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어류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어류학회지140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동해 감포 연안에서 통발에 어획된 어류 종조성
강필준 ( Pil Jun Kang ) , 김종관 ( Chong Kwan Kim ) , 황선완 ( Sun Wan Hwang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5] 제27권 제3호, 233~237페이지(총5페이지)
동해 감포 연안에서 2005년 6월, 9월 및 12월, 그리고 2006년 3월에 통발에 어획된 어류 종조성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4목 10과 19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채집된 어류 가운데, 가장 많이 채집된 종은 붕장어 (Conger myriaster)로서 채집 개체수의 38.9%, 생체량의 52.2%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복섬 (Takifugu niphobles),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i), 점망둑 (Chaenogobius annularis), 노래미 (Hexagrammos agrammus),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등이비교적 많았다. 이 5종은 전체 개체수의 44.1%, 전체 생체량의 37.3%를 차지하였다. 종수는 2006년 3월에 가장 ...
TAG East Sea, Gampo, fish assemblages, pot net, Conger myriaster
한국 동해 남부 해역에서 물수배기과(Psychrolutidae)어류1미기록종 Psychrolutes Pustulosus
박정호 ( Jeong-ho Park ) , ( Sergei Solomatov ) , ( Pavel Kalchugin ) , 윤병선 ( Byoung-sun Yoon ) , 손명호 ( Myoung Ho Sohn ) , 김진구 ( Jin-koo Kim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5] 제27권 제3호, 238~242페이지(총5페이지)
쏨뱅이목 물수배기과에 속하는 Psychrolutes pustulosus 3개체 (표준체장 56.7~92.4 mm)가 포항 해역에서 저층 트롤로 채집되었다. 이 소형종은 두부에 큰 감각공이 산재하고 몸이나 지느러미에 무늬가 없고 두부에 가시가 없으며 등지느러미 극조부와 연조부에 결각이 없이 연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어종을 우리나라 어류상에최초로 포함시키고 국명으로 "민무늬물수배기"를 제안한다.
TAG Psychrolutidae, Psychrolutes pustulosus, new Korean record, East Sea
New Record of the Yellowfin Scorpionfish, Scorpaenopsis neglecta (Scorpaeniformes: Scorpaenidae) from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
( Byung Jik Kim ) , ( Jung Hyun An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5] 제27권 제3호, 243~248페이지(총6페이지)
제주도 연안 해역에서 채집된 쏨뱅이목 양볼락과 (Scorpaenidae) 쑥감펭속 (Scorpaenopsis)에 속하는 연안성 해산어류 3개체 (표준체장 131.8~163.4 mm)에 근거해 Scopaenopsis neglecta를 한국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이들은 등지느러미 극조수가 12개인 점, 구개골치가 없는 점, 등지느러미 첫 번째와 세 번째 극조 사이에 흑색 반점이 없는 점, 그리고 두부가 측편하는 점에서 쑥감펭속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또한 양안간격이 안경보다 넓고, 양안 중앙융기연이 없으며, 최상부 새개골극이 다분지하고, 가슴지느러미 내측 기부에 흑색 반점이 산재하고, 지느러미 가장자리에 검은 띠가 있는 특징에서 동속 타종과 구별된다. 본 종의 신한국명으로 산지인 서귀포어시장에서 불...
TAG Scorpaenopsis neglecta, new Korean record, Jeju Island, description
New Record of the Black-Velvet Angelfish, Chaetodontoplus melanosoma (Pomacanthidae, Perciformes) from Korea
( Song Hun Han ) , ( Maeng Jin Kim ) , ( Choon Bok Song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5] 제27권 제3호, 249~252페이지(총4페이지)
농어목 청줄돔과에 속하는 Chaetodontoplus melanosoma 1개체 (표준 체장 123.1 mm)가 2010년 2월 24일 제주도 사계연안의 삼중자망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체측에 파란색 줄무늬가 없는 대신 멜라닌 색소가 잘 발달되어 있는 점, 눈 뒤에 반점이 없는 점, 그리고 가슴지느러미 기부에 검은색 반점을 가지는 점이 특징이다. 하지만, 청줄돔이 가지는 체측의 파란줄무늬가 이 종의 등지느러미에 희미하게 남아있으며 형태적으로도 유사하기 때문에 이 미기록종의 국명을 “검은청줄돔”으로 제안한다.
