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AND 간행물명 : 환경정책연구26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도시 내 음지 중금속 오염지에 대한 비비추의 식물정화 효과
주진희 ( Jin Hee Ju ) , 윤용한 ( Young Han Yoon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정책연구 [2013] 제12권 제4호, 119~132페이지(총14페이지)
도시 내 중금속 오염지에 대한 정화방법의 하나인 식물정화재배(phytoremediation)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자생 지피식물인 비비추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카드뮴(Cd), 납(Pb), 아연(Zn)의 중금속을 중심으로 각각 네 가지 농도로(0, 100, 250, 500 mg·kg-1) 처리한 무배수용기에 비비추를 식재한 후 7개월간 식물과 토양 내 중금속 변화량을 살펴보았다. 비비추 지상부에서의 카드뮴(Cd)과 납(Pb)은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검출량도 증가하였으나, 아연(Zn)은 감소되었다. 지하부에서는 아연(Zn), 카드뮴(Cd), 납(Pb)처리가 고농도일수록 검출량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식물체 지상부와 지하부간의 축적률인 TF(transportation factor)의 경우, 대부분 중...
TAG 비비추, 식물재배정화법, 중금속, 토양오염, 도시 내 영구음영지, Hosta longipes, Phytoremediation,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Urban Shaded Places
환경정책연구 2012 우수논문 주요내용
연구원자료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정책연구 [2013] 제12권 제4호, 133~135페이지(총3페이지)
도시 내 중금속 오염지에 대한 정화방법의 하나인 식물정화재배(phytoremediation)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자생 지피식물인 비비추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카드뮴(Cd), 납(Pb), 아연(Zn)의 중금속을 중심으로 각각 네 가지 농도로(0, 100, 250, 500 mg·kg-1) 처리한 무배수용기에 비비추를 식재한 후 7개월간 식물과 토양 내 중금속 변화량을 살펴보았다. 비비추 지상부에서의 카드뮴(Cd)과 납(Pb)은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검출량도 증가하였으나, 아연(Zn)은 감소되었다. 지하부에서는 아연(Zn), 카드뮴(Cd), 납(Pb)처리가 고농도일수록 검출량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식물체 지상부와 지하부간의 축적률인 TF(transportation factor)의 경우, 대부분 중...
유목문화 기후변화 적응의 역동성과 그 함의
최충익 ( Choon Gik Choi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정책연구 [2013] 제12권 제3호, 73~96페이지(총24페이지)
중앙아시아지역의 기후변화적응 이슈를 유목문화의 역동성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중앙아시아 지역의 기후변화특성에 적응하는 개도국 기후변화 정책수립 이슈를 다루고 있다. 건조하면서도 혹한과 혹서가 반복되는 중앙아시아 지역의 기후특성은 지구촌 어떤 곳보다 기후변화로 인해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기후변화 영향에 적응하는 유목문화적 역동성(dynamics) 요소를 수자원(water resource), 가축(livestock), 초원(pastureland)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으며 유목민의 문화적, 기후적 특성에 기초한 적응정책을 탐색하고 있다. 아울러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에 있어서 중앙아시아 지역의 유목문화적 특성이 갖는 이중적 의미로, 오랜 기간 잦은 이동과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온 유목민들의 라이프 스타일이 기후변화에 있어서...
TAG 유목문화, 기후변화 적응, 중앙아시아, Nomadic Lifestyle, Climate Change Adaptation, Central Asia
소득 및 에너지소비와 환경오염의 관계에 대한 분석
정수관 ( Suk Wan Jung ) , 강상목 ( Sang Mok Kang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정책연구 [2013] 제12권 제3호, 97~122페이지(총26페이지)
우리나라의 1971년~2009년 시계열자료를 이용하여 소득 및 에너지소비와 CO2 배출량 간 동태적 관계를 분석한다. 자기시차분포(ARDL: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방법을 이용하여 소득 및 에너지소비와 CO2 배출량의 장·단기적 관계를 분석하고, Toda and Yamamoto 방법을 사용하여 주요 변수들 간 인과성을 분석한다. 추정 결과 에너지소비 및 소득과 CO2 배출량 간 장기균형관계가 존재하고 일시적 외생충격에 의해 불균형이 발생하더라도 빠르게 균형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과 CO2 배출량은 장·단기적으로 N자형의 관계로 EKC 가설은 성립하지 않았다. CO2 배출량에 대한 에너지소비 장·단기탄력성은 양(+)이고, 에너지소비 장기탄력성이 단기탄력성보...
