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78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고구려 출신의 승랑을 상승한 중국삼론종 제 2 기의 가풍 [ 1 ] - 제 2 조 승전과 제 3 조 법랑을 중심으로 -
박선영(Sun Young Park)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0] 제10권 199~217페이지(총19페이지)
이 연구는 한국교육사의 관점에서 불교승려들의 중국유학의 실태를 검토하여, 이 구법유학의 한국교육사 및 한·중 사이의 정치사적 내지 문화교류사적 의의를 확인하고자 하는 일련의 연구 가운데 하나이다. 고구려의 승랑은 중국에 구법유학을 한 선구자 가운데 하나이다. 이번의 연구는, 고구려 출신 승랑에 연원한 중국 삼론학사 내지 삼론종사에서, 초조인 승랑의 계승자인 승전과 그의 수제자 법랑을 중심으로, 제2기의 학풍 내지 가풍의 일면을 확인하고, 법랑이 승전에게서 어떤 교육을 받았으며 그 의의는 무엇인가 하는 것을 검토했다. 또한 승전에게는 학문적인 측면의 해박함과 선적인 차원의 실천적 수행이라는 양면을 지니고 있었던 바, 법랑은 승전의 문하에서 승전의 학문을 대표하는 계승자라는 것도 분명히 했다. 그리고, 승전과 법랑의 만남과, 진(陳) 무제의 칙을 받고 황도(...
한국의 전통 가정교육과 무교 - 현대 사회의 가정교육 정립을 위한 무교의 역할을 중심으로 -
박일영(Il Young Park)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0] 제10권 219~235페이지(총17페이지)
무한 경쟁으로 내몰리는 사회의 변화와 함께 가정도 급속히 변질되고 있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 가정이 화목한 제 본래 모습을 회복해야 우리 사회의 희망도 되살아날 것이다. 특히 가정이 이 사회의 일치와 평화를 위한 표징(表徵)이 될 때, 이 사회는 활력과 사랑이 넘쳐나는 공동체로 거듭 날 것이다. 우리는 인간성이 말살된 피폐한 세계의 모습을 일상의 경험으로 하고 있다. 그러한 위기가 바로 마음 깊은 곳에서 우러나오는 영성(靈性)이 사라져버린 가정과 그렇게 메마른 가정에 뒤따르는 가정교육의 부재와 직결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인간다운 삶의 길을 재발견하는 일이 우리에게 다시금 중요하게 다가온다. 이제 기초공동체인 가정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는 우리에게 삶의 역동성을 불러일으키는 비전의 중요성을 새삼스럽게 상기시키고 있다. 무교가 수 천년 동안 한...
훈습의 교육적 의의 연구
이지중(Ji Joong Lee)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0] 제10권 237~264페이지(총28페이지)
교육은 언제나 인간이해를 전제로 한다. 훈습은 불교철학에서 인간의 인식이 어떻게 구성되고 전변하며, 변이하는지를 해명하는 것이다. 우리는 훈습에서 불교철학의 인간이해를 이해할 수 있고, 또 해명할 수 있다. 그래서 필자는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의 설정을 위한 인간본질의 이해를, 훈습을 통한 불교 철학적 시각에서 찾고자 한다. 불교철학은 오직 인간의 창조성과 주체성만이 인간의 자유와 평등을 증득할 수 있게 하는 힘이라고 본다. 인간의 인식은 오직 인간 스스로의 훈습에 의해 가능하다. 외부의 실재적 힘이나 권위는 헛된 경계일 뿐만 아니라, 인간의 자유와 평등의 증득에 방해가 된다고 물리친다. 그렇지만 스승의 원조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 여긴다. 이러한 모든 것은 훈습의 개념적 접근으로 해명할 수 있다. 필자는 여기서 훈습의 교육적 의의를 따져보고, 흔히 인간...