TAG First record, Chaetodontoplus melanosoma, Pomacanthidae, Jejudo Island, Korea
한국산 괴도라치 (Chirolophis japonicus)의 산란행동, 난 발생과 자어의 형태발달
박재민 ( Jae Min Park ) , 이성훈 ( Sung Hun Lee ) , 최재영 ( Jae Young Choi ) , 한경호 ( Kyeong Ho Han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5] 제27권 제2호, 63~70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는 괴도라치의 산란행동및 난 발생과 자어 형태발달을 조사하여 다른 장갱이과 어류자어와의 유연관계를 밝혀 분류학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실험에 사용된 친어는 평균전장 32.9±0.21 cm (31.8~34.0)로 2003년 12월 전남 여수시 신덕동 연안에서 원통형 통발을 이용해 8개체를 채집하여 실험실로 수송 후 사각 유리수조 (50×30×35 cm)에 수용하여 순환여과식으로 사육하였다. 사육수온은 12.3~15.8℃ (평균 14.1±2.47)를 유지하였고, 염분농도는 32.5~33.5‰ (평균 33.0±0.05‰)의 범위를 유지하였다. 수정란은 구형으로 백색의 불투명한 침성 점착란이었다. 난의 크기는 1.81~2.19 mm (평균 2.00±0.27 mm, n=50)이었다. 부화는 수정...
TAG Chirolophis japonicus, egg development, larvae, spawning behavior
강담돔 (Oplegnathus punctatus)의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박재민 ( Jae Min Park ) , 이성훈 ( Sung Hun Lee ) , 윤성민 ( Seong Min Yun ) , 나해춘 ( Hae Choon Na ) , 한경호 ( Kyeong Ho Han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5] 제27권 제2호, 71~77페이지(총7페이지)
강담돔의 수정난을 부화시켜 사육하면서 난 발생 과정과자치어 발달과정의 형태변화를 관찰하였다. 수정란은 구형의무색 투명한 분리 부성란이었고, 1개의 유구를 가지고 있었다. 난의 크기는 1.01~1.15 mm 범위였다 (평균 1.08±0.10 mm, n=20). 사육수온은 22.5~24.5°C (평균 23.0±0.05°C), 염분농도는 33.5~34.5‰ (평균 34.0±0.05‰)의 범위를 유지시켜 주었다. 난 발생 과정은 수정 25분 후에 난막과 난황이 분리되면서 배반이 형성되었다. 수정 후 55분에는 난할이 2개로 분리되어 2세포기에 달하였다. 수정 후 20시간 50분에는 배체가 머리 부분부터 난막을 뚫고 나오면서 부화하였다. 부화 직후의난황자어는 전장 2.10~2.20 mm (평균 2.15±0....
TAG Egg development, juvenile, larvae, Oplegnathus punctatus
만경강 수계 봉서천에 서식하는 각시붕어 Rhodeus uyekii (Pisces: Acheilognathinae)의 개체군 생태
김형수 ( Hyeong Su Kim ) , 고재근 ( Jae Geun Ko ) , 최웅선 ( Wung Sun Choi ) , 박종영 ( Jong Young Par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5] 제27권 제2호, 78~85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2014년 1~12월까지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면 봉서천 일대에서 각시붕어의 개체군 생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각시붕어는 정수역의 하상이 주로 뻘로 이루어진 수역에서 대부분 서식하였다. 만 1년생은 체장 24~29 mm, 만 2년생이30~35 mm, 만 3년생이 36~39 mm, 만 4년생이 40 mm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10월 기준). 산란기는 3월부터 6월까지로 추정되었고 (수온 11.5~27.0℃) 성비는 1 : 0.77 (♀:♂)이었다. 포란수는 104~168 (124±18.1)개였고 난경은 장경 2.8~3.5 (3.2± 0.15) mm, 단경 1.4~1.5 (1.4±0.03) mm로 나타났다. 각시붕어는 말조개 Unio douglasiae에 난괴를 형성하여 산란하였고 확인된 알 및 자어의 수는 3~...
