
박재민 ( Jae Min Park ) , 윤성민 ( Seung Min Yoon ) , 서영석 ( Young Seok Seo ) , 한경호 ( Kyeong Ho Han ) , 유동재 ( Dong Jae Yoo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3호, 179~185페이지(총7페이지)
스텔렛 철갑상어 Acipenser ruthenus의 양식기술 개발 및 분류학적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을 조사하였다. 친어는 2005년 6월에 PVC 원형수조 (Ø 5m) 수온 16.0±1.0℃에서 성숙시킨 암수 1쌍을 사용하였다. 난은 타원형의 불투명한 침성 점착란으로 크기는 3.83~3.85 (3.84±0.01) mm (n=10)였다. 난 발생은 건식법으로 인공수정 시켰고, 수정 1시간 후에 배반이 형성, 수정 31시간 후에 낭배말기에 도달하였으며, 수정 82시간 (50%) 후에 부화하였다. 부화 직후 자어는 전장 10.1~10.3 (10.2±0.11) mm (n=10) 로 복부에 큰 난황을 달고 있었다. 부화 17일 후에는 전장 26.2~32.4 (29.3±4.3...
TAG Acipenser ruthenus, egg development, juvenile, larvae, sterlet sturgeon
멸종위기어류 가시고기 Pungitius sinensis (Pisces: Gasterosteidae)의 분포현황 및 멸종위협 등급 평가
고명훈 ( Myeong-hun Ko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3호, 186~191페이지(총6페이지)
우리나라 멸종위기어류 가시고기 Pungitius sinensis의 분포양상 및 멸종위협 등급을 평가하기 위하여 2015년 3월부터 10월까지 강원도와 경상북도 등에서 정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71개 조사지점 중 21개 하천 (지점)에서 854개체가 채집되었다. 과거 30여 년 동안 가시고기는 23개 하천에서 서식이 확인되었으나 이 지점들에 대한 본 조사 결과 12개 하천에서만 서식이 확인되는 등 서식지 및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가시고기의 서식지 특징은 하천 하류의 소 (pool)가 형성되고 수생식물이 많이 서식하는 곳이었다. IUCN 적색목록 기준지침서에 따라 멸종위협 등급을 평가하면, 서식지 및 개체 수의 급격한 감소와 작은 점유 면적 (84 km2) 등으로 위기 (EN) [B2ab(ii,i...
TAG Pungitius sinensis, Gasterosteidae, distribution, endangered species, threatened assessment
한강하구에서 조석주기에 따른 웅어속 자치어의 출현량 변동
김지혜 ( Ji-hye Kim ) , 송태윤 ( Tae-yoon Song ) , 김병기 ( Byung-gi Kim ) , 김병표 ( Byung-pyo Kim ) , 한경남 ( Kyung-nam Han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3호, 192~199페이지(총8페이지)
조류에 의한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매우 큰 한강 하구역의 대표적인 석모수로와 염하수로에서 2007년 8월과 2008년 8월에 연속 관측을 통해 조석주기에 따른 소하성 어종인 웅어 속 자치어의 출현량을 조사하였다. 조석주기에 따른 환경측정 결과, 1 ℃ 미만의 수온차를 보였고, 염분은 창조 시 최고 15.1 psu, 낙조 시 최저 0.8 psu로 조석에 따른 염분차가 컸다. 웅어속 자치어는 창조 시보다 낙조 시 높은 출현량을 보였다 (p<0.05). 이는 소하성 어종인 웅어속 자치어가 한강 상류 또 는 중류에서 부화한 후, 보육장인 하구역에 정착하기 위해 수평이동 선택적 조수흐름 (STST)으로 낙조류를 이용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낙조 시 13.6mm 이상의 유영력이 향상된 개체일수록 뚜렷하게 나타났다.
TAG Han river estuary, anadromous fish, Coilia spp., larval fish, tidal cycle
배합사료 종류가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의 성장 및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이해영 ( Haeyoung Lee ) , 유해균 ( Hae-kyun Yoo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3호, 200~206페이지(총7페이지)
최초체중 (IBW) 29.1 g 넙치 치어를 1종 실험사료 (ED)와 5종 국내·외 상품사료 (CD)로 7주간 사육한 결과 최종체중 (FBW), 증체율 (WG), 사료효율 (FE) 및 전어체 (WB)의 일반 성분 중 수분 및 지질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지만, 생존율 및 WB의 일반성분 중 단백질 및 회분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넙치 치어는 사육실험 후에는 먹이 종류에 따라 FBW가 57.7~73.6 g, WG도 93~160%로 실험구간에 유의적인 성장 차이를 나타내었다. FE는 71~121%이었으며 성장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IMCD구에서 73.6 g으로 가장 높은 FBW를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DCCD구, DECD구 및 IOCD구에서 70.0, 68.4 및 67.8 g이었다. IHCD구에서 ...