한국의 전통상례와 죽음관 연구 (1) - 임종을 전후한 죽음의 인식 -
장하열(Ha Youal Jang),강성경(Seong Gyung Kang)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0] 제10권 265~283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는 상례 중에서 지극히 제한된 범위인 임종을 전후한 절박한 시기에 한국인들은 과연 어떠한 사고와 의례를 시행하였는지에 대하여 논구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한국인의 죽음의 인식을 가장 명료하게 들여다 볼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인의 의식은 유교적 사상체계에 불교적 신심과 토속적 신앙이 혼재된 세계관 속에서 살고 있음을 의례의 단계마다 확인할 수 있다. 야스퍼스의 지적대로 인간이 벗어날 수 없는 한계 중 가장 힘든 것이 死라면, 우리 선조들은 이의 극복을 위하여 유교적 사상과 불교적 심성, 토속 신앙으로 견디어 왔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의례의 곳곳에 오행적(五行的) 요소가 함께하고 있으며 魂의 존재는 영원히 죽지 않고 후손과 함께하므로서 생자(生者) 속에 사자(死者)가 있고 사자 속에 생자가 있는 사생(死生)의 동존관념 속에서 살아왔다. 그러므로 산...
유식불교의 종자설과 융의 원형론의 비교고찰
정현숙(Hyun Sook Chung)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00] 제10권 285~306페이지(총22페이지)
인간의 심층심리를 밝힌 유식불교와 융의 분석심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인 종자설(種子說)과 원형(原型)을 비교 고찰하였다. 유식불교의 인식론인 8식(識)구조와 아뢰야식을 바탕으로 종자설을 정의, 특성, 인과 및 윤회와의 관계, 훈습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융의 집단 무의식을 간략히 정리하고, 원형의 개념과 그 특성 및 기능과 꿈과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종자설은 불교의 종교적 무아(無我)와 윤회의 조화, 수행과의 관련에서 특성이 있으며, 원형론은 근대 서구 인간관인 합리적 학문의 바탕위에 무의식이 표출되는 꿈, 예술작품, 종교의식, 전설과 신화 등에서 상징성의 이해를 제공한다는 특성이 있다. 이 둘은 심층 심리의 핵심이란 점에서 유사하지만 종교적 측면과 학문적 측면에서 상호 접근방법과 목표가 다름을 볼 수 있다.
주제발표 / 한국의 유교와 사회적 기능
최병철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1999] 제9권 7~25페이지(총19페이지)
인간의 심층심리를 밝힌 유식불교와 융의 분석심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인 종자설(種子說)과 원형(原型)을 비교 고찰하였다. 유식불교의 인식론인 8식(識)구조와 아뢰야식을 바탕으로 종자설을 정의, 특성, 인과 및 윤회와의 관계, 훈습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융의 집단 무의식을 간략히 정리하고, 원형의 개념과 그 특성 및 기능과 꿈과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종자설은 불교의 종교적 무아(無我)와 윤회의 조화, 수행과의 관련에서 특성이 있으며, 원형론은 근대 서구 인간관인 합리적 학문의 바탕위에 무의식이 표출되는 꿈, 예술작품, 종교의식, 전설과 신화 등에서 상징성의 이해를 제공한다는 특성이 있다. 이 둘은 심층 심리의 핵심이란 점에서 유사하지만 종교적 측면과 학문적 측면에서 상호 접근방법과 목표가 다름을 볼 수 있다.
