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현대영미시학회38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영문 논문 : 에즈라 파운드의 모순적인 시적 자아
김준환(Joon Hwan Kim)  한국현대영미시학회, 현대영미시연구 [2001] 제6권 171~210페이지(총40페이지)
본 논문은 에즈라 파운드(Ezra Pound : 1885~1972)의 산문, 초기 시 두 편, 그리고 『캔토스』에 나타난 시적 자아의 갈등 양상을 밝혀보려는 것이다. 파운드의 시적 자아에 대한 기존의 해석은 한편으로는 본격 모더니즘의 "비개성론"을 통해 "보이지 않는" 파운드만을 강조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무솔리니의 파시즘과 연루된 전기적 사실을 통해 너무 명확하게 "보이는" 파운드만을 강조하였다. 전자의 해석은 파운드에게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상실한 근원"에 대한 유럽중심적 자아를 설명하지 못했고, 후자의 해석은 파운드의 "이미지"(Image) "소용돌이"(Vortex) 및 "표의문자"(Ideogram)로 쓰여진 시에 나타난 탈-유럽적 자아를 설명할 수가 없었다. 본 논문은 이 두 가지 서로 다른 해석이 나타날 수 밖에 없...
영문 논문 : 자아이식의 예술과 안으로 향하기 / 20 세기를 맞은 애가의 운명
홍경주(Kyong Joo Hong)  한국현대영미시학회, 현대영미시연구 [2001] 제6권 143~169페이지(총27페이지)
고전적인 의미에서 애가(the elegy)는 그 발생 초기부터 장례식이나 가을 파종시에 행해지는 예식의 일부로서 시작되었고, 20세기에 이르기까지 목가(the pastoral)와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전통적인 애가와 20세기 애가 사이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이 둘이 목가와 맺고 있는 관계적인 측면에 놓여 있다. 즉 전통적인 애가는 목가에 의존하고 있는 반면에, 20세기 애가는 목가를 금하고 있다는 데 그 차이가 있다. 비록 우리가 애가와 목가 사이의 이러한 분리가 구체적으로 언제 어떻게 일어났는가를 꼬집어 말할 수는 없다 하더라도, 애가에서 목가적인 요소의 부재가 의미하는 바는 분명하다. 이러한 부재는 해야 할 아무런 구체적인 "일들"이 없어지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달...
뢰트케 시와 작은 생명체들
강방영(Bang Young Kang)  한국현대영미시학회, 현대영미시연구 [2001] 제6권 5~33페이지(총29페이지)
고전적인 의미에서 애가(the elegy)는 그 발생 초기부터 장례식이나 가을 파종시에 행해지는 예식의 일부로서 시작되었고, 20세기에 이르기까지 목가(the pastoral)와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전통적인 애가와 20세기 애가 사이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이 둘이 목가와 맺고 있는 관계적인 측면에 놓여 있다. 즉 전통적인 애가는 목가에 의존하고 있는 반면에, 20세기 애가는 목가를 금하고 있다는 데 그 차이가 있다. 비록 우리가 애가와 목가 사이의 이러한 분리가 구체적으로 언제 어떻게 일어났는가를 꼬집어 말할 수는 없다 하더라도, 애가에서 목가적인 요소의 부재가 의미하는 바는 분명하다. 이러한 부재는 해야 할 아무런 구체적인 "일들"이 없어지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달...
테드 휴즈 시의 묵시적 특성 ( 2 )
김명옥(Myong Ok Kim)  한국현대영미시학회, 현대영미시연구 [2000] 제5권 5~39페이지(총35페이지)
고전적인 의미에서 애가(the elegy)는 그 발생 초기부터 장례식이나 가을 파종시에 행해지는 예식의 일부로서 시작되었고, 20세기에 이르기까지 목가(the pastoral)와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전통적인 애가와 20세기 애가 사이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이 둘이 목가와 맺고 있는 관계적인 측면에 놓여 있다. 즉 전통적인 애가는 목가에 의존하고 있는 반면에, 20세기 애가는 목가를 금하고 있다는 데 그 차이가 있다. 비록 우리가 애가와 목가 사이의 이러한 분리가 구체적으로 언제 어떻게 일어났는가를 꼬집어 말할 수는 없다 하더라도, 애가에서 목가적인 요소의 부재가 의미하는 바는 분명하다. 이러한 부재는 해야 할 아무런 구체적인 "일들"이 없어지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달...
제프리 힐의 저항의 목소리 / 역사의 진학성과 시적 증언의 이중성
김양순(Yang Soon Kim)  한국현대영미시학회, 현대영미시연구 [2000] 제5권 41~66페이지(총26페이지)
고전적인 의미에서 애가(the elegy)는 그 발생 초기부터 장례식이나 가을 파종시에 행해지는 예식의 일부로서 시작되었고, 20세기에 이르기까지 목가(the pastoral)와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전통적인 애가와 20세기 애가 사이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이 둘이 목가와 맺고 있는 관계적인 측면에 놓여 있다. 즉 전통적인 애가는 목가에 의존하고 있는 반면에, 20세기 애가는 목가를 금하고 있다는 데 그 차이가 있다. 비록 우리가 애가와 목가 사이의 이러한 분리가 구체적으로 언제 어떻게 일어났는가를 꼬집어 말할 수는 없다 하더라도, 애가에서 목가적인 요소의 부재가 의미하는 바는 분명하다. 이러한 부재는 해야 할 아무런 구체적인 "일들"이 없어지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달...
