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농업사학회20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서평 : 진주 농민항쟁의 역사를 읽고 (송찬섭 외, 『진주 농민항쟁의 역사적 조명』(역사평론사, 2003))
석태문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3] 제2권 제2호, 185~190페이지(총6페이지)
『농상집요(農桑輯要)』와『산가요록(山家要錄)』
김영진 ( Young Jin Ki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3] 제2권 제1호, 1~11페이지(총11페이지)
이 연구는 1273년에 중국에서 편찬된 『농상집요』와 1450년경에 한국예서 저술된 『산가요록』간의 관련성에 대해 검토한 결과이다. 여기에서는 14세기 중엽의 한국 농학자들은 중국에서 『농상집요』를 도입하게 되는 과정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나아가 그들은 이를 국내에서 다시 고려판각 『농상집요』를 간행하였을 뿐 아니라, 여러 용도에 맞게 이 농서를 다양하게 활용하였다. 이를 정리해 보면, 『농상집요』는 ① 국내에서 복각되어 활용되었고, ② 초록되어 사용되었으며, ③ 권농의 지침서로 참고되거나, ④ 조선시대 중기까지의 농서편찬에도 중요한 자료로서 참고되었다. 이렇게 널리 사용하게 된 까닭은 『농상집요』 가 중국에서 국가가 편찬한 것과 같이 국내에서도 관에서 다시 판각되거나 요약되고 행정력을 통해서 『농상집요』의 농업기술이 농촌의 지도층이나 농민에 침투되...
TAG 『농상집요, 農桑輯要』, 고려판각 『농상집요』, 『산가요록, 山家要錄』, 『동절양채, 冬節養菜』, 조선초기 농서, Nongsangjibyo, Sangayorok, Koream version of Nongsangjibyo, Dongjeolyangchae, agricultural manual of early Choson
『산가요록』의 분석 고찰을 통해서 본 편찬 연대와 저자
한복려 ( Bok Ryo Han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3] 제2권 제1호, 13~29페이지(총17페이지)
식생활 연구의 가장 중요한 자료인 고조리서에서 저작연대와 저자명이 없는 경우가 많아 식문화의 역사를 추정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 『산가요록』은 앞부분의 낙장으로 편찬연대를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다행히 책말미에 산가요록이라는 책명과 함께 지은이(전순의)와 베낀이(최유준)가 기록되어 있어, 저자를 통해 저작연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내용분석을 통해서도 이 책이 조선시대 세종 및 세조(15세기)조에 편찬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산가요록』의 농업분야는 고려조 농업서인 『농상집요』와 비슷한 내용이 많으며 조리부분에는 230여종의 음식이 소개되어 있다. 대부분의 초기 고조리서가 주방(술만드는법)에 국한되어 있다면 『산가요록』은 술을 포함하여 장, 김치 등 다양한 조리법의 음식이 소개되어 있다. 특히 최초의 조리서로 알려진 『수운잡방(1500년대초)』의 내용과 ...
TAG 『산가요록』, 전순의, 고조, 식해, 식의, 食醫, Sangayorok, Soon-Ui Jeon, ancient cookbooks, Sikhae, Sikui
조선전기 "동절양채(冬節養菜)" 농법의 탄생 -채소농법과 온돌기술의 결합을 중심으로-
이호철 ( Ho Chol Lee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3] 제2권 제1호, 31~65페이지(총35페이지)
최근에 발굴된 『산가요록』은 비록 중국 농서인 『농상집요』를 발췌하였지만, 나머지 절반 부분에서는 우리 농법을 담았다. 특히 이 농서는 당시 우리가 필요로 하던 채소기술을 담아서 이를 우리 음식 만들기에 응용하였으며, 나아가 ``동절양채``와 같은 우리 독창적인 농법을 채록하였다. 『산가요록』은 여러 분야를 포괄하는 농서였지만, 그 중 과채편에 기록된 20종의 채소들은 『농상집요』 중에서 당시 우리 농업에 필요한 것만 가려 뽑은 것이었다. 그러나 이 채소기술들은 대체로 『사시찬요초』과 매우 유사하였지만, 우리는 이를 통해 종래 잘 알 수 없었던 새로운 기술 내용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온돌은 우리 나라의 고유한 난방법이었다. 그런데, 『산가요록』이 저술되던 15세기초에 이르러 온돌은 국가가 앞장서서 보급하고 있었지만, 아직 서울에서조차도 이는 ...
