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초등국어교육66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교과서 수록 영상 콘텐츠의 선정 기준과 적절성 요건에 관한 연구
김남석 ( Kim Namseok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국초등국어교육 [2016] 제61권 7~31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교과서 수록 시 병행하여 선정되는 영상 콘텐츠의 삽입 기준과 관련 요건의 적절성에 관한 일련의 제안을 다루고자 구상된 연구이다. 현재까지 검인정 교과서 체제는 교과서 삽입 영상 콘텐츠 관련 기준을 구체적으로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그 결과 삽입 기준의 모호성에서 유발되는 체제상 혼란과 학습 능률의 비효율성이 교과서 집필과 창작 과정에서 팽배하였고, 교과서 집필자와 제작자뿐만 아니라 감수자나 학습자 측에서도 기준과 요건의 정립을 요구하는 일련의 상황이 야기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적 필요를 인지하고, 이를 해결할 방안으로 영상 콘텐츠의 선정 기준과 적절성 요건에 대한 전반적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TAG 교과서, 영상 콘텐츠, 삽화, 삽입 기준, 적절성 요건, 敎科書, 映像コンテンツ, イラスト, 揷入基準, 適切要件, textbooks, video content(inserted picture contents), artwork, inserts standards, adequacy requirement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창의·융합 형 인재 양성과 핵심 역량 함양을 위한 연극의 활용 방안 연구
김수연 ( Kim Su-youn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국초등국어교육 [2016] 제61권 33~61페이지(총29페이지)
2017년 초등학교 1, 2학년을 시작으로 초중고등 학교에 순차적으로 적용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학습의 질을 강조한 창의 융합 형 인재 양성을 그 목표로 한다. 또한 이전 교육과정과 차별화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또 하나의 큰 특징은 창의 융합 형 인재 양성을 위한 6개의 핵심 역량 도입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연극을 활용하여 창의 융합 형 인재 양성이라는 목표와 이를 위한 핵심 역량을 육성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연극은 행하면서 배우는 매체로서 연극이 만들어내는 학습을 위한 환경에서 흥미를 바탕으로 자발적인 몰입과 참여를 동반한다. 이는 흥미 중심의 질적 학습을 추구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상통한다 하겠다. 연극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핵심 역량인 자기 관리 역량, 지식 정보 처리 역량, 창의 융합 ...
TAG 2015 개정 교육과정, 창의 융합 형 인재, 핵심역량, 연극,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reative-Convergence Human Resource, Core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Drama
2015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양상과 교육과정 발전을 위한 논제
김창원 ( Kim Chang Won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국초등국어교육 [2016] 제61권 63~94페이지(총32페이지)
2015 교육과정은 창의인성, 핵심 역량, 교과 통합, 이해 중심 교육과정 등의 몇 가지 키워드를 바탕으로 하여 전 교과가 동일한 체재로 개발되었다. 국어과는 2009 교육과정을 계승하며 총론의 지침과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국어’와 ‘국어과’의 개념을 명시하고, 선택 과목과 내용 체계를 재구성하며, 성취기준을 정보성과 소통성 중심으로 선정·조직·기술하였다. 아울러 교수·학습과 평가의 방향을 상세히 제시하였다.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은 총론의 지침과 국어과의 본질·목표를 준거로 삼아 필요성과 충분성, 연계성, 적정성, 계열성과 계속성의 원리를 바탕으로 성취기준을 개발하였다. 그 과정에서 교과 역량 반영 문제, 성취기준의 수와 학습량 문제, 지식·태도 항목 설정 문제, 교과 내·교과 간 통합의 가능역 문제, 영역 형평성과 발달에 따른 비중 조절 ...