TAG Olive flounder, diet, growth, feed efficiency, body composition, survival
한국산 둑중개과 (Cottidae) 어류 1미기록종, Artediellus fuscimentus Nelson, 1986
신의철 ( Ui Cheol Shin ) , 박정호 ( Jeong-ho Park ) , 김진구 ( Jin-koo Kim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3호, 207~212페이지(총6페이지)
2010년 12월 4일 강원도 동해시에서 15개체, 2015년 2월 1일 강원도 삼척시에서 1개체의 Artediellus fuscimentus가 처음 채집되었다. 본 종은 전새개골 가시 4개, 제2등지느러미 줄기 12~13개, 뒷지느러미 줄기 10~12개를 가지며, 첫번째 전새개골 가시 안쪽에 작은 가시가 없고 가슴지느러미 뒤끝이 뒷지느러미 기점을 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mtDNA cytochrome b 염기서열 600 bp를 이용하여 분류학적 위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종은 Artediellus atlanticus와 차이(d=0.057~0.061)를 보였으나, 일본산 A. fuscimentus와는 완전히 일치 하였다. Artediellus속의 국명으로 “엄지횟대속”을, A. fuscimentu...
TAG 미기록종, 둑중개과, 동해, 한국, Artediellus fuscimentus, new record, Cottidae, East Sea, Korea
한국산 납자루아과 어류 2종의 시각세포에 관한 비교 연구
김재구 ( Jae Goo Kim ) , 박종영 ( Jong Young Par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2호, 67~71페이지(총5페이지)
시각세포는 많은 종에서 알려지지 않았지만 종의 서식환경과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같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흰줄납줄개와 각시붕어 두 종의 시각세포를 광학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두 종의 눈은 비교적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경연합층은 가장 바깥쪽부터 망막색소상피층, 시각세포층, 외핵층, 외망상층, 내핵층, 내망상층, 신경절세포층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시각세포들이 존재하는 시각세포층을 확인한 결과, 매우 다양한 시각세포들을 보유하고 있었다. 긴 단일원추세포, 짧은 단일원추세포, 길고 짧은 원추세포가 쌍을 이룬 이형이중원추세포와 간상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의 수평단면을 확인한 결과, 열 배열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시각세포 종류와 열 배열을 갖는 특징은 이들의 서식환경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AG Rhodeus ocellatus, Rhodeus uyekii, retina, visual cells, row mosaic model
한국고유종 북방종개 Iksookimia pacifica (Pisces: Cobitidae)의 연령 및 산란기 특징
고명훈 ( Myeong-hun Ko ) , 원용진 ( Yong-jin Won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2호, 72~78페이지(총7페이지)
북방종개 Iksookimia pacifica의 연령 및 산란기 특징을 밝히기 위해 2013년 1월부터 12월까지 강원도 고성군 북천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장빈도분포도를 이용하여 연령을 추정한 결과 암컷은 산란기 (7월)를 기준으로 전장 30~49 mm는 만 1년생, 50~74 mm는 만 2년생, 75~99 mm는 만 3년생, 100~124 mm는 만 4년생, 130~160 mm는 만 5년생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성비 (♂/♀)는 0.63이었으며 암컷이 수컷보다 30~60 mm가 더 컸다. 이차 성징인 수컷 가슴지느러미의 골질반은 부화 후 13개월 후에 생성되어 암·수가 구별되었다. 산란기는 생식소성숙도로 추정한 결과 7~8월 (산란성기 7월)로 추정되었으며, 포란수는 2,503±1,337개, ...
TAG Spine loach, Iksookimia pacifica, age groups, spawning characteristics
동해 남부 연안에 출현하는 도화망둑 (Amblychaeturichthyshexanema)과 수염문절(Amblychaeturichthys sciistius)의 먹이 분할
허성회 ( Sung-hoi Huh ) , 박주면 ( Joo Myun Park ) , 백근욱 ( Gun Wook Baec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2호, 79~86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동해 남부 연안에서 출현하는 도화망둑 (Amblychaeturichthyshexanema)과 수염문절 (A. sciistius)의 위 내용물을 분석하여 두 어종의 위 내용물 조성을 조사하고, 종 간그리고 성장에 따른 먹이자원의 분할이 있는지 연구하였다. 도화망둑과 수염문절은 저서성 갑각류를 주로 섭식하는 저서섭식 육식성어류였다. 저서성 무척추동물과 부유성 먹이 또한 각각 도화망둑과 수염문절의 먹이로써 중요도가 다소 높았다. 중량비 자료를 이용한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nMDS)와 다변량 분석 (multivariate analyses)에서 두 어종의위 내용물 조성은 그 차이가 유의하였다. 그러나 두 어종 모두 성장에 따른 위 내용물 조성 변화에서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두 ...
TAG Stomach contents, Gobiidae, East Sea, resource partitioning, multivariate analysis
벌교 조간대에 서식하는 짱뚱어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의 식성
최대업 ( Dae-up Choi ) , 김종연 ( Jong-yeon Kim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2호, 87~92페이지(총6페이지)
본 연구는 2014년 4월~2015년 3월까지 순천시 벌교읍 호동리의 개펄 조간대에서 출현하는 짱뚱어 Boleophthalmuspectinirostris 198개체를 대상으로 식성을 조사하였다. 짱뚱어의 전장은 6.5~18.7 cm의 범위를 보였다. 짱뚱어는 규조류를 주로 섭식하는 초식성이었다. 와편모조류, 선형동물 등도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적었다. 짱뚱어는 모든 크기군과 계절에서 규조류 (주로 Pleurosigma spp., Navicula spp., Nitzschia spp., Gyrosigma spp.)를 많이 섭식하였다.
TAG Feeding habits,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 herbivore, diatoms, intertadal zone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