TAG 『산가요록』, 채소농법, 온돌, 유지, 油紙, "동절양채, 冬節養菜", greenhouse technology in early Choson, vegetable growing technology, Sangayorok, Ondol, two heating methods
농업의 다원적기능, 그리고 세계화와의 그 양립성
알라드바튼 ( Arild Vatn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3] 제2권 제1호, 67~91페이지(총25페이지)
전세계에서 농업은 매우 다양한 조건 속에서 영위되고 있다. 이는 농업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인 자연환경이 크게 다르기 때문이다. 농업은 다양한 생태적 환경과 동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농업의 형태는 그 사회의 경제발전 정도와 사회 정치적 입지를 반영한다. 그에 따라 농업이 지닌 다원적 기능의 내용은 지역과 나라에 따라 차이가 있게 마련이다. 세계화의 진행과 함께 이제 국제회의들은 저마다 농업 다양성에 대한 문제를 논의에 올리고 있다. 농업의 수많은 기능들은 공익에 기여하고 있다. GATT/WTO의 농업협약 제20조는 이러한 ``농업의 다기능성``을 비교역적 관점, 즉 식량안보와 환경보호의 차원에서 다루고 있다. 이제 이 개념은 최근 OECD에서 확고한 위치를 획득하였다. "세계화"란 용어는 실로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논문은 이를 경제...
TAG 농업의 다기능성, 세계화, 전세계적인 자유무역 체제, 거래비용
16세기 후반 경상도 상주의 지역농법 -고상안(高尙顔)의 『농가월령(農家月令)』을 중심으로-
염정섭 ( Jeong Sup Yeo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3] 제2권 제1호, 93~122페이지(총30페이지)
16세기 후반 경상도(慶尙道) 상주(尙州)의 지역농법(地域農法)을 고상안(高尙顔)의 『농가월령(農家月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7세기 초반 경상도 상주 지역에서 고상안(高尙顔)이 지은 농서(農書)가 바로 『농가월령(農家月令)』인데, 고상안은 1619년 『농가월령』의 서문(序文)을 짓고 있었다. 『농가월령』에서 구체적인 농법(農法)의 내용을 파악하면 먼저, 논농사에서 이앙법(移秧法)을 일반적인 벼 경종법으로 채택하고 있었다. 또한 밭농사에서 보리와 밀을 중심으로 ``1년 2작``이 수행되고 있었다. 그리고 시비법(施肥法)과 농기구의 측면에서 경상도 상주(尙州) 지역농법(地域農法)의 특색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는 『농가월령』을 15세기에 편찬된 『농사직설(農事直說)』에서 찾아볼 수 있는 농법(農法)의 성격이 16세기를 거쳐 ...
TAG 농가월령, 農家月令, 지역농서, 地域農書, 지역농법, 地域農法, 시비법, 施肥法, 상주, 尙州, Nonggawolryeong, Jiyeoknongseo, Jiyeoknongbeob, Sang-ju, fertilization
일제하 일본인 지주의 일 존재형태 -「부민협회」의 설립과 농장경영-
소순열 ( Soon Yeol Soh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3] 제2권 제1호, 123~145페이지(총23페이지)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일본 마이니치(每日) 신문사 산하 재단법인 부민협회는 일본에서도 널리 알려진 농업서적 출판사이다. 이 글은 일제시대 부민협회의 설립과 그 농장경영 내용을 검토함으로써 일본인 지주의 식민지적 성격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부민협회의 설립과정 그리고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사업내용을 비교 검토하고, 조선 농장 경영의 내용을 파악함으로써 조선 농장 경영이 부민협회에 대해 어떠한 역할을 했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결론은 첫째, 『부민협회(富民協會)』는 1927년 마이니찌신문사 사장 모토야마 히코이치(本山彦一)가 기부한 조선의 토지와 공로표창금의 일부를 기본재산으로 하여 설립되었다. 둘째, 부민협회는 농사개량, 부업장려의 조사활동 및 실시를 주요 목적으로 하고 미맥 기타의 다수확 장려를 시작하고 농사공로자의 표창, 강습회, ...