TAG 2015 교육과정, 교육과정 개정, 국어과 성취기준, 성취기준 개발, 교육과정 발전의 논제, 2015 National Curriculum, Curriculum Revision, Achievement Standard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chievement Standards Revision, Topics of Curriculum Development
초등 국어과 표현 영역에서 매체 활용 교육의 방향 - 프레젠테이션 교육을 중심으로 -
김희동 ( Kim Hee Dong ) , 엄해영 ( Um Hae Young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국초등국어교육 [2016] 제61권 95~122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국어과 표현 영역에서 국어과 매체 활용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어과 교육과정 표현 영역에 나타난 매체 활용의 의미를 통시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여기에서 드러난 국어과 매체 활용 교육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표현의 본질과 매체 환경의 변화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국어과 매체 활용 교육의 지향을 논의하였다. 이 과정에서 주체와 매체의 문제가 대두되었으며 주체와 매체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얻기 위해 포스트휴머니즘과 체화주의 이론들을 살펴 매체 활용 교육의 지향을 논의하였다. 이어서 국어과 매체 활용 교육의 실천 가능성을 프레젠테이션 교육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프레젠테이션의 개념, 교육적 가치, 특징을 살피고 말하기와 쓰기, 다양한 매체가 주체의 인지를 중심으로 융합된 표현 교육을 프레젠테이션 교육의 특성이자 지향점...
TAG 매체, 주체, 매체 활용 교육, 표현 교육, 체화주의, 프레젠테이션 교육, Media, Main Agent, Media Usage Education, Education of Expression, Embodimentism, Presentation Education
장르 인식을 위한 비문학 제재 읽기 학습 방안 연구
박수자 ( Park Soo-jah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국초등국어교육 [2016] 제61권 123~152페이지(총30페이지)
비문학 제재 읽기는 범교과 읽기로서 기능 중심 읽기 수업의 핵심이지만, 텍스트 사례별로 차별화된 장르 지식을 구성하거나 진정성 있는 비문학 제재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연구는 새로운 장르 개념의 확산 추이와 암묵적 장르 인식 교육이 지닌 가치에 주목하고, 장르 기반 비문학 제재 읽기 학습 방안을 모색하면서 장르 인식을 위한 텍스트 분석 질문 활동이 장르 기반 비문학 제재 읽기 학습 자원으로 적합하다고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2009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과학 소재 글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장르 인식 반영 양상을 검토하였고, 장르 인식을 위한 읽기 질문 적용을 위하여 동일한 내용의 2009 과학 교과서 ‘과학이야기’와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편중된 내용 주제와 단순화된 글의 구조, 과학 소재 글의 특성과 맥락이 간과된...
TAG 장르 인식, 비문학 제재, 범교과 읽기, 텍스트 분석 질문, 과학 소재의 글(과학 이야기), genre awareness, nonfiction text, cross-curriculum reading, question list for text analysis, subject connections, science story(text)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양상
서수현 ( Seo Soo-hyun ) , 조병영 ( Cho Byeong-young ) , 김종윤 ( Kim Jong-yun ) , 김지연 ( Kim Ji-youn ) , 김희동 ( Kim Hee-dong ) , 고진아 ( Koh Gi-na ) , 오은하 ( Oh Eun-ha ) , 옥현진 ( Ok Hyoun-jin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국초등국어교육 [2016] 제61권 153~188페이지(총36페이지)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교육적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측면에 대한 이해도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되었다. 이에 연구자들은 일련의 연구를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측면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이하 DLA)’를 제안하고, 이를 구체화한 다음 초등 학습자의 DLA를 진단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평가도구로 전국 초등학생 약 1만 명(3~6학년)을 표집하여 본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연구에서는 그 시행의 과정과 결과 분석, 그리고 결과의 교육적 함의를 탐색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DLA는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지역에 따라서도 일부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
TAG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초등학생, 정의적 영역, 성별, 학년, 지역, Digital literacy attitude, Korean elementary students, affective aspects, gender, grade, area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초등 국어 교육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
서현석 ( Seo Hyun-suck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국초등국어교육 [2016] 제61권 189~223페이지(총35페이지)
이 연구는 국어과 교육과정에 ‘초등 국어 교육’의 정체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였다는 문제의식에 터하여 2015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듣기·말하기 영역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대인 관계적 의사소통의 측면에서 초점을 두고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듣기·말하기 영역의 내용을 다음의 세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듣기·말하기 교육의 지향점은 무엇인가? 둘째, 교육과정 상에 대인 관계적 의사소통의 특성을 반영한 듣기·말하기 교육의 기본 원리와 내용은 어떻게 구체화되고 있는가? 셋째, 초등학교 듣기·말하기 교수·학습의 특성을 반영하고 실천을 유도하는 교육과정인가?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의 듣기·말하기 영역 성취기준의 진술은 전통적으로 강조되어 온 화법의 담화 유...
