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을 넘고자 한다면 역사인식과 대북정책

 1  백두대간을 넘고자 한다면 역사인식과 대북정책-1
 2  백두대간을 넘고자 한다면 역사인식과 대북정책-2
 3  백두대간을 넘고자 한다면 역사인식과 대북정책-3
 4  백두대간을 넘고자 한다면 역사인식과 대북정책-4
 5  백두대간을 넘고자 한다면 역사인식과 대북정책-5
 6  백두대간을 넘고자 한다면 역사인식과 대북정책-6
 7  백두대간을 넘고자 한다면 역사인식과 대북정책-7
 8  백두대간을 넘고자 한다면 역사인식과 대북정책-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백두대간을 넘고자 한다면 역사인식과 대북정책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역사란 무엇일까? 역사의 wrap container content 사전적 정의를 찾아보면 이렇다. ‘인류사회의 변천과 흥망의 과정. 또는그기록’ 많은 사람들이 흔히 가지고 있는 정의는 이러할 것이다. 하지만 역사의 또 다른 사전적 정의가 있다. 그것은 바로 어떠한사물이나 사실이 존재해온 연혁 이다. 이 두가지의 사전적 정의는 둘다 틀린 말이 아니다.하지만 진정한 역사는 후자에 좀더 가까울 것이다. 왜냐하면 모든 작은것들 하나하나가 시간의 흐름으로 변해가기 때문이다. 즉, 역사란 시간적으로 지나간 모든 현재라는 말이다.이와 같은 원리로 ‘필자의 역사’라는 책에는 이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이 적혀 있을 것이다. 모든 사람의 모든 행동은 ‘역사’가 되어진다.
0.역사인식의 필요성과 우리들의 역사인식
‘역사’라는 단어만 말해도 듣기 싫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 학창시절 역사를 싫어하는 사람들은 쉽게 볼 수 있엇고, 그들은 역사 수업시간에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지 않았다. 하지만 그들 또한 스스로 원하여 공부했던, 강요에 의해서 공부했던 역사에 대해서 많은 공부를 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실제로 역사를 좋아하고 즐기는 사람은 많지 않지만,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역사에 대한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역사를 좋아하고 즐기지 않는대도 불구하고 현대인들은 역사에 대한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다.왜 많은 현대인들이 역사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을까? 그것은 이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역사에 대해서 배워야 한다고 생각햇고, 그러한 생각으로 미래세대에게 역사 교육을 시켯기 때문이다. 역사를 왜 배워야 할까? 라는 생각이 들기도 전에 필자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역사를 배우기 시작했다. 그리고 어느정도 나이가 되면, 역사를 배우는 이유에 대해서도 교육 받게 된다.흔히 우리가 교육 받은 역사를 배우는 이유는 역사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해서’이다.
Fig 1. 역사인식 중요성에 관한 예시
인간은 본질적으로 더욱더 풍요롭고 안정적인 삶을 원한다. 역사는 이러한 우리의 욕망을 채우기 위한 좋은 수단이 된다.우리는 더욱 좋은 삶을 살아가기 위해 마치 기상관측기를 만들어 기상현상을 예측하려는 것처럼 미래를 예측하려고 한다.미래를 내다보기 위해서 우리는 정확한 현재를 알아야 하지만 우리의 현재를 정확하게 아는 것은 불가능하다. 우리의 현재를 최대한 정확히 알기위해서는 과거를 살펴 보아야만 한다. 마치 달리기를 하다가 우리가 얼마나 달려 왓는지를 알려면 출발점이 어디 엿는지를 알고, 얼만큼 발을 내딛엇는지 알아야만 되는것 과 같다. 정리하여 말하자면 인간은 풍요롭고 안정적인 삶을 위해 현재를 최대한 정확히 알아야하고, 과거는 현재를 보여주는 거울과 같다는 것이다. 우리는 역사를 바라보는 행동 (역사인식)을 통해서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
역사인식은 미래 뿐만 아니라 더 나은 현재를 만들어 주기도 한다. 올바른 역사인식은 현재의 이익을 가져다 주기도 하고,반대로 잘못된 역사인식은 현재에 마이너스적 측면으로 다가올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전범 국가들이 유엔 안보리 상임 이사국 진출을 시도할 때 두 국가의 차이를 들 수 있다. 2005년 UN안전보장이사회(이하,안보리) 상임 이사국 중 하나인 미국이 상임 이사국 수를 하나 더 늘리는 것이 어떻냐? 라는 제안을 하였엇고, 이게 많은 선진국 들이 상임이사국 이 되기 위한 활동을 하였다. 이때 새로운 상임 이사국 후보로써 독일과 일본이 크게 언급되었다. 두 국가는 전쟁을 일으킨 전범국가 이지만, 유엔 안보리에서 미국 다음으로 많은 경제적 측면을 담당하고 있엇고, 전 세계에 큰 영향력을 가지는 국가라는 공통점이 있는 국가이다. 하지만 이 두나라의 진출을 지켜보는 세계의 시각은 너무나도 달랐다. 아무런 비판세력이 없는 독일에 비해 일본은 한국과 중국과 같은 전쟁피해국가의 반대에 부딪치게 되었다. 그 이유는 독일과 일본의 역사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그 차이점은 바로 같은 전범 국가지만 독일은 자신들의 과거를 부끄럽게 생각하고 그것을 반성하고 사죄하였지만, 일본은 역사를 왜곡시켜 교육하고 반성하지 않앗다라는 점이다. 잘못된 역사인식이 국익을 해하는 결과를 만들어 낸 것이다.반대로 올바른 역사인식으로 나아간 독일은 유럽에서 인정받는 국가로써 활동하고 있다.
Fig 2.역사인식 현황
역사인식은 여러 가지 이유로 참 중요한것이지만 우리들의 역사인식 현황이 좋지많은 않다. 왼쪽은 우리들의 역사인식이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한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3.1 8.15 와 같은 대한민국 역사에 잊혀져서는 안될 중요한 단어들이 그저 숫자로써만 해석되고 있다.우리들의 역사인식이 부족하다는 사실은 다른 많은 매스미디어를 통해서도 알수 있다. 자료에 의하면 1)우리나라 청소년의 70%정도가 6.25전쟁이 북침으로 잘못 알고 있고 2)20%에 달하는 청소년이 해방년도를 잘못 알고 있기도 하다. 잘못된 역사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은 중,고등학생 뿐만 아니다.대학생 및 어른들도 잘못된 역사인식을 가지고 있다. 한 대학교 디자인과의 학생들은 욱일승천기에 대한 지식을 가지지 못 하엿는지,그것을 배경으로 사용하고, 교육부는 역사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점점 잊어버리고 있다. 하루 빨리 이렇게 잘못된 역사인식을 바로 잡아야만 대한민국이 바로 설수 있으며, 만약 그러지 못할 경우 미래는 좋지 않은 방향으로 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