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9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공간 디자인의 이해를 위한 기초적 연구 -디자인의 기본요소들을 중심으로-
박수빈(주저자) ( Su Bin Park ) ,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 ,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숙명디자인학연구 [2016] 제22권 112~121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디자인의 기본 요소들을 중심으로 공간디자인의 이해를 위한 기초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S여대 환경디자인과 공간환경디자인전공의 기초과목으로서 2015년 9월~12월까지 진행된 수업자료를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먼저, 본 연구의 대상인 공간환경디자인스튜디오 교과목은 각각의 학생들에게 4차원공간에 대한 이해, 평면회화를 입체화하는 과정, 그에 필요한 공간디자인의 필수적 요소와 프로세스를 파악하고, 각 과정별로 수집, 분석, 표현하는 방법을 익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은 디자인 및 조형 원리에 대한 이해와 브랜드를 접목하여 실제 공간의 컨셉과 주요 특정 요소들을 활용하여 구체적으로 공간 디자인에 적용하도록 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공간디자인을 처음으로 접하는 학생들에게 좀 더 쉽고 창의적인 공간디자인...
TAG 공간디자인의 이해, 디자인 요소, Understanding of the Space Design, Design Element
서울의 하천 공간 되살리기 프로젝트-홍제천의 수변공간을 중심으로-
손지원(주저자) ( Ji Won Sohn ) , 양정은(주저자) ( Jung Eun Yang ) , 이채영(주저자) ( Chae Young Lee ) ,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 ,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숙명디자인학연구 [2015] 제21권 3~19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한강을 중심으로 흐르는 35개의 하천들을 중심으로 발달한 수변공간의 현재와 하천의 직강화 개발에서 오는 환경적 문제점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사람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올바른 수변공간의 디자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홍제천으로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동에 위치해 있다. 종로구·서대문구·마포구 일대에 걸쳐 흐르는 지방 2급 하천이다. 한강공원·청계천 등 수변공간을 이용하여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수변공간을 만들고 있는 현재, 수변공간의 개발이 하류 외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이용률이 적다. 이 중 연구 대상 구간인홍제천의 중상류 부분은 물길이 좁아져 유속이 빠르며 홍수의 위험이 큰 것이 특징이다. 연구 결과, 하천 주변의 자연을 그대로 받아들여 물길에 따른 공간을 디자인하여 수변공간과 하천을 비롯한 자연 사...
TAG 하천, 자연하천 공법, 수변 공간, 수변 공간 디자인, 홍제천, Stream, Natural river engineering, Waterfront, Waterfront design, Hong-jae stream
화랑대 폐역사를 활용한 복합문화공간 계획 -폴딩, 축, 장소성을 중심으로-
김우경(주저자) ( Woo Kyoung Kim ) , 이지원(주저자) ( Ji Won Lee ) ,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 ,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숙명디자인학연구 [2015] 제21권 20~32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화랑대 폐역사 부지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해 복합 문화공간으로 거듭나게 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5년 3월-6월 16주간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 수업의 결과물로서 10개 팀 중1개 팀의 작업 과제를 정리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화랑대 주변의 지역 주민들과 자전거 이용객들을 타겟으로 하여 등록문화재로 지정은 되어있으나 소홀한관리로 방치되어 있는 화랑대 역사부지에 복합문화공간을 제안한다. 아울러 화랑대 폐역사에 7가지 각기 다른 특성의 공간을 배치하여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현재는 기능을 상실한 채로남아있는 부지를 이용하여 복합문화공간을 개발함에 있어서 문화공간으로서 역사성과 장소성, 자연의 이용, 그리고 형태생성적인 프로세스인 폴딩기법을 연구함에 의...
TAG 자연, 장소성, , 철로, 복합문화공간, 공간디자인, green network, placeness, axis, railroad, complex cultural space, space design
지하 유희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대조동 주민 센터 인근 지하공간 중심으로-
김다영(주저자) ( Da Young Kim ) , 백소이(주저자) ( So Yi Baek ) , 홍성은(주저자) ( Sung Eun Hong ) ,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 ,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숙명디자인학연구 [2015] 제21권 33~43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사회의 다양한 계층을 위한 유희공간으로 시작되었으며, 시간별 가용성과 공간의 효율성을 동시에 높이기 위해, 모듈을 이용한 방의 개념으로 접근하여 목적이 있는 방 ``Goal 房``을 구성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체적인 디자인 개념을 ‘방’에서 고안하여, 인간 척도를 통해 최소 모듈을 만들고, 이것을 활용하여 공간을 구성한다. 공간을 기능별로 세 가지 존 ①Silence Zone ②PlayZone ③Activity Zone 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행위를 유발시킨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시각적 결과물로 나타낸다.