TAG CO2 배출량, 전력소비, 소득, 공적분, 오차수정모형, 인과관계, CO2 emissions, energy consumption, income, ARDL, ECM, causality
탄소세 도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분석
조경엽 ( Gyeong Leob Cho ) , 김영덕 ( Young Duk Kim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정책연구 [2013] 제12권 제3호, 123~159페이지(총37페이지)
탄소세를 도입할 경우 국민경제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지역 다부문을 대상으로 동태적연산 가능한 일반균형모형(MRDCGE: Multi-Regional Dynamic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을 구축하였다. 기초적인 지역경제 자료를 사용하여 모형을 구축하고, 공적인 경제전망 자료를 바탕으로 BAU를 도출한 후, 탄소세를 도입하였을 때 BAU로부터 얼마나 이탈하는지를 분석하여 탄소세의 지역별 효과를 평가하였다. 탄소세의도입방안에 대해서는 우선 지역 개별탄소세와 전국 공통탄소세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개별탄소세의 경우 수도권, 경남권의 탄소세율은 다른 지역에 비하여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공통탄소세를 시행하였을 때의 탄소세율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
TAG 탄소세, 지역경제, 세수환원, CO2 tax, Regional Economy, Tax Recycling
기후변화 적응 정보 통합지원 체계구축 및 정책적 활용방안
김근한 ( Geun Han Kim ) , 이명진 ( Moung Jin Lee ) , 전성우 ( Seong Woo Jeon ) , 박송미 ( Song Mi Park ) , 이은진 ( Eun Jin Lee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정책연구 [2013] 제12권 제3호, 3~20페이지(총18페이지)
전 지구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이 심화됨에 따라, 피해 및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후변화 대응 중에서 적응은 필수가 되었다. 기후변화 적응 대책 수립을 위해서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위해 기후변화 적응 정보는 필수적인 기초자료로서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기후변화 적응과 관련된 정보는 중앙부처 및 기관, 분야별로 약 132개 사이트 및 시스템에서 제공되어 정확한 정보파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대부분이 기후변화 전문 자료라기보다는 기후변화 현상에 대한 일반 자료에 국한되어 있어, 과학적으로 검증된 자료가 부족하고 신규 자료의 갱신 또한 어렵다. 이러한 한계점과 문제점을 인식하여, 기후변화적응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기후변화 적응 정보 통합지원 체계의 구축과 정책적 활용에 대하여 연구를 ...
TAG 기후변화 적응, 기후변화 적응 정보, 통합지원 체계, 정책적 활용, Climate Change Adaptation, Climate Change Adaptation Informaio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Policy Applications
GCI(Geospatial Correlative Integration) 및 확률강우량을 고려한 인제지역 산사태 취약성도 작성
이명진 ( Moung Jin Lee ) , 이사로 ( Sa Ro Lee ) , 전성우 ( Seong Woo Jeon ) , 김근한 ( Geun Han Kim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정책연구 [2013] 제12권 제3호, 21~47페이지(총27페이지)
GCI(Geospatial Correlative Integration) 중 Frequency ratio 모델을 적용하여 2006년 태풍 에위니아에 의하여 발생한 강원도 인제 가리산리 지역의 산사태 취약성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연구지역의 미래 확률강우량을 적용하여 미래목표연도별 산사태 취약성도를 작성하였다. 산사태 취약성와 관련된 요인으로는 기후노출은 확률강우량, 민감도는 지질, 지형도(경사, 경사방향, 곡률도), 토양도(토양 지형, 토질, 토양 배수, 토양 모재 및 유효토심) 및 적응능력으로는 임상도(영급, 경급, 소밀도 및 수종) 등을 GIS 기반의 공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전체 산사태 발생 위치는 470개소이며 이 중 50%는 Frequency ratio 및 Neural network 모델의 산사태 발생 ...