주제발표 / " 한국의 유교와 사회적 기능 " 에 대한 논평
김성기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1999] 제9권 26~28페이지(총3페이지)
인간의 심층심리를 밝힌 유식불교와 융의 분석심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인 종자설(種子說)과 원형(原型)을 비교 고찰하였다. 유식불교의 인식론인 8식(識)구조와 아뢰야식을 바탕으로 종자설을 정의, 특성, 인과 및 윤회와의 관계, 훈습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융의 집단 무의식을 간략히 정리하고, 원형의 개념과 그 특성 및 기능과 꿈과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종자설은 불교의 종교적 무아(無我)와 윤회의 조화, 수행과의 관련에서 특성이 있으며, 원형론은 근대 서구 인간관인 합리적 학문의 바탕위에 무의식이 표출되는 꿈, 예술작품, 종교의식, 전설과 신화 등에서 상징성의 이해를 제공한다는 특성이 있다. 이 둘은 심층 심리의 핵심이란 점에서 유사하지만 종교적 측면과 학문적 측면에서 상호 접근방법과 목표가 다름을 볼 수 있다.
주제발표 / 한국불교의 사회적 기능에 관한 비판적 검토
유승무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1999] 제9권 29~47페이지(총19페이지)
인간의 심층심리를 밝힌 유식불교와 융의 분석심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인 종자설(種子說)과 원형(原型)을 비교 고찰하였다. 유식불교의 인식론인 8식(識)구조와 아뢰야식을 바탕으로 종자설을 정의, 특성, 인과 및 윤회와의 관계, 훈습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융의 집단 무의식을 간략히 정리하고, 원형의 개념과 그 특성 및 기능과 꿈과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종자설은 불교의 종교적 무아(無我)와 윤회의 조화, 수행과의 관련에서 특성이 있으며, 원형론은 근대 서구 인간관인 합리적 학문의 바탕위에 무의식이 표출되는 꿈, 예술작품, 종교의식, 전설과 신화 등에서 상징성의 이해를 제공한다는 특성이 있다. 이 둘은 심층 심리의 핵심이란 점에서 유사하지만 종교적 측면과 학문적 측면에서 상호 접근방법과 목표가 다름을 볼 수 있다.
주제발표 / " 한국의 불교와 사회적 기능 " 에 대한 논평
정진환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1999] 제9권 48~50페이지(총3페이지)
인간의 심층심리를 밝힌 유식불교와 융의 분석심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인 종자설(種子說)과 원형(原型)을 비교 고찰하였다. 유식불교의 인식론인 8식(識)구조와 아뢰야식을 바탕으로 종자설을 정의, 특성, 인과 및 윤회와의 관계, 훈습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융의 집단 무의식을 간략히 정리하고, 원형의 개념과 그 특성 및 기능과 꿈과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종자설은 불교의 종교적 무아(無我)와 윤회의 조화, 수행과의 관련에서 특성이 있으며, 원형론은 근대 서구 인간관인 합리적 학문의 바탕위에 무의식이 표출되는 꿈, 예술작품, 종교의식, 전설과 신화 등에서 상징성의 이해를 제공한다는 특성이 있다. 이 둘은 심층 심리의 핵심이란 점에서 유사하지만 종교적 측면과 학문적 측면에서 상호 접근방법과 목표가 다름을 볼 수 있다.
주제발표 / 한국개신교회의 사회적 기능
노치준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1999] 제9권 51~69페이지(총19페이지)
인간의 심층심리를 밝힌 유식불교와 융의 분석심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인 종자설(種子說)과 원형(原型)을 비교 고찰하였다. 유식불교의 인식론인 8식(識)구조와 아뢰야식을 바탕으로 종자설을 정의, 특성, 인과 및 윤회와의 관계, 훈습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융의 집단 무의식을 간략히 정리하고, 원형의 개념과 그 특성 및 기능과 꿈과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종자설은 불교의 종교적 무아(無我)와 윤회의 조화, 수행과의 관련에서 특성이 있으며, 원형론은 근대 서구 인간관인 합리적 학문의 바탕위에 무의식이 표출되는 꿈, 예술작품, 종교의식, 전설과 신화 등에서 상징성의 이해를 제공한다는 특성이 있다. 이 둘은 심층 심리의 핵심이란 점에서 유사하지만 종교적 측면과 학문적 측면에서 상호 접근방법과 목표가 다름을 볼 수 있다.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