TAG 디자인 프로세스, 놀이, 유희공간, 공공디자인, 모듈디자인, Design Process, Play, Amusement Space, Public Design, Module Design
홍대 놀이터의 확장을 위한 지하공원화 계획 -어두움을 그리다-
오한결(주저자) ( Han Gyeol Oh ) , 임슬비(주저자) ( Seul Bi Lim ) , 정지은(주저자) ( Ji Eun Jung ) ,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 ,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숙명디자인학연구 [2015] 제21권 44~57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공간 환경 스튜디오 Ⅶ 수업에서 진행한 기존 공간 리뉴얼 프로젝트에 대한 공간 디자인프로세스 연구이다. 본 연구의 과정은 총 세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초반과정으로는 대지의 분석과정에서 도출된 여러 가지 문제점 해결을 목표로 아이디어 도출 과정을 거쳤다. 구체적으로 홍대 놀이터의 역사·지리적 특성·지역성·문화 등에 대한 기본정보조사와 실제적인 설문조사, 진행하고자 하는 공간의 사례분석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두 번째 단계로는 프로젝트의 목적을 정하고 앞서 진행한 분석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파악하여 해결책을 생각하였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문제점 해결을 위해 공간을 외부와 내부로 나누어 적용할 개념과 컨셉 언어를 정하였다. 그 후 공간의 컨셉과 주요 특징 요소를 정하였다. 이단계에서 변화된 홍대 놀이터의 이미지와 공간의 목적이 구체화 되었다....
TAG 공간 리뉴얼 프로젝트, 공간 개념, 공간 특징, 공간의 목적 구체화, 공간 디자인, Space renewal project, Space concept, Space features, Clarify the purpose of space, Space design
화호미곡창고 재생 프로젝트 -"법고창신(法古創新)"을 통해 옛에서 새로움을 찾다-
송민경(주저자) ( Min Kyung Song ) , 심민주(주저자) ( Min Joo Shim ) , 유혜리(주저자) ( Hye Lee Yu ) ,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 ,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숙명디자인학연구 [2015] 제21권 58~66페이지(총9페이지)
본 프로젝트는 버려진 공간의 재생이라는 큰 주제를 가지고 정읍시 화호리에 위치한 미곡창고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옛 것을 버리고 새로움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옛 것 속에서 새로움을 찾는것이 이 프로젝트의 목표이다. 화호창의 기존의 천장, 벽체, 창문, 우물, 측구를 중심으로 옛 모습에서 새로운 디자인 방향성을 발견하여 새로운 식음문화공간의 모습을 제시한다. 또한 본 프로젝트는 버려진 공간의 역사성과 시간성에 주목하여 공간의 가치를 더하려고 한다. 본 프로젝트는 옛 공간과 새로운 디자인의 융합이라는 의미와 함께 창고로서의 기능도 잃지 않으면서 곡물창고와 어울리는 식음문화 공간을 연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TAG 재생공간, 창고디자인, 복합공간, 식음문화공간, Regenerated Space, Warehouse Design, Complex Space, F&B Culture Space
황지본선 폐 터널들을 활용한 새로운 공간 "황지 둘렛길"-터널의 공간적인 활용을 중심으로-
신민영(주저자) ( Min Young Shin ) , 정은영(주저자) ( Eun Young Jung ) , 허은영(주저자) ( Eun Young Heo ) ,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 ,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숙명디자인학연구 [2015] 제21권 67~82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버려진 폐 터널을 기능성으로만 활용하고있는 현 상황에 대해서 비판하며 터널이라는 공간적 특성을 살릴 수 있는 활용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안하는 작업이다. 터널이라는 좁고 한정적인 공간 속에서 터널이 가지는 고유한 Identity가 사라지지 않도록 터널의 본형태는 유지하면서, 구조적인 디자인을 추가해 공간의 활용을 최대한 끌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프로젝트는 2015년 3월 ~ 6월 15주간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 > 수업에서 진행된 수업의 결과물이며, 가인 디자인 그룹에서 주최한 <한국 인테리어 대전 제 28회> 공모전에 ``황지 둘렛길``이라는 제목으로 제출한 제안서를 논문 형식으로 정리한 것이다. 터널이라는 좁고 어두운 공간적인 특성 때문에 다양한공간적인 디자인이 힘들고 어렵지만, 오히려 그러한 공간이...