TAG 미래 확률강우량, 취약성도, 산사태, GCI, Geospatial Correlative Integration, Frequency ratio, Rainfall probability, Vulnerability, Landslide
나노물질 안전관리 동향 및 제도 도입에 관한 고찰
김선아 ( Sun Ah Kim ) , 김호정 ( Ho Jung Kim ) , 홍용석 ( Yong Suk Hong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정책연구 [2013] 제12권 제3호, 49~71페이지(총23페이지)
독성, 환경 노출 및 인체에 대한 위해성·유해성 등 안전성에 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나노물질의 확인 및 안전성 확보의 요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나노물질은 화학물질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이용하는 제품으로 범분야에 걸쳐 활용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나노물질의 안전관리 제도화를 위해서는 각국의 정책사례를 규제 강도별, 나노 적용분야별, 규제대상 종류별로 구분하여 정책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노물질의 잠재적 위험성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사전예방원칙을 적용한 제도의 구축 또한 필요하다. 더불어 국내 실정에 적합한 정책 수립을 목표로 하고, 국제 흐름에 선제적,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TAG 나노기술, 나노물질, 안전관리, 사전예방원칙, Nanotechnology, Nanomaterial, Safety management, Precautionary principle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생태계서비스의 정의와 분류
안소은 ( So Eun Ahn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정책연구 [2013] 제12권 제2호, 3~16페이지(총14페이지)
보편·일률적으로 적용가능한 생태계서비스 정의 및 분류체계는 이상적이기는 하나 현실, 특히 의사결정지원에는 한계가 있다. 본 소고는 생태계서비스 개념과 분류체계의 발전과정 검토를 통하여 문헌상의 용어를 비교·분석하고 최근 연구동향을 반영하여 생태계서비스와 편익의 개념을 재정립하였다. 또한 ‘정책목표에 기반을 둔 복수의 생태계서비스 정의와 분류체계가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환경계정, 환경가치추정, 자연자원관리와 같은 특정 정책목표에 따라 생태계서비스의 정의와 범위를 차별화하여 제시하였다. 특히 의사결정지원을 위해서는 정책목표 달성을 위한 최종생산물의 확인, 목록화, 역방향 경로분석(편익-서비스-기능-구조/과정)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그 유용성을 예시하였다.
TAG 생태계서비스, 생태계서비스 분류체계, 편익, 의사결정지원, Definition of Ecosystem Services, Classification of Ecosystem Services, Benefits, Decision Making
우리나라 하천의 기온-수온의 상관관계 및 이력현상 분석: 미래 하천수온 변화 예측을 위한 사전검토
안지혁 ( Ji Hyuck An ) , 이길하 ( Khil Ha Lee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정책연구 [2013] 제12권 제2호, 17~32페이지(총16페이지)
최근 인류가 초래한 지구의 온난화로 인하여 기온이 상승하고 이의 직접적인 반응으로 수온 증가가 감지되고 있다. 기온변화가 하천의 수질과 생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수온 상승의 시기와 하천 어종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미래의 수온을 예측할 필요가 있다. 이에 하나의 사전연구로서 기온·수온 관계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다. 2009년에서 2011년까지 3년 동안 환경부의 수질자동관측소에서 관측한 최소 873개에서 최대 1083개의 일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자기상관관계와 교차상관관계를 조사해 본 결과 0.9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 지체시간이 10일 미만에서는 기온의 자기 상관 계수가 수온의 가기 상관 계수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측자료의 이력현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승기와 하강기로 나누었는데, 관측지점에 따라서는 ...
TAG 기온, 수온, 이력현상, 지구온난화, Air Temperature, Water Temperature, Hysteresis, Global Warming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