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에서 바라본 세종대왕 Weber의 세 가지 관료조직 지배 유형을 바탕으로

 1  전공에서 바라본 세종대왕 Weber의 세 가지 관료조직 지배 유형을 바탕으로-1
 2  전공에서 바라본 세종대왕 Weber의 세 가지 관료조직 지배 유형을 바탕으로-2
 3  전공에서 바라본 세종대왕 Weber의 세 가지 관료조직 지배 유형을 바탕으로-3
 4  전공에서 바라본 세종대왕 Weber의 세 가지 관료조직 지배 유형을 바탕으로-4
 5  전공에서 바라본 세종대왕 Weber의 세 가지 관료조직 지배 유형을 바탕으로-5
 6  전공에서 바라본 세종대왕 Weber의 세 가지 관료조직 지배 유형을 바탕으로-6
 7  전공에서 바라본 세종대왕 Weber의 세 가지 관료조직 지배 유형을 바탕으로-7
 8  전공에서 바라본 세종대왕 Weber의 세 가지 관료조직 지배 유형을 바탕으로-8
 9  전공에서 바라본 세종대왕 Weber의 세 가지 관료조직 지배 유형을 바탕으로-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공에서 바라본 세종대왕 Weber의 세 가지 관료조직 지배 유형을 바탕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시기와 장소를 불문하고 일정한 사회가 생성되고 사회 아래에서 조직이 발생하면 조직을 구조화하는 틀이 생긴다.
서양의 경우 서유럽을 중심으로 중세시대에 봉건제도가 성립되었다. 왕을 중심으로 한다는 점에서 서양의 관료제는 과거 동양의 모습과 비슷하다. 하지만 동양처럼 왕이 절대통치자로서의 존재는 아니었다. 많은 땅(장원)을 가지고 있는 영주의 경우 그 힘이 왕에게 뒤지지 않았으므로 중세의 왕은 자신의 영지 이외에는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할 수 없었다. 지방분권적인 성격이 강했던 탓에 왕은 상징적인 존재에 불과했고 중세 말에 이르러서야 중앙집권적인 국가를 형성할 수 있었다. 동양의 경우, 왕은 국가 자체의 의미로서 서양보다 왕의 권력적 성향이 강하였다. 조선 역시 지도자의 권력 자체가 ‘왕’이라는 절대적 존재에서 비롯되는 사회구조였다. 왕이 가진 권력의 힘만으로 국가를 통치할 수 있었다. 권력을 가진 왕들은 피지배자(민중)의 동의와 상관없이 명령하고 그들의 행동을 제약하였다.
서양이든 동양이든 왕과 귀족(혹은 양반)을 아우르는 조직이 있었고(일종의 관료제 조직) 이 조직이 운영되기 위해서는 ‘지배와 복종’의 관계가 형성되어야 했다. 그리고 이러한 지배와 복종의 관계에서 지배자는 복종을 당하는 피지배자의 신망과 지지를 얻어야 지속될 수 있다. 권력을 남용하고 백성을 돌보지 않는 왕은 지도자로서의 역량이 부족할 뿐 아니라 한나라를 파국으로 치닫게까지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세종대왕은 비단 한글창제의 눈부신 업적 뿐 아니라 한 나라의 왕으로서의 자질과 그 역량이 뛰어난 지도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세종의 정치적 지배유형을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조선시대 관료적 조직의 결정자이자 한 나라의 우두머리인 세종대왕의 권위와 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Ⅱ. 본 론
조선시대의 경우 ‘양반관료제사회(兩班官僚制社會)’라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의 양반사회가 베버가 말하고 있는 현대의 관료제 조직 관료제(官僚制)란 ‘전문적인 능력을 소유함으로써 임명된 행정관(관료)이, 국민에 대한 민주책임의 보장을 면제받고, 정치지도를 행하는 통치제도’를 말한다. 이러한 관료제는 막스 베버가 처음 체계적으로 정의했다고 할 수 있다. 흔히 우리가 떠올리는 관료제는 피라미드와 같은 형태의 전문화된 관료집단으로, 일정한 절차와 정형화된 방식에 따라 일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이라고 볼 수는 없으나 전통사회 역시 제한되어있긴 하지만 관료적 조직이 존재했음은 부인할 수 없다. 절대적인 지배 권력인 왕과 그에 복종하는 민중으로 구성된 조선사회는 전통적인 지배유형에 해당한다. 그리고 이러한 지배구조 속에서 가장 높은 자리에 위치하고 있는 왕이라는 존재는 커다란 조직을 이끌어가는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인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1) 세종대왕은 권위의 정당성을 가졌는가?
지배란 ‘자신의 영향력 사용이 정당하고 믿는 권력의 행사자와 그의 명령 또는 영향력을 정당하다고 인정하는 피권력자간에 성립되는 상호관계의 유형’이다. 이러한 지배는 권력의 특수한 형태로서, 자신의 의사를 이용하여 타인을 수용할 수 있게 강제할 수 있는 힘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지배는 완벽히 권력power의 개념에 부합하기 보다는 권위authority 권력의 경우, 피지배자의 저항이 있다고 해도 지배자가 원하는 바를 행동하게끔 만드는 힘이라고 할 수 있다. 권위란 피지배자가 지배자에 대하여 그의 지배가 정당하다고 믿을 때 성립되는 지배자의 권력을 의미한다.
의 개념과 그 뜻을 더 가까이 한다. 여기서 권위는 권력과는 다소 다른 개념이다. 권위는 권력과 같은 강제성보다는 정당성을 요하는 것으로, 지배가 높은 지위의 사람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을 때(가령 군주나 기업가, 대통령 등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 그들에 대한 피지배자의 자발적인 승복이 있을 때 비롯된다.
참고문헌
Ⅳ. 참고문헌
김영수. 2007 「세종대왕의 국가경영」. 교과서
백기복. 2007.「대왕세종」. 크래듀
전경일. 2006 「창조의 CEO, 세종」. 휴먼비즈니즈
김인호. 2005 「우리 역사와 오늘」. 신서원
터버·비글리 외. 2004. 「사회학 이론의 형성」. 일신사
앤서니 기든스. 2003. 「현대사회학」. 을유문화사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y.go.kr/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