TAG 초등 국어 교육의 정체성, 2015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 성취기준, 대인 관계적 의사소통, the identity of the Primary Korean Education, 2015 Korean language department curriculum, the ‘speaking·listening’ doma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받침의 연음 방법 체계화와 교재 구성 방향 연구
신지현 ( Shin Ji-hyun ) , 최영환 ( Choi Yeong-hwan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국초등국어교육 [2016] 제61권 225~257페이지(총33페이지)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받침의 연음을 정확하게 하고, 발음 오류를 교정할 수 있도록 연음 학습 단계를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교재 구성 방안을 찾기 위한 것이다. 연음 교육을 위해 <표준 발음법> 13항과 15항을 중심으로 ‘연음 조건(앞 음절 받침의 종류, 뒤 음절 초성의 종류), 연음 방법’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연음 조건 두 가지를 조합하고, 연음이 된 후에 발음이 변한 구개음화도 연음 유형으로 포함하여 연음의 유형을 네 가지로 정리하였다. 용례의 수가 적고 사용 빈도가 낮은 유형을 제외한 나머지 유형으로 연음 학습 3단계를 선정하였다. 효과적인 연음 학습 교재 구성을 위해서는 연음 원리 학습 강화와 언어 자료의 위계적 배열을 고려해야 한다. 교재에는 연음의 조건과 연음 방법을 나누어 제시하는데, 이를 지속적으로 ...
TAG 연음, 연음 조건과 방법, 교재, 언어 자료, Prolonged Sound, Condition and Method of prolonged Sounds, Text Book, Language Material
초기 문해력 교육을 위한 그림책의 수준 평정 기준 개발 연구
엄훈 ( Um Hoon ) , 정종성 ( Jeong Jong Seong ) , 김미혜 ( Kim Mi-hye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국초등국어교육 [2016] 제61권 259~287페이지(총29페이지)
초기 문해력 교육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문해력 발달 양상에 맞는 수준 평정 그림책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읽기 부진을 겪고 있는 아동을 위한 조기 개입 프로그램에서 수준 평정 그림책은 아동의 문해력을 효율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고, 평가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초기 문해력 단계의 아동에게 적절한 그림책을 선정하거나 개발하고자 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수준 평정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림책 수준 평정의 기준은 장르, 텍스트 구조, 내용, 단어, 문장, 어휘, 삽화, 책 등 8개의 범주에 따라 제시되었다. 또한 초기 문해력 단계에 있는 아동의 읽기 발달 단계를 10개의 수준으로 세분화한 다음, 각각의 범주별로 수준 평정 기준을 세밀하게 개발하였다.
TAG 초기 문해력, 읽기 부진, 적절한 텍스트, 책 수준, 수준 평정, 수준 평정 그림책, Early Literacy, Reading Difficulties, Considerate Text, Book Level, Leveling Books, Leveled Picture Books
서답형 문항 구조화를 위한 요소 체계화 연구
원보라 ( Won Bora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국초등국어교육 [2016] 제61권 289~319페이지(총31페이지)
이 연구는 서답형 문항 구조화를 위한 요소를 체계화함으로써 서답형 문항을 명료하게 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답형 문항은 선택형 문항과 다르게 피험자가 스스로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해야 하므로 이 부분에 대한 정보가 있어야 문항이 명확해진다. 따라서 서답형 문항 구조화를, ‘서답형 문항에 적절한 답을 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글의 내용 요소와 형식 요소를 제시하는 것’으로 개념화하였다. 이러한 서답형 문항 구조화를 통해 학습과 평가 상황에 대한 안내를 명확히 할 수 있고 피험자들의 글쓰기 능력과 무관한 다양한 문항을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서답형 문항 구조화의 내용 요소는 내용을 어떻게 생성하는지와 관련되어 있으며 특정 용어와 표현, 출처, 상황 맥락이 하위 요소가 된다. 형식 요소는 어떻게 글을 조직하는지와 관련되어 있으며 하위 요...
TAG 서답형 문항, 문항 구조화, 문항 명료화, 서답형 문항 구조화, supply-type items, items structuralization, items clarification, supply-type items structuraliza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