TAG 폐터널, 재생, 휴식, A Waste Tunnel, Recycling, Rest
고령층 및 저소득층을 위한 마을개선 디자인에 대한 연구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 "장수마을"을 배경으로-
변승희(주저자) ( Seung Hee Byun ) , 백지원(주저자) ( Ji Won Baik ) , 안시현(주저자) ( Si Hyun Ahn ) ,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 ,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숙명디자인학연구 [2015] 제21권 83~91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빠른 고령화로 인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고령층 인구와 저소득층 인구가 밀집한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에 위치한 ‘장수 마을’을 환경 디자인적 관점으로 Redesign을 하고, 마을 자체의 브랜드를 구축하는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대상은 2015년 3월 ~ 6월 15주간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공간환경스튜디오VII>수업에서 진행된 수업의 결과물이로서 10개 팀 중 1개팀의 작업물을 정리한 것이다. 본 연구는 방문객과 마을 거주민이 즐거운 공생을 할 수 있는 환경 재건을 목표로 하였다. 저소득층 인구 비율이 많은 마을의 자립을 위해 필요한 시설들을 제안하였으며, 방문객 역시 이용 가능한 공간으로 환경 개선을 제안하였다. 또한 마을 로고와 로고타입, 색을 제작하여 마을자체 브랜드를 제안해주었다. 이는 ...
TAG 마을 개선, 환경 개선, 고령층, 장수마을, village renovation, environment improvement, the elderly population, Longevity Village
도심 속 가설 주차 구조물을 이용한 컨테이너 모듈 형태의 운동,놀이,휴식의 공간 디자인 -가설 구조물의 보와 기둥의 Grid를 활용한 공간 디자인-
김주희(주저자) ( Ju Hee Kim ) , 맹지수(주저자) ( Ji Soo Maeng ) , 윤희수(주저자) ( Hee Su Yoon ) ,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 ,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숙명디자인학연구 [2015] 제21권 92~99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도심 속에서 효율적으로 이용되지 못하는 가설 실외 주차장 건물을 이용하여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고 본래의 이용과 새로운 효율적인 이용방법 및 본래의 가설 구조물의 Grid를 이용한 디자인 적용을 통해서 갑갑한 일상에 지친 도시민들이 원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H자 철골 구조물들로 이루어진 가설 구조물에서 얻어온 건물의 Grid를 공간 디자인에 고안하여, 업무와 획일적인 도시민의 신체활동과 휴식에 대한 욕구를 해소할 수 있는 공간 설계가 이루어졌다. Grid와 철제 구조물, 컨테이너 형의 박스디자인의 각 공간은 이용객들의 신체 움직임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모듈로 만들어지고 조합되어 여러 부분에 적용되고 큰 디자인이 형성되었다. 3층의 가설 실외 주차 건물은 크게 휴식과 카페테리아의 1...
TAG 그리드, 휴식, 운동, 놀이, 실외주차 구조물, 도심 속 유휴시설, 컨테이너 모듈, 공공 디자인, Grid, rest, exercise and playing space, outdoor parking structures, leisure facilities in urban areas, public design
충무로 르네상스 프로젝트 -충무로 인쇄골목 활성화를 위한 영상문화시설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도아(주저자) ( Do Ah Kim ) , 박가현(주저자) ( Ga Hyun Park ) , 이형은(주저자) ( Hyung Eun Lee ) ,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 ,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숙명디자인학연구 [2015] 제21권 100~107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사회적 문제와 공간디자인간의 융합 프로젝트를 통해 한 공간의 리노베이션으로써 현대 사회에서 문제로 인식되어 강조 되고 있는 사회적 이슈를 다루고 그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시도했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충무로의 지역과 역사를 중점적으로 분석해 충무로의 대표 산업인 인쇄와 영화 산업이 쇠퇴되어 있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지적해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해 본 결과 리노베이션을 적용한 영상문화시설을 도출해 내었다. 충무로라는 지역의 문제점을 사회문화적 측면과 물리적 환경 측면에서 바라보고 각각의 해결방안을 공간디자인을 적용해 풀어내 지역재생을 도모하고자 한다. 디자인 컨셉은 충무로의 영화산업에서 도출하였으며 공간 계획과 이에 맞는 프로그램은 ‘영상문화시설’이라는 목적에 맞게 구성해보았다. 최종 결과물로는 ‘충무로 르네상스’라는 이름으로 ...
TAG 충무로인쇄단지, 지역재생, 재생건축, 리노베이션 디자인, Chungmu-ro Industry, Regeneration, Renovation desig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