TAG Rhodeus uyekii, Korean rose bitterling, population ecology, spawning season, freshwater mussel
멸종위기어류 여울마자 Microphysogobio rapidus (Cyprinidae)의난 발생 및 초기생활사
홍양기 ( Yang Ki Hong ) , 고명훈 ( Myeong Hun Ko ) , 박상용 ( Sang Yong Park ) , 방인철 ( In Chul Bang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5] 제27권 제2호, 86~94페이지(총9페이지)
멸종위기어류 여울마자의 생물학적 특성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2013년 남강에서 채집하여 난 발생과정과 초기생활사를 연구하였다. 성숙란은 암컷에 Ovaprim 을 주사 (0.5 mL/kg)하여 얻었으며 건식법으로 인공 수정시켰다. 성숙란은 약한 점착성을 가지며 밝은 청록색을 띤 분리침성란이었으며, 난경은 0.63±0.02 mm (n=20), 포란수 (n=5)는평균 3,827±1,225 (2,850~ 5,916)개였다. 수온은 21±1°C에서 72시간 뒤에 부화하였으며, 부화 직후 전기 자어 크기는 전장 2.79±0.04 mm (n=10)였다. 부화 후 5일에는 전장 4.10± 0.07 mm (n=10)로 난황을 모두 흡수하여 후기자어로 이행하였고 부화 30일째에는 전장 9.74±0.24 mm (n=10)로 모든 지느러미의 기...
TAG Endangered species, Microphysogobio rapidus, egg development, early life history
한국고유종 줄종개 Cobitis tetralineata의 난발생 및 초기생활사
고명훈 ( Myeong Hun Ko ) , 원용진 ( Yong Jin Won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5] 제27권 제2호, 95~103페이지(총9페이지)
우리나라 고유 담수어류 줄종개 Cobitis tetralineata의 난발생 및 초기생활사를 연구하기 위하여 2013년 6월 섬진강 상류인 전북 순창군 복흥면 정산리에서 족대를 이용하여 친어를채집하여 실험하였다. 채집된 성숙한 친어는 복강에 Ovaprim 을 주사하여 12시간 경과 후 복부압박법으로 채란하고 건식법으로 인공수정 시켰다. 산란된 성숙란은 약한 점착성을 띤회색의 분리침성난으로 난경은 1.04±0.03 mm이고 산란수는2,646±916개였다. 수온 25°C에서 수정 후 56시간 만에 부화하였으며, 크기는 전장 4.6±0.11 mm이었다. 부화 5일 후에 전장 6.8±0.28 mm로 난황이 모두 흡수되어 후기자어로 이행하였으며, 25일 후에는 전장 9.8±0.50 mm로 지느러미 기조가모두 정수로 되어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TAG Cobitis tetralineata, egg development, early life history
낙동강 하구역 부유성 자치어 종조성의 시,공간 변동
최희찬 ( Hee Chan Choi ) , 박주면 ( Joo Myun Park ) , 허성회 ( Sung Hoi Huh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5] 제27권 제2호, 104~115페이지(총12페이지)
2010년 9월부터 2011년 8월까지 매월 소조기에 낙동강 하구역의 안쪽과 바깥쪽 두 개 정점에서 자치어를 채집하여 종조성의 시공간 분포를 밝혔다.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자치어는 총 7목 26과에 속하는 43개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망둑어과 자치어가 전체 개체수의 63.1%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였다. 그중 하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가 개체수비 55.5%로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그 다음으로 청어 (13.2%), 멸치 (13.0%), 그리고 춘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 (4.6%), 전어 (3.8%), 동계출현 망둑어과 자치어 (3.1%), 정어리 (1.2%), 웅어 (0.7%) 순으로 채집되었고, 이들 8개 분류군이 전체 자치어 출현량의 95.0 %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에서 출현한 자치어 군집은 총 5개의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시기적으...
TAG Larval fish assemblage, Nakdong River, estuary, species composition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