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78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고구려 출신의 승랑을 상승한 중국삼론종 제 2 기의 가풍 [ 3 ] - 제 2 조 승전과 그의 제자 혜용을 중심으로 -
박선영(Sun young Park)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0] 제11권 7~33페이지(총27페이지)
이 연구는 한국교육사의 관점에서 한국승려들의 구법(求法)을 위한 중국 유학(留學)의 실태들을 각 시기별로 정리할 필요에 따라 시작된 일련의 연구 가운데 하나이다. 그리고 고구려 출신의 승랑(僧朗)은 한국 승려들 중에서 중국 유학의 선구자 가운데 한 사람이다. 이와 같은 일련의 연구에서는 그 동안 고구려 출신의 승랑(僧朗)을 상승(相承)한 중국의 삼론학 내지 삼론종이 어떠한 과정과 각 시기에 따라 어떠한 학풍 내지 가풍을 형성해 갔는가 하는 것을 검토해 왔다. 한편, 중국의 삼론학사 내지 삼론종사에서 초조(初祖)라 할 승랑의 신삼론학(新三論學)을 계승한 제2조인 승전(僧詮)과 이 승전의 문하에서 배출된 법랑(法朗), 혜포(慧布), 지변(智辯), 혜용(慧勇) 등 네명의 철인이라 할 이른바 전공사우(詮公四友)의 시대는 중국의 삼론학사 내지 삼론종사에서 제2기...
한국의 전통 가정교육과 종교
이계학(Keay Hark Lee)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0] 제10권 7~28페이지(총22페이지)
한국인의 傳統家庭敎育思想이란 한국인의 전통교육사상이 家庭이란 교육의 마당에 정형화된 교학사상을 의미한다. 한국인의 전통교육사상은 한국인의 홍익인간하는 인격주의 문화와 조상숭배의 전통, 그리고 성속변증법적인 교학사상의 풍토 속에서 고구려는 A.D 372년에 太學을, 신라는 A.D 682년에 國學을 설립함으로써 공적으로 先秦儒學의 교학사상을 마찰 없이 수용하였고, 조선시대에는 性理學의 이데올로기를 삶의 형식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성리학의 교학사상이 자리잡게 되었다. 이렇게 수용한 선진유가와 성리학의 교학사상이 갑오개혁 이전까지 家庭이란 교육마당에 정형화 된 것이 이른 바 韓民族의 전통가정교육사상이다. 본고에서는 한국인의 전통사상을 究明하기 위하여 먼저 단군신화를 중심으로 한국인의 삶과 교육문화의 원형을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는 고대 중국문헌을 중심으로 고대...
한국의 전통 가정교육과 유교
도민재(Min Jae Doh)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0] 제10권 29~47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 가정교육의 내용을 유교적 측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한국의 전통 교육사상은 삼국시대 이래로 유교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교육의 목적은 유교의 인도주의에 입각한 이상적인 인간상인 군자(君子)의 확립에 있었다. 현대사회에서는 핵가족화와 산업화 등으로 인하여 가정의 기능이 약화됨으로써, 가정교육을 통해 이루어져야 할 덕성교육이나 사회성교육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 인간의 인격적 완성은 학교교육 이전에 가정교육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무엇보다도 가정교육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전통 가정교육의 내용을 고찰함은 현대사회에서 필요한 가정교육의 역할 회복과 함께 참된 인간상의 형성이라는 교육의 목표 설정에 이론적·실천적인 근거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 가...
한국의 전통 가정교육과 불교
김용표(Yong Pyo Kim)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0] 제10권 49~63페이지(총15페이지)
이 논문은 한국적 문화 전통에서 야기된 가정 교육의 문제 상황에 대한 개선 방안을 불교의 가르침에서 모색해 보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불교의 가정관을 살펴보고, 가정 교육의 주체인 한국 부모의 교육관의 제 문제 상황을 한국적 문화 전통과 불교적 맥락에서 고찰해 볼 것이다. 그리고 가정교육에 관한 불전의 가르침을 『善生子經』, 『父母恩重經』, 『方廣大莊嚴經』 등을 통해 알아 본 다음, 불교의 입장에서 본 바람직한 가정 교육은 (a) 신세대의 사고 방식을 수용하는 轉意法식 교육; (b) 자녀를 佛性을 지닌 주체적 인격으로 존중하는 교육; (c) 調和로운 삶의 成就를 가르치는 中道의 교육 (d) 對話를 통한 카운셀링 교육; (e) 攝受와 折伏의 조화를 이루는 교육 등을 통해 성취 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톨릭의 가정 종교교육
최영희(Young Hei Choi)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0] 제10권 65~85페이지(총21페이지)
종교는 변화하는 격동기속에서 현대의 시대적 요청을 어떻게 인식해야 하는가? 또한 그 시대적 요청을 종교는 해결할 수 있을까? 이러한 점을 생각해 볼 때 참으로 다양한 여러 가지 문제가 등장하겠지만 우선적으로 인간이라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그렇다면 인간이 태어나고, 인간이 성장하면서 인간다웁게 형성되는 곳은 제일 먼저 가정이라는 기본적인 공동체이라는 점이다. 가정은 생명의 존엄성과 인간다운 삶이 영위되는 곳이어야 하며, 보다 훌륭한 인간성을 양육하는 제일 첫 번째 학교라고도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건전한 사회와 굳건한 국가는 건강한 가정이 전제되어야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런데 인간이 갖는 본질적 관심은 궁극적 관심으로써의 종교에 귀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종교적 삶의 축적이 가정에서의 종교교육을 통해 점증(漸增)할 수 있는 ...
