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식물분류학회 AND 간행물명 : 식물분류학회지112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Comparative chloroplast genomics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Viburnum dilatatum complex (Adoxaceae) in Korea
( Jongsun Park ) , ( Hong Xi ) , ( Sang-hun Oh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20] 제50권 제1호, 8~16페이지(총9페이지)
TAG chloroplast genomes, comparative analysis, data mining, phylogeny
New diploid populations of Chrysanthemum indicum L. (Asteraceae) from Korea
( Jung Hyun Kang ) , ( Jung Sung Kim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20] 제50권 제1호, 17~21페이지(총5페이지)
TAG Chrysanthemum indicum, diploid, tetraploid, chromosome number
Development of EST-SSR markers for the Korean endemic species Chrysosplenium aureobracteatum (Saxifragaceae)
( Jae-seo Shin ) , ( Bo-yun Kim ) , ( Yong-in Kim ) , ( Jung-hoon Lee ) , ( Young-dong Kim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20] 제50권 제1호, 22~26페이지(총5페이지)
TAG population genetics, endemic species, cross-amplification, conservation
입암산과 백암산의 식물상
선은미 ( Eun-mi Sun ) , 손현덕 ( Hyun-deok Son ) , 박성배 ( Seong-bae Park ) , 김우남 ( U-nam Kim ) , 임형탁 ( Hyoung-tak Im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20] 제50권 제1호, 27~55페이지(총29페이지)
전라남도 장성군과 전라북도 정읍시, 순창군에 위치한 입암산과 백암산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고 분포가 확인된 주요식물에 대해 논의하였다. 1990년 이후 채집되어 전남대 생물학과 표본실(CNU)에 수장된 표본에 근거하여 관속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입암산과 백암산에서는 116과 403속 687종 16아종 58변종 8품종의 총 76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한국특산식물로는 매미꽃, 변산바람꽃 등 총 24분류군이었으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로는 애기천마, 노랑붓꽃 등 1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Ⅱ급 식물인 진노랑상사화, 대흥란, 노랑붓꽃을 포함하여 14종의 적색목록 식물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에는 멸종위기(endangered species, EN) 범주의 진노랑상사화, 대흥란, 애기천마와 취약(vulnerable, VU) 범주의 백양꽃...
TAG endemics, flora,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Ibamsan Mt., Baekamsan Mt., rare and endangerd plants, invasive plants, 입암산, 백암산, 식물상, 특산식물, 휘귀 및 멸종위기식물, 식물구계학적종, 귀화식물
백두대간보호지역의 식물상: 덕치-육십령 구간
황승현 ( Seung Hyun Hwang ) , 이진웅 ( Jin Woong Lee ) , 라은화 ( Eun Hwa La ) , 안진갑 ( Jin Kap Ahn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20] 제50권 제1호, 56~79페이지(총24페이지)
동아시아에서 가장 큰 산줄기인 백두대간은 빙하기 때 식물의 주요 피난처로서 생물다양성 보존에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백두대간보호지역 덕치-육십령 구간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고 분포가 확인된 주요식물에 대해 논의하였다. 조사구간은 4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2015년 3월부터 9월까지 각 구간별 총 3회 12일 동안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확보된 표본은 대전대학교 생물학과 표본실(TUT)의 수장표본에 근거하여 관속 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본 조사에서 생육이 확인된 관속식물은 100과 265속 398종 9아종 32변종 2품종의 441분류군이다. 멸종위기야생생물로는 백부자 1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한반도고유종은 세잎승마, 지리산개별 꽃, 고려엉겅퀴 등 16분류군이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Ⅴ등급 2분류군, Ⅳ등급 4분류군, Ⅲ등급 12분류군, Ⅱ등급 24...
TAG Baekdudaegan conservation area, flora, endemic, endangered plants, naturalized plants, 백두대간, 식물상, 한반도고유종, 멸종위기식물, 귀화식물
Record of Fimbristylis ovata (Cyperaceae) from Jejudo Island, Korea
( Okihito Yano ) , ( Yuki Tamura ) , ( Yuna Yamaji ) , ( Kyong-sook Chung ) , ( Hyoung-tak Im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20] 제50권 제1호, 80~83페이지(총4페이지)
동아시아에서 가장 큰 산줄기인 백두대간은 빙하기 때 식물의 주요 피난처로서 생물다양성 보존에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백두대간보호지역 덕치-육십령 구간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고 분포가 확인된 주요식물에 대해 논의하였다. 조사구간은 4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2015년 3월부터 9월까지 각 구간별 총 3회 12일 동안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확보된 표본은 대전대학교 생물학과 표본실(TUT)의 수장표본에 근거하여 관속 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본 조사에서 생육이 확인된 관속식물은 100과 265속 398종 9아종 32변종 2품종의 441분류군이다. 멸종위기야생생물로는 백부자 1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한반도고유종은 세잎승마, 지리산개별 꽃, 고려엉겅퀴 등 16분류군이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Ⅴ등급 2분류군, Ⅳ등급 4분류군, Ⅲ등급 12분류군, Ⅱ등급 24...
