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지구과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지구과학회지215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한국 남서부 담양습지의 퇴적환경 변화와 형성시기 연구
신승원 ( Seungwon Shin ) , 김진철 ( Jin-cheol Kim ) , 이상헌 ( Sangheon Yi ) , 이진영 ( Jin-young Lee ) , 최태진 ( Taejin Choi ) , 김종선 ( Jong-sun Kim ) , 노열 ( Yul Roh ) , 허민 ( Min Huh ) , 조형성 ( Hyeongseong Cho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21] 제42권 제1호, 39~54페이지(총16페이지)
담양습지는 하도 내에 발달하는 하천습지로, 국내 처음으로 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유네스코 무등산권 세계지질공원 후보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담양습지 인근은 영산강 상류지역으로 현재는 비교적 넓은 평야지대가 분포한다. 담양습지 주변의 퇴적환경을 해석하고자 시추코어를 획득하였고, 퇴적상, 연대측정(AMS, OSL), 입도분석, 지화학분석 등을 수행했다. 또한 습지 주변의 기존 시추 코어 자료를 사용하여 종합적인 퇴적환경 변화를 해석했다. 담양습지가 분포하는 영산강 상류 일대의 평야 지역은 후기 플라이스토세 동안 형성된 하안단구 퇴적층이 비교적 하도와 먼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홀로세 퇴적층은 자갈층이 평야 일대에 걸쳐 넓게 분포하고 있어 홀로세 중기 이후 해수면이 안정화 된 다음에 망상하천의 형태로 퇴적된 것으로 해석했다. 그리고 현재와 같은 사행하천으로 전이...
TAG Damyang Wetland, sedimentary environment, Quaternary, age dating, pollen, 담양습지, 퇴적환경, 제4기, 연대 측정, 화분
한국 동남부 울산 지역에서 발견되는 화산재층의 산상과 동정
김정빈 ( Cheong-bin Kim ) , 김영석 ( Young-seog Kim ) , 임현수 ( Hyoun Soo Lim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21] 제42권 제1호, 55~64페이지(총10페이지)
화산재연대학은 화산재층을 지질학적 사건과 대비하거나 연대를 측정하는 연구이다. 화산재층은 건층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제4기 퇴적층의 연대측정에 매우 중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울산의 산하동과 정자동 지역에 분포하는 해안단구 퇴적층의 상하부에서 두 종류의 화산재가 발견되었다. 화산유리의 형태학적 특징과 굴절률, 주원소조성과 상관계수 분석을 통해 상부와 하부의 화산재는 각각 약 25 ka 전에 분출한 AT 화산재와 약 105-110 ka 전에 분출한 Ata 화산재로 밝혀졌다. Ata 화산재는 한국의 육상퇴적층에서 공식적으로 처음 보고되는 것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향후 한국의 제4기 고기후와 고환경 및 한국 동남부의 활성단층 연구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AG Ata tephra, AT tephra, marine terrace, refractive index, similarity coefficient, Ata 화산재, AT 화산재, 해안단구, 굴절률, 상관계수
지질공원 캐릭터의 개발 현황과 전망
하수진 ( Sujin Ha ) , 신승원 ( Seungwon Shin ) , 채용운 ( Yong-un Chae ) , 임현수 ( Hyoun Soo Lim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21] 제42권 제1호, 65~75페이지(총11페이지)
최근 10년 사이 우리나라의 국가지질공원은 급속히 증가하여 현재 13곳이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2010년 제주도에 이어 2017년 청송, 2018년 무등산권, 2020년 한탄강 국가지질공원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되었다. 하지만 국가지질공원 및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의 지속적인 확대에도 불구하고 아직 지질공원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나 지질공원을 통한 지역 경제발전에 대한 기여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지질공원에서는 지질공원을 교육 및 관광 사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대중의 친밀도와 우호성을 높이고자 지질공원 캐릭터를 개발하였지만, 다른 공공 캐릭터에서 나타나는 캐릭터 기획과 전문성 부족, 이미지 형성 이후의 스토리텔링 부족, 캐릭터 관리 부족 등의 이유로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개발 이후 방치되고 있는...