한국의 전통문화 입장에서 본 기독교 가정교육
이찬수(Chan Su Yi)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0] 제10권 87~103페이지(총17페이지)
한국인들 가운데 자신의 종교를 묻는 질문에 유교라고 답하는 사람은 거의 없지만, 한국인의 대다수는 특별히 사회적 차원에서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유교에 절대적 영향을 받으며 살아간다. 이러한 영향은 기독교 가정 교육 안에서도 드러난다. 가령 한국의 기독교인은 $quot;부모를 공경하라$quot;(출애 20,12) 내지는 $quot;부모에게 순종하라$quot;(에페 61; 골로 3,20)는 말씀을 하느님의 계명이나 말씀으로 지킨다지만, 사실상 그것이 하느님의 말씀이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것이 아니다. 한국의 기독교인이 부모를 공경한다면, 그것은 성서나 십계명에 그런 말이 있어서라기보다는, 옛날부터 유교적 가르침에 입각해 부모를 공경해왔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것이라는 말이다. 설령 전통 문화에 대해 배타적인 기독교인이라 할지라도 유교와 같은 전통...
한국의 전통 가정교육과 천도교
임형진(Hyung Jin Rim)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0] 제10권 105~125페이지(총21페이지)
한국인들 가운데 자신의 종교를 묻는 질문에 유교라고 답하는 사람은 거의 없지만, 한국인의 대다수는 특별히 사회적 차원에서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유교에 절대적 영향을 받으며 살아간다. 이러한 영향은 기독교 가정 교육 안에서도 드러난다. 가령 한국의 기독교인은 $quot;부모를 공경하라$quot;(출애 20,12) 내지는 $quot;부모에게 순종하라$quot;(에페 61; 골로 3,20)는 말씀을 하느님의 계명이나 말씀으로 지킨다지만, 사실상 그것이 하느님의 말씀이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것이 아니다. 한국의 기독교인이 부모를 공경한다면, 그것은 성서나 십계명에 그런 말이 있어서라기보다는, 옛날부터 유교적 가르침에 입각해 부모를 공경해왔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것이라는 말이다. 설령 전통 문화에 대해 배타적인 기독교인이라 할지라도 유교와 같은 전통...
한국 전통가정교육과 대순사상
김순자(Soon Ja Kim)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0] 제10권 127~158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는 전통적 가정교육의 특징을 논의하고 대순진리회의 교리는 물론 종도들의 생활에서 발견되는 특징과 문제점 및 대책을 논하였다. 전통가정교육이란 현재 가정교육에서도 옛날부터 내려오는 가치를 중시여기고 그 가치를 목적으로 하며 그 가치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가정교육을 말한다. 따라서 대순사상 속에 담겨진 한국전통교육의 특성으로 발견된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가정의 화목함을 근본으로 자녀에게 모범이 되도록 하였다. 둘째, 부모에게 효행을 하도록 하되 강요가 아니라 깨달음을 그 방법으로 택하였다. 셋째, 윗사람과 아랫사람의 도리를 바르게 하도록 하였다. 윗사람은 수하를 사랑으로 지도하고, 손아랫사람은 윗사람을 존경하는 마음으로 섬기도록 하였다. 넷째, 타인에 대하여 언행을 바르게 하고 타인이 잘 되게 하는 마음의 ...
한국의 전통 가정교육과 원불교
박은주(Eun Ju Park)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0] 제10권 159~176페이지(총18페이지)
원불교는 한국전통사상의 근간을 이루는 유·불·도 삼교의 토양아래 출발하였다. 소태산은 그 중 불법을 주체 삼아 원불교 사상을 전개하였으나 유교로부터 無父無君이라 비판받았던 불교의 폐단을 혁신하여 사회의 근본이 되는 가정을 중시하였다. 원불교의 가정교육에는 嚴父慈母, 태교의 중시, 예의 범절의 강조 등 전통가정교육이 적극 수용되었다. 그러나 단순히 수용에만 그치지 않고 전통가정교육이 가지는 정신은 변하지 않아야 할 것이나 그 형식은 시대를 따라 변화해야 할 것이라는 비판적 인식에서 출발하여 그 사상을 전개하였다. 즉 신분질서를 중시하고 남녀차별, 적서차별 등으로 이어지는 전통가정교육의 가부장제 유지의 틀을 깨고 대신 일원상의 진리가 각자에게 갊아 있다는 사상을 바탕으로 누구나 완전한 인격체로서 성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독립된 인격체로서 성숙한 인격으로 ...
지구윤리의 해석 담론적 범례 - 악의 상징 연구
김용환(Yong Hwan Kim)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0] 제10권 177~197페이지(총21페이지)
이 연구는 1993년 이후 부각되기 시작한 지구윤리의 해석담론적 범례를 살펴보고자 악의 상징분석을 중심으로 기독교와 불교의 악/악업의 분석을 근간으로 하였다. 악에 대해서는 이미 폴 리꾀르의 의해서 해석학적 현상학의 관점에서 이루어졌고, 악업은 불교의 종교의례를 통해 사실적 참회, 이치적 참회, 예불적 참회의 상관구조를 통해 의식의 지향성이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양자의 의사소통적 가능성을 생각해 볼 때, 악의 실재성보다 악에 대한 성찰과 해석을 통해 악을 극복하거나 소통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새로운 윤리적 가치로서 강조되고 있다. 이처럼 이 연구는 지구윤리의 관점에서 악의 상징성에 내포된 해석 담론적 범례를 찾아내어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함에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