TAG 일본인 지주, 지주경영, 부민협회, 공익법인, 소작증서, Japanese Landlord, Land tenure system, Huminkyoukai foundation, public foundation, tenancy certification
기경용 농기계 도입후 전통농법의 지속과 변화
배영동 ( Young Dong Bae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3] 제2권 제1호, 147~166페이지(총20페이지)
이 연구는 경북 영양군의 한 산간지역에 있는 5개의 자연마을에 대한 현지조사를 통하여, 재래농기구에 의한 전통적 농작업이 신기술에 기초한 농기계의 도입 이후, 노동 과정과 노동력동원 체계, 토지이용 체계가 어떻게 변화되었으며, 또한 전통적 농업기술이 얼마나 지속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대적 농기계에 의하여 전통적 농작업 과정이 부분적으로 생략되고, 밭이랑의 평면형상이 직선화 되는 등, 전통적인 농작업 과정, 노동력 체계, 토지이용 체계가 변화되었다. 기계화 농업은 단위 농작업 시간과 노동력 동원체계를 변모시키는 한편 소 사육을 위축시켰으며, 농기계 접근이 곤란한 토지의 이용도를 더 약화시켰으며, 농가당 경작면적을 확장시켰다. 그런데, 현대식 농기계 사용시에는 기존의 농업생산 조건과 농기계가 마찰을 일으켜 논바닥의...
TAG 전통 농법, 신기술, 농작업과정, 노동력체계, 토지이용체계, traditional farming methods, system of Labor power and Land use, modem farming machines, productivity of Labor, conventional farming tools, farming knowledge and method
지역박물관이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이한성 ( Han Sung Lee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3] 제2권 제1호, 167~178페이지(총12페이지)
박물관은 문화유산의 보존 측면에서 물론 높은 가치를 두어야 하지만, 지역의 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하나의 관광상품으로서의 가치도 간과할 수 없다. 타 지역에서 박물관을 관람하기 위해 오는 방문객들의 경우에 있어서는 그들이 지역 내에서 지출하는 여행경비는 지역의 상품수출로 간주될 수 있다. 이 연구는 밀양시가 추진하고 있는 박물관의 건립이 밀양의 지역경제 및 경제외적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수출기반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한 밀양지역의 수출승수는 7.204로 판명되었다. 타지역 방문객의 밀양지역 내 여행경비 지출액인 19억 4천만 원을 밀양지역의 수출액으로 간주하고 여기에다 앞에서 구한 밀양의 수출승수인 7.204를 곱하면 박물관 운영에 따른 밀양지역경제의 총생산유발효과 약 139억 9천만 원이 추정된다. 총고용 유발 효과는 2...
TAG 문화시설, 지역박물관, 지역경제, 수출기반모형, 입지상법, cultural facilities, museum, regional economy, Export Base Model, Location Quotient Method
서평 : 조선중기 전답매매 실태에 대한 종합적 이해 (이재수 저, 「조선중기 전답매매 연구」(집문당, 2003))
이정수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3] 제2권 제1호, 179~184페이지(총6페이지)
박물관은 문화유산의 보존 측면에서 물론 높은 가치를 두어야 하지만, 지역의 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하나의 관광상품으로서의 가치도 간과할 수 없다. 타 지역에서 박물관을 관람하기 위해 오는 방문객들의 경우에 있어서는 그들이 지역 내에서 지출하는 여행경비는 지역의 상품수출로 간주될 수 있다. 이 연구는 밀양시가 추진하고 있는 박물관의 건립이 밀양의 지역경제 및 경제외적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수출기반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한 밀양지역의 수출승수는 7.204로 판명되었다. 타지역 방문객의 밀양지역 내 여행경비 지출액인 19억 4천만 원을 밀양지역의 수출액으로 간주하고 여기에다 앞에서 구한 밀양의 수출승수인 7.204를 곱하면 박물관 운영에 따른 밀양지역경제의 총생산유발효과 약 139억 9천만 원이 추정된다. 총고용 유발 효과는 2...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