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대한보건협회293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공공병원 종사자의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인식과 역할 : 전국 권역별 합의회의 결과 분석
김미영 ( Mi Young Kim ) , 이승희 ( Seung Hee Lee )  대한보건협회, 대한보건연구(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019] 제45권 제2호, 117~125페이지(총9페이지)
연구목적: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공공보건의료가 무엇이고 공공의료기관 종사자들이 생각하는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인식과 역할을 통한 공공보건의료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공공의료기관 종사자 92명을 대상으로 전국 권역별 5회에 걸쳐 진행된 합의회의(consensus conference)를 통해 도출된 자료를 수집한 질적 연구이다. 또한 다양한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기 위해 합의형성기법(Consensus Workshop Method, CWM)를 적용하여 1단계 Vision(비전/목표/방향), 2단계 Reality(현실/문제점/장애요인), 3단계 Choice(선택/전략/방향) 순으로 토론과 합의를 거쳐 최종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공공보건의료의 향후 목표 및 방향설정은 크게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지원, 공공보건의료체계 정립으로...
TAG Consensus conference, Public health, Public hospitals, 합의회의, 공공보건의료, 공공병원
고의적 자해 입원 환자의 우울증 관련 요인
김상미 ( Sang-mi Kim ) , 안병기 ( Byeung-ki Ahn ) , 이현숙 ( Hyun-sook Lee )  대한보건협회, 대한보건연구(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019] 제45권 제1호, 1~10페이지(총10페이지)
연구목적 : 2017년 WHO의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자살 사망률은 세계 4위를 차지하였다. 다양한 자살 관련요인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우울로 인한 자살율을 낮추기 위하여 우울증이 있는 환자군과 자살 시도자를 적극적으로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는 등의 정신건강정책이 시급할 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의적 자해로 입원한 환자 중에서 우울증 현황 및 관련요인을 살펴 고의적 자해 환자의 정신건강증진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4년부터 2015년까지의 질병관리본부의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전체 고의적 자해 입원환자를 우울증 유무로 구분하였고 빈도, 백분율, 교차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TATA 12.0을 이용 하였으며, 모든 분석의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TAG 고의적 자해, 우울증, 자살, Intentional Self-harm, Depression, Suicide
우리나라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과 건강관련 행위의 관련성
윤병준 ( Byoung-jun Yoon )  대한보건협회, 대한보건연구(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019] 제45권 제1호, 11~22페이지(총12페이지)
연구목적 : 우리나라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상태 및 건강관련 행위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주관적 안녕감과 건강상태 및 건강관련 행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제13차(2017년)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건강상태 및 건강관련행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카이스퀘어분석을 실시하였고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상태 및 건강관련 행위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 정도, 흡연경험, 음주경험, 아침식사, 수면, 체중조절, 약물복용 경험 등이었다. 결론 : 보건학적 측면에서 청소년들의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학교보건 프로그램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
TAG 청소년, 주관적 안녕감, 건강관련 행위, Adolescent, Subjective well-being, Health behavior
장애인의 비만 상태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최오종 ( Oh-jong Choi ) , 조성일 ( Sung-il Cho )  대한보건협회, 대한보건연구(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019] 제45권 제1호, 23~35페이지(총13페이지)
연구목적 :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2개년 동안 우리나라 성인 장애인의 비만 상태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장애인의 비만관련 복지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2011년과 2013년에 반복하여 국가 일반건강검진을 실시한 144,934 중에서 장애인7,711명의 2년간 체질량지수(BMI)변화에 대한 영향요인 파악하기 위해 일반선형모형(GLM)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2개년 간의 체질량지수(BMI)를 Paired-T test 한 결과 비장애인은 2년경과 후, 체질량지수(BMI)가 유의하게 상승하였지만(p<.0001), 장애인의 체질량지수(BMI)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다. 비장애인은 남성의 체질량지수(BMI)가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p...
TAG 장애인, 장애여부, 비만, 체질량지수(BMI), People with disabilities, existence of disability, obesity, BMI
지역거점 공공의료원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영향요인
이은환 ( Eun-whan Lee )  대한보건협회, 대한보건연구(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019] 제45권 제1호, 37~47페이지(총11페이지)
연구목적: 최근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공공의료원은 종사자들의 잦은 이직으로 인해 양질의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있고, 이직의 주요 원인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지적되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거점 공공의료원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는 전국 33개 지역거점 공공의료원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종사자 전원에게 발송하였고, 총 1,476명의 응답자가 참여하였다.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는 선행연구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한국인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의 단축형을 사용하였다. 연구모형은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직무 관련 특성, 사회...
TAG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공공의료원, 병원, 이직의도, Occupational stress, Job stress, Public medical center, Hospital, Job satisfaction, Turnover
중증질환자의 코호트연구를 통한 생존율 및 진료비분석(2004 ~ 2016): 건강보험 보장성강화 정책 효과분석을 중심으로
송혜숙 ( Hyea Suk Song ) , 김선주 ( Seon Ju Kim ) , 최재규 ( Jea Gyoo Choi ) , 천성현 ( Sung Hyun Chun ) , 이난희 ( Nan Hee Yee )  대한보건협회, 대한보건연구(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019] 제45권 제1호, 49~58페이지(총10페이지)
연구목적: 3대 중증질환인 암, 뇌 및 심장질환의 발병률과 사망률을 확인하고, 5% 본인부담률 적용시점 전 후 진료비분석을 통해 건강보험 보장성강화정책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맞춤형 DB 자료를 활용하여 2004년도에 악성암(C00~C97, D45~D47), 뇌혈관질환(I60~I63), 심장질환(I21~I23)상병을 주 진단으로 진료받은 환자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3대 중증질환 발생율은 악성암 0.27%, 뇌혈관질환 0.21%, 심장질환 0.03% 였고, 12년이 흐른 2016년 기준으로 사망률은 악성암 51.2%, 뇌혈관질환 49.5%, 심장질환 48.2%를 보였다. 진료비분석결과 건강보험 보장률은 악성암 90%, 심장질환 89%, 뇌혈관질환 80%로서 매우 취약하였다. 결론: 뇌혈관질...
