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석기 신라토기

 1  신석기 신라토기-1
 2  신석기 신라토기-2
 3  신석기 신라토기-3
 4  신석기 신라토기-4
 5  신석기 신라토기-5
 6  신석기 신라토기-6
 7  신석기 신라토기-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석기 신라토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토기란 흙을 재료로 하여 인류가 최초로 사용한 생활 도구 중의 하나이며 흙으로 빚은 그릇 중에서 기면에 유약을 바르지 않고 1000℃미만(600~800℃)의 낮은 온도에서 구워낸 그릇을 말한다.
B.C.500년경을 전후 한 신석기 문화의 채집경제와 농경 생활은 음식물의 저장, 보관, 운반 상의 이유로 담아두는’필요를 느끼게 된다. 이때 나타나는 것이 바로 토기이다. 토기는 인간의 역사와 함께 출발하는데 인간의 경제 생활이 그 필요를 낳았으며, 그 삶의 발달이 곧 도자기의 질적 발전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인류가 도자기를 만든 시기는 불을 사용하기 시작한 시점으로 본다. 처음에는 음식을 저장, 운반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나 사회구조를 수용함으로써 각종 용기들이 개발되고 신분과 부의 상징으로, 제사와 영혼을 기리기 위한 특수 용기나 부장 용기들도 제작하였다. 이러한 토기는 고대인들의 음식문화, 생화 습관, 의식 세계를 담아 내던 시대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토기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여러 가지 특징을 보인다.
우리 나라의 신석기시대에는 빗살문토기가, 청동기시대에는 무문토기가 발견되어 신석기 시대를 즐문토기시대, 청동기시대를 무문토기 시대라 부른다. 선사 시대의 원시적인 토기제작기술에서 청동기 시대 소성 기술의 발전과 B.C 3세기경 철기 시대의 녹로(물레)의 발견은 고구려, 백제, 신라 시대의 토기 제작에 밑거름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선사시대의 토기
1.신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의 토기는 크게 융기문 압문토기의 선즐문토기 문화와 즐문토기가 주류를 이루는 즐문토기 문화로 나눌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남해안과 동해안의 해안가에 분포하고 있고 즐문토기는 한반도 전역에서 출토되고 있다. 즐문토기는 기형과 문양에서 동북 서북 중서부 남부 지방의 4개 문화 영역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지역에서도 시대에 따라 나뉘어 진다
1)토기의 출토 지역별 특징
①남부 지방은 환저 토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전기에는 전면 시문되고 중기에는 구연부와 동체에만 시문되며 후기에는 구연부에만 시문된다. 한편 말기에는 구연부에 1∼2줄의 사선열만이 남고 무문이 압도적으로 많아지며 이중 구연도 나타난다. 남부 지방의 즐문토기는 중부 지방의 단사선문보다는 융기문토기나 집성문이 성행하고 있다.
② 동북 지방의 즐문토기는 평저의 심발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초기에는 즐상시문구로 구연부에만 시문하였다. 전기에는 구연부에 단사선문·점열문이 시문되고 동체부에는 어골문이 시문된다. 중기에는 구연 중간에서 동체부까지 심선에 의한 어골문·단사선문·조대문(組帶文)이 시문된다. 후기에는 동체부에 구획을 만든 후 시문한 것이 특징이며 말기에는 무문양화 경향이 뚜렷해지며 공열문도 나타난다.
③중서부 지방의 즐문토기는 단치구나 다치구로 표을 누르거나 기하학적 문양을 시문한 토기로 한반도 전역에서 출토되고 있으며 직립 구연에 첨 원저로 이어지는 포탄형, 반란형의 토기가 특징으로 문양과 구성에서 시기 차를 보이고 있는데 전기에는 토기를 세 부위로 나누어 구연부에 단사선문 점열문, 동체부에 어골문, 저부에 단사선문을 시문하였고, 후기에는 문양이 사라지고 단사선문 등의 구연 문양만 남고 기소 어골문이나 평행단사선문이 전면에 시문된 토기가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