TAG National Geopark, UNESCO Global Geopark, geopark character, geotourism, 국가지질공원,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질공원 캐릭터, 지질관광
전세계의 지진 연구의 추세 분석
윤설민 ( Sul-min Yun ) , 함세영 ( Se-yeong Hamm ) , 전항탁 ( Hang-tak Jeon ) , 정재열 ( Jae-yeol Cheong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21] 제42권 제1호, 76~87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20년까지 지진과 관련된 지하수위, 수질, 라돈, 원격탐사, 전기비저항, 중력, 지자기 분야의 세계적으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편수를 Web of Science에서 검색하여 그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논문 편수와 Mw 5.0 이상, Mw 6.0 이상, Mw 7.0 이상, Mw 8.0 이상, Mw 9.0 이상 지진 발생 건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지진과 관련한 중력, 라돈, 지하수(지하수위, 수질), 전기비저항, 지자기분야 논문 편수는 장기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이는 원격탐사 기술의 발달, 측정 장비의 고도화,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통한 종합적인 자료 ...
TAG earthquake, trend, Mann-Kendall test, cross correlation analysis, number of articles, 지진, 경향성, Mann-Kendall 검정, 교차상관분석, 논문 편수
야외지질답사 및 모델링 기반 순환 학습에서 학생들이 그린 그림의 목적과 기능에 대한 이해
최윤성 ( Yoon-sung Choi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21] 제42권 제1호, 88~101페이지(총14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그린 그림이 야외지질답사와 모델링 기반 순환 학습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질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서울의 한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10명의 학생이 참여하였다. 한탄강 형성과정이라는 것을 주제로 야외지질답사와 3차시 모델링 3차시 수업을 진행하였다. 각 차시별 학생들이 작성했던 모든 기록장(글, 그림), 연구자 필드노트, 학생들이 참여한 모든 영상 자료 및 음성 녹음, 전사한 인터뷰 자료 등을 연구진과 공유하였다. Hatisaru (2020) 그림 표상화를 야외지질학습의 맥락에 맞게 수정하여 그림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학생들의 글(text, memo)을 포함한 그림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연연적 내용 분석(deductive 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또한, 그림이 모델링 기반 순환 과정(자료 ...
TAG learning in geological field trip, scientific models and modeling, modeling-based learning cycle, drawing activity, 야외지질학습, 과학적 모델 및 모델링, 모델링 기반 순환 학습, 그림 그리기
국내외 극지 교육 프로그램 분석
최하늘 ( Haneul Choi ) , 정수임 ( Sueim Chung ) , 최영진 ( Youngjin Choi ) , 강현지 ( Hyeonji Kang ) , 전주영 ( Jooyoung Jeon ) , 신동희 ( Donghee Shin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21] 제42권 제1호, 102~117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극지 관련 연구소 및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극지 교육 프로그램의 교수 학습 특징을 분석하여 국내 극지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극지연구소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33개국 45곳의 극지 관련 연구소 및 기관 중 최종적으로 9개국 16곳의 연구소 및 기관에서 현재 운영하고 있는 120개의 프로그램을 선정했다. 교육 대상, 교수자, 교육 기간, 교육 장소, 운영 방식, 교수 학습 내용, 교수 학습 방법을 분석 기준으로 하여 프로그램들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교수자, 운영 방식, 교육 장소, 교수 학습 방법에서 국내외 프로그램의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를 토대로 실제 프로그램 사례를 통해 극지 교육의 저변 확대, 극지 교육 프로그램 교육 방법의 다양화, 극지 교육의 체계화 측...
TAG polar education programs, learning methods,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극지 교육 프로그램, 교수 학습 방법, 극지연구소
행성 궤도의 모양에 관한 중학교 영재 학생들의 증거 기반 추론
오필석 ( Phil Seok Oh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21] 제42권 제1호, 118~131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영재 학생들이 수행한 증거 기반 추론의 특징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수도권에 위치한 한 대학교의 영재 교육원에서 중학교 영재 학생들이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한 탐구 과제를 통해 수집되었다. 학생들에게 수성의 최대 이각을 관측한 자료를 제공하고 이 자료를 이용하여 수성의 공전 궤도를 작도하게 하였다. 또, 작도 전에 수성의 궤도에 대한 자신의 가설을 진술하게 하였으며 작도 결과를 증거로 삼아 수성 궤도의 모양을 추론하게 하였다. 학생들이 제출한 보고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수성의 공전 궤도 모양에 관한 판단 유형을 5가지로 분류하고 가설 및 증거에 관한 추론 유형을 4가지로 분류한 후, 판단 유형에 따른 증거 기반 추론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증거 기반 추론에서는 증거에 대한 적절한 해석이 중요하고, ...