실비어 플라스의 육체의 시학
박재열(Jae Yeol Park)  한국현대영미시학회, 현대영미시연구 [2000] 제5권 67~91페이지(총25페이지)
고전적인 의미에서 애가(the elegy)는 그 발생 초기부터 장례식이나 가을 파종시에 행해지는 예식의 일부로서 시작되었고, 20세기에 이르기까지 목가(the pastoral)와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전통적인 애가와 20세기 애가 사이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이 둘이 목가와 맺고 있는 관계적인 측면에 놓여 있다. 즉 전통적인 애가는 목가에 의존하고 있는 반면에, 20세기 애가는 목가를 금하고 있다는 데 그 차이가 있다. 비록 우리가 애가와 목가 사이의 이러한 분리가 구체적으로 언제 어떻게 일어났는가를 꼬집어 말할 수는 없다 하더라도, 애가에서 목가적인 요소의 부재가 의미하는 바는 분명하다. 이러한 부재는 해야 할 아무런 구체적인 "일들"이 없어지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달...
토마스 하디의 시 / 우주적 자비 ( Metta ) 의 실천
백원기(Won Gi Baek)  한국현대영미시학회, 현대영미시연구 [2000] 제5권 93~113페이지(총21페이지)
고전적인 의미에서 애가(the elegy)는 그 발생 초기부터 장례식이나 가을 파종시에 행해지는 예식의 일부로서 시작되었고, 20세기에 이르기까지 목가(the pastoral)와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전통적인 애가와 20세기 애가 사이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이 둘이 목가와 맺고 있는 관계적인 측면에 놓여 있다. 즉 전통적인 애가는 목가에 의존하고 있는 반면에, 20세기 애가는 목가를 금하고 있다는 데 그 차이가 있다. 비록 우리가 애가와 목가 사이의 이러한 분리가 구체적으로 언제 어떻게 일어났는가를 꼬집어 말할 수는 없다 하더라도, 애가에서 목가적인 요소의 부재가 의미하는 바는 분명하다. 이러한 부재는 해야 할 아무런 구체적인 "일들"이 없어지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달...
로버트 프로스트의 『 지시 』 / 메타포의 메타포
신재실(Jae Sil Shin)  한국현대영미시학회, 현대영미시연구 [2000] 제5권 115~139페이지(총25페이지)
고전적인 의미에서 애가(the elegy)는 그 발생 초기부터 장례식이나 가을 파종시에 행해지는 예식의 일부로서 시작되었고, 20세기에 이르기까지 목가(the pastoral)와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전통적인 애가와 20세기 애가 사이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이 둘이 목가와 맺고 있는 관계적인 측면에 놓여 있다. 즉 전통적인 애가는 목가에 의존하고 있는 반면에, 20세기 애가는 목가를 금하고 있다는 데 그 차이가 있다. 비록 우리가 애가와 목가 사이의 이러한 분리가 구체적으로 언제 어떻게 일어났는가를 꼬집어 말할 수는 없다 하더라도, 애가에서 목가적인 요소의 부재가 의미하는 바는 분명하다. 이러한 부재는 해야 할 아무런 구체적인 "일들"이 없어지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달...
로버트 로월의 『 인생연구 』 의 구조
이홍필(Hong Pil Lee)  한국현대영미시학회, 현대영미시연구 [2000] 제5권 141~169페이지(총29페이지)
고전적인 의미에서 애가(the elegy)는 그 발생 초기부터 장례식이나 가을 파종시에 행해지는 예식의 일부로서 시작되었고, 20세기에 이르기까지 목가(the pastoral)와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전통적인 애가와 20세기 애가 사이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이 둘이 목가와 맺고 있는 관계적인 측면에 놓여 있다. 즉 전통적인 애가는 목가에 의존하고 있는 반면에, 20세기 애가는 목가를 금하고 있다는 데 그 차이가 있다. 비록 우리가 애가와 목가 사이의 이러한 분리가 구체적으로 언제 어떻게 일어났는가를 꼬집어 말할 수는 없다 하더라도, 애가에서 목가적인 요소의 부재가 의미하는 바는 분명하다. 이러한 부재는 해야 할 아무런 구체적인 "일들"이 없어지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달...
포스트모더니즘의 시학 / 로버트 크릴리와 열린 시
최재헌(Hun Jae Choi)  한국현대영미시학회, 현대영미시연구 [2000] 제5권 171~190페이지(총20페이지)
고전적인 의미에서 애가(the elegy)는 그 발생 초기부터 장례식이나 가을 파종시에 행해지는 예식의 일부로서 시작되었고, 20세기에 이르기까지 목가(the pastoral)와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전통적인 애가와 20세기 애가 사이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이 둘이 목가와 맺고 있는 관계적인 측면에 놓여 있다. 즉 전통적인 애가는 목가에 의존하고 있는 반면에, 20세기 애가는 목가를 금하고 있다는 데 그 차이가 있다. 비록 우리가 애가와 목가 사이의 이러한 분리가 구체적으로 언제 어떻게 일어났는가를 꼬집어 말할 수는 없다 하더라도, 애가에서 목가적인 요소의 부재가 의미하는 바는 분명하다. 이러한 부재는 해야 할 아무런 구체적인 "일들"이 없어지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달...
 31  32  33  34  35  36  37  38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