TAG Cyperaceae, Fimbristylis ovata, Jejudo Island, Marado Island, rare species
바람개비하늘지기(사초과)의 한국 내 분포 및 분류학적 실체
최승세 ( Seung Se Choi ) , 김종환 ( Jonghwan Kim ) , 김철환 ( Chul Hwan Kim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20] 제50권 제1호, 84~88페이지(총5페이지)
그동안 한국 내 분포 및 분류학적 실체가 모호했던 식물, 납작하늘지기절(F. sect. Fuscae)의 바람개비하늘지기 [Fimbristylis fimbristyloides (F. Muell.) Druce] (사초과)를 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도의 바닷가 주변의 산자락 습한 곳에서 발견하였다. 바람개비하늘지기는 1년생으로 줄기는 5-15 cm 정도에 불과한 작은 식물로 소수가 옆으로 납작한 점에서 속내 대부분의 식물들과 크게 다르다. 특히, 바람개비하늘지기는 쇠하늘지기와 비슷하지만 식물체의 높이, 엽신, 화서당 소수의 수와 크기, 화주의 털 유무, 수과의 크기 및 자루의 유무 등에 의해 구별된다. 바람개비하늘지기에 대한 기재, 근연종과 차이점, 검색표 및 사진 등을 제시하였다.
TAG F. fimbristyloides, Fimbristylis sect. Fuscae, Cyperaceae, Korea, distribution, taxonomic entity, 바람개비하늘지기, 납작하늘지기절, 사초과, 한국, 분포, 분류학적 실체
133년만에 밝혀진 한국산 주걱잎갯비름(돌나물과)의 분류학적 실체 및 분포
최승세 ( Seung Se Choi ) , 김종환 ( Jonghwan Kim ) , 김철환 ( Chul Hwan Kim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20] 제50권 제4호, 377~384페이지(총8페이지)
한국산 주걱잎갯비름(Sedum formosanum N. E. Br.)은 133년 전에 기록된 후, 이제야 이의 분류학적 실체 및 분포 현황이 밝혀졌다. 이들은 그동안 기준표본 채집지인 타이완을 비롯하여 일본의 남부, 필리핀 북부 섬지역에만 국한하여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는 제4차 전국 자연환경조사를 통해 전라남도 신안군 하태도 및 상태도의 바닷가 바위 틈새에서 생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산 주걱잎갯비름은 높이 최대 65 cm에 달하는 2년생 다육식물로 결실기에 골돌과의 심피가 곧추서는 점에서 속내 대부분의 식물들과 다르다. 특히, 주걱잎갯비름은 한국산 돌나물속 중, 주걱비름과 비슷하지만 엽신이 단일형으로 엽선이 원두이며, 꽃 피는 줄기와 꽃이 없는 줄기를 따로따로 갖는 점에서 구별된다. 주걱잎갯비름에 대한...
TAG taxonomic entity, S, formosanum, Sedum, Crassulaceae, island region, 분류학적 실체, 주걱잎갯비름, 돌나물속, 돌나물과, 섬 지역
Phylogenetic analysis of Neottia japonica (Orchidaceae) based on ITS and matK regions
( Ji-hyeon So ) , ( Nam-sook Lee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20] 제50권 제4호, 385~394페이지(총10페이지)
한국산 주걱잎갯비름(Sedum formosanum N. E. Br.)은 133년 전에 기록된 후, 이제야 이의 분류학적 실체 및 분포 현황이 밝혀졌다. 이들은 그동안 기준표본 채집지인 타이완을 비롯하여 일본의 남부, 필리핀 북부 섬지역에만 국한하여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는 제4차 전국 자연환경조사를 통해 전라남도 신안군 하태도 및 상태도의 바닷가 바위 틈새에서 생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산 주걱잎갯비름은 높이 최대 65 cm에 달하는 2년생 다육식물로 결실기에 골돌과의 심피가 곧추서는 점에서 속내 대부분의 식물들과 다르다. 특히, 주걱잎갯비름은 한국산 돌나물속 중, 주걱비름과 비슷하지만 엽신이 단일형으로 엽선이 원두이며, 꽃 피는 줄기와 꽃이 없는 줄기를 따로따로 갖는 점에서 구별된다. 주걱잎갯비름에 대한...
TAG Neottia, Neottia japonica, Phylogeny, ITS, matK, East Asia
좀목포사초, 한국에서 발견된 1신종
남기흠 ( Gi Heum Nam ) , 장현도 ( Hyun-do Jang ) , 이병윤 ( Byoung-yoon Lee ) , 정규영 ( Gyu Young Chung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20] 제50권 제4호, 395~402페이지(총8페이지)
사초과의 좀목포사초(Carex brevispicula G. H. Nam & G. Y. Chung)가 한국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좀목포사초는 수과의 중앙부가 함몰되는 점에서 큰청사초(C. chungii Z. P. Wang) 및 목포사초(C. genkaiensis Ohwi)와 유사하다. 그러나 좀목포사초는 식물체, 웅화서와 자화서가 소형이고, 자인편이 연녹색인 특징으로 큰청사초와 구분되며, 자인편과 웅인편에 까락이 있다는 점에서 목포사초와 차이를 보인다. 새로운 국명은 목포사초보다 작다는 의미로 좀목포사초로 하였고, 주요형질에 대한 기재, 도해, 사진, 분포정보 및 근연분류군과의 차이점을 검색표로 제시하였다.
TAG Carex brevispicula, new species, Cyperaceae, section Mitratae, Korea, 좀목포사초, 신종, 사초과, 청사초절, 한국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