TAG gifted students, evidence-based reasoning, theory-evidence coordination, planetary orbit, 영재 학생, 증거 기반 추론, 이론과 증거의 조화, 행성 궤도
비황사 사례에 기인한 청주시 PM2.5 고농도 원인
김다빈 ( Da-bin Kim ) , 문윤섭 ( Yun-seob Moon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20] 제41권 제6호, 557~574페이지(총18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일기도, 850 hPa 면의 유선, 후방궤적과 기상, 그리고 대기질 모델을 이용하여 비황사기간 동안 청주시 미세먼지 PM2.5의 고농도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청주시 PM2.5 고농도 사례일 동안 시계열과 일기도를 분석한 결과, 중국 또는 주변 지역으로부터 PM2.5의 장거리 수송과 관련된 기상 패턴을 나타내었다. 실제로 PM2.5 시계열에서 자체 기여 농도보다 2-3배 이상 증가한 60-80 μg m-3가 장거리 수송과 관련된 배경농도로 관측되었다. PM2.5의 고농도는 대체로 상층 제트류가 한반도를 통과하면서 지상 고기압과 저기압의 발달 위치에 따라 분포하였다. 결과적으로...
TAG PM2, 5, wind speed zone, high pressure expansion, M-shaped pattern, gradual incremental pattern, 빠른 풍속대, 고기압 확장역, M자형 패턴, 점진적 증가형 패턴
기상드론을 이용한 보성 지역 기상 인자의 연직 측정 및 분석
정지효 ( Jihyo Chong ) , 신승숙 ( Seungsook Shin ) , 황성은 ( Sung Eun Hwang ) , 이승호 ( Seungho Lee ) , 이승협 ( Seung-hyeop Lee ) , 김백조 ( Baek-jo Kim ) , 김승범 ( Seungbum Kim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20] 제41권 제6호, 575~587페이지(총13페이지)
기상현상관측은 기상청에서 다양한 방법(지상, 고층, 해양, 항공, 등)으로 관측되고 있다. 하지만, 인간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대기경계층 관측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존데 또는 항공기를 이용한 기상관측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상당한 비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상드론을 이용하여 국지기상현상 중 해륙풍 연직분포에 대한 기상 인자들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해륙풍의 공간적 분포를 연구하기 위해 보성지역 표준기상관측소의 보성종합기상탑을 포함한 다른 세 지점(해안가, 산기슭, 산중턱)에 동일한 통합기상센서를 각 드론에 탑재하였다. 2018년 8월 4일 1100 LST부터 1800 LST까지 30분 간격으로 최대 400 m 고도까지 기온, 상대 습도, 풍향, 풍속, 기압의 연직 프로파일 관측이 수행되었다. 기온, 상대 습도, 기압에 대한 기...
TAG Meteorological factors, Local meteorological phenomena, Meteorological drone, Vertical profile observations, 기상 인자, 국지기상현상, 기상드론, 연직 프로파일 관측
이어도와 주변 해역의 표층퇴적물 분포와 퇴적물 기원지
장태수 ( Tae Soo Chang ) , 정종옥 ( Jong Ok Jeong ) , 이은일 ( Eunil Lee ) , 변도성 ( Do-seong Byun ) , 이화영 ( Hwayoung Lee ) , 손창수 ( Chang Soo Son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20] 제41권 제6호, 588~598페이지(총11페이지)
해양환경과 기상연구 거점으로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수중에 잠긴 화산섬, 이어도의 퇴적물과 해양지질학적 연구는 부족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어도 해저에 분포하는 퇴적물의 종류와 분포양상, 그리고 그 퇴적물의 기원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어도와 그 주변에서 박스코어러를 사용하여 25점의 표층퇴적물을 획득하였으며, 퇴적물 입도분석과 XRD 점토광물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어도의 정봉은 북부에 존재하며, 남부는 파식대지가 나타난다. 따라서 화산체의 남부는 파랑에 의한 침식작용으로 사라지고, 북부에 일부만 살아남은 것으로 해석된다. 입도분석결과, 패각과 산호편을 포함하는 자갈과 모래 퇴적물은 이어도 화산체와 파식대지에 주로 분포하며, 니질 퇴적물은 이어도 주변해역의 깊은 곳에 나타난다. 점토광물은 일라이트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녹니석과 카올리나이트 순...
TAG Ieodo, subsea morphology, surface sediment, clay mineral, provenance, 이어도, 해저지형, 표층퇴적물, 점토광물, 기원지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