TAG 중증질환, 보장성강화, 발생률, 사망률, Severe diseases, policy to enhance the coverage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Incidence rate, Mortality
청년층 실업과 우울의 관계에서의 음주의 조절효과: 성별 차이 분석
송인한 ( Song In Han ) , 이경원 ( Lee Kyeong Won ) , 정집훈 ( Jeong Jib Hun )  대한보건협회, 대한보건연구(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019] 제45권 제1호, 59~70페이지(총12페이지)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실업과 문제음주의 상호작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2017년 제12차 한국복지패널 데이터 중 19세에서 34세까지 청년층(N=2,173; 남성=998, 여성=1,175)의 고용형태, AUDIT, CES-D 변수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실업의 통계적 차이는 없는 반면, 남성이 더 높은 문제음주를, 여성이 더 높은 우울수준을 보고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남녀 모두 문제음주는 우울을 증가시킨 반면, 실업의 단독효과와 실업과 문제음주의 상호작용이 여성에서만 발견되었다. 결론: 고용상태에 따라 문제음주가 우울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가 여성에서 발견되었다. 음주행동과 우울의 관계에...
TAG 청년실업, 성별 차이, 음주, 우울, Youth unemployment, gender differences, drinking, depression
우리나라 사망력 변화에 의한 기대수명 기여효과 분석: 1985~2015
유영현 ( Yeong Hyeon Yoo ) , 이재형 ( Jae Heung Lee ) , 박상화 ( Sang Hwa Park ) , 임달오 ( Dar Oh Lim )  대한보건협회, 대한보건연구(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019] 제45권 제1호, 71~81페이지(총11페이지)
연구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인구의 각 연령, 성별, 사인에 의한 사망력의 변화에 따른 기대수명의 기여도를 측정하고자한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Arriaga 방법을 이용하여 1985~2015년 생명표 자료와 사망원인통계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985년에서 2015년까지 30년 동안 평균수명의 신장에 가장 크게 기여한 연령은 남자 55-64세, 여자 65-74세이며 남녀 각각 2.78년, 2.66년으로 나타났다. 기대수명의 남녀 차이에 대한 기여는 1985년, 1995년, 2005년, 2015년 4개년도 모두 65-74세 연령군이 평균적으로 최고 기여군으로 나타났다. 2005년부터 2015년까지 남자의 정(+) 기여사인은 악성신생물(1.114년), 뇌혈관질환(0.796년), 교통사고(0.285년) 등 순이며, 부(-) 기여사인으...
TAG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앞으로 65세 이후 고연령층의 사망수준의 개선에 따라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기대여명의, 증가와 건강수준 향상을 위해 만성질환에 초점을 둔 보건정책의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Mortality, Life Expectancy, Causes of Death, Life Table
지역사회 보건인력의 문화적 역량과 영향 요인
박은옥 ( Park Eunok ) , 강경자 ( Kang Kyung Ja )  대한보건협회, 대한보건연구(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019] 제45권 제1호, 83~94페이지(총12페이지)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역사회 보건인력의 문화적 역량수준과 문화적 역량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보건소와 보건진료소 등 보건기관인력 12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적 역량의 평균점수는 5점 기준 2.42점이며, 문화적 지식(평균 2.05±0.65)과 문화적 수용성(평균 2.30±0.66)이 다른 영역에 비해 점수가 낮았다. 문화적 역량 교육요구 점수는 10점 기준 6.65점이며, 문화적 의사소통(평균 6.88±1.78), 태도와 기술(평균 6.85±1.78), 기본지식(평균 6.55±1.5...
TAG 문화적 역량, 보건인력, 교육요구, Cultural competency, public health professionals, educational need
고혈압 신환자의 뇌졸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준 ( Jun Park ) , 강길원 ( Gilwon Kang ) , 탁양주 ( Yang Ju Tak )  대한보건협회, 대한보건연구(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019] 제45권 제1호, 95~104페이지(총10페이지)
연구목적: 우리나라 주요 사망원인인 뇌졸중의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고혈압 환자에서 뇌졸중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2년부터 2013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표본코호트 자료를 이용하여 2003년부터 2010년까지 고혈압으로 로 진단 받은 52,637명의 환자들 중에서 뇌졸중이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뇌졸중의 발생위험도와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주요결과: 우리나라 고혈압 환자의 10년 뇌졸중 발생위험도는 4.4%였다. 고혈압을 처음 진단 받은 시점에서 향후 뇌졸중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나이, 거주지역, 흡연, 수축기 혈압이었고, 뇌졸중이 발생하기 직전 시점에서는 나이, 거주지역, 흡연, 운동, 수축기 혈압이었다. 결론: 고혈압 환자에서 나이가 많을수록, 수축기 혈압이 높을수록,...
TAG 고혈압, 뇌졸중, 뇌졸중 발생위험도, 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Hypertension, Stroke, Stroke risk, Cohort data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