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lins Modern Times

 1  Chaplins Modern Times-1
 2  Chaplins Modern Times-2
 3  Chaplins Modern Times-3
 4  Chaplins Modern Times-4
 5  Chaplins Modern Times-5
 6  Chaplins Modern Times-6
 7  Chaplins Modern Times-7
 8  Chaplins Modern Times-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Chaplins Modern Times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채플린의 Modern Times는 자동화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매우 강력하게 풍자하고 있으나 레드문(Red Moon) 카페와 댄스홀 장면 등에서 서비스 노동자들이 직면하는 도전, 모호함(ambiguities), 모순에 대한 치밀한 이해를 보여줌. 그는 심지어 서비스 노동자들이 공장노동자보다 훨씬 더 통제당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줌.
채플린이 제기한 문제(issues)는 비판적 경영 문헌에서 다루어져 왔음. 이들은 몸의 경영, 감정노동, 심미적(aesthetic) 노동, 공동생산자와 서비스노동의 관리자라는 역할을 동시에 하고 있는 고객(소비자), 진정성(authenticity) 문제를 포함함.
채플린은 모던 타임즈에서 인본주의적 시각을 담고 있으며 이 영화는 정치적 사회적 논쟁(polemic)으로 유명함. 그러나 이 영화는 산업화(industrialim)와 자본주의의 영향에 대한 정치적 수사 그 이상임. 레드문 카페 장면에 특히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채플린의 코미디 방식에서 보여지는 자기반사력(Self-reflexivity)으로 그는 자신의 무대 인물(persona), the Little Tramp를 기술진보의 불가피성에 대해 우아하지만 비극적으로 희생시킴.
이 장은 서비스 노동과 관련한 현대적 논쟁에 비추어 모던 타임즈를 논의하고자 함. 그 이유는 이 영화는 최근 비판적 학자, 결과적으로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을 고려한 논쟁에 많은 통찰력을 보여주기 때문임. 우선 Monin(2004)의 비판적 읽기로 영화를 분석한 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구성됨. 첫째, 영화의 광범위한 주제에 대한 배경, 채플린의 코미디, 둘째, 영화의 레드문 카페 설정(setting) 기술, 중요한 사건 강조, 셋째, 채플린의 서비스 노동 비판에 비추어 영화의 내러티브를 논의, 마지막으로 채플린의 영화로 시각이 높아진 우리자신을 받아들이고 간략히 왜 코미디가 문제인지 논의함. 우리는 채플린이 제공하는 the Nonsense Song, 터무니없고 비통한 해법에 분별(sense)이 있음을 제안하고자 함.
The Little Tramp, Chaplin and Modern Times
최근 서비스 노동을 다루는 많은 학자들처럼, 채플린은 산업화가 개인, 감정(Hochscheld, 1983), 정신(Rose, 1990), 소비와 노동의 세계의 관계(DuGay, 1996)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것에 관심있었음. 예를 들어, 모던 타임즈의 처음 공장 장면에서, 우리는 Tramp가, 자연스런 신체 기능을 독특한 방식으로 보존하려 필사적으로 애쓰는 것을 보게 됨. 가려운데 긁고, 먹고, 파리를 찰싹 때리고, 소변을 보고자 하는 그의 욕구(needs)는 우리에게 재미를 주지만 무정한 현대화된 기계의 대리인(agents)들, 감독자, 동료 노동자, 공장 관리자, 발명가, 시장 매매인 모두는 그가 산업화에 맞추어 살 것을 강요하고자 함.
잊을 수 없는 많은 이미지가 초기 공장 장면에 진가를 보여줌. 처음에 벽시계(clock)가 주요한 이미지로 등장하며 노동자들이 공장으로 몰려들어감. 일을 시작하는 노동자들의 근무일, 검은 양 한 마리와 하얀 양떼, 남자의 내부 냄새에 비교되는 공장 기계의 크기, 먹고 토하기를 반복하는 Tramp, 새로 발명된 feeding machine에 실험대상(guinea pig)이 되고, 심지어 Tramp는 화장실을 가기 위해 일을 마치지만 그의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하고 일자리로 돌아갈 것을 요구하는 공장 매니저와 갈등함(Kuriyama, 1992).
이러한 첫 장면은 산업화에 대해 매우 강력하게 진술하는 것으로, 나머지 장면은 잊어버리기 쉬움. 그러나 영화는 공장 노동 그 이상에 대한 것임. 조립라인에서 일하는 것 이외에도, Tramp는 다른 형태의 노동도 거치는데 기계공 조수, 항만 육체 노동자, 백화점 안전요원, 레드문 카페의 노래부르는 웨이터를 전전함. 정신병원, 감옥같은 다른 기구(institutions)에서 시간을 보내며, Tramp는 자신과 유사한 정신세계를 갖고 이 세상에서 자신의 장소를 발견하려 애쓰는 the Gamin과 사랑에 빠지게 됨. Gamin은 그녀의 가족의 비극을 통해 자본주의의 희생자로 그려짐(아버지는 실업 데모 기간 경찰의 총에 맞아 사망했고 자매들은 고아원으로 보내졌음).
Gamin은 채플린의 실제연인이었던 Paulette Goddard는 채플린이 서비스 노동을 어떻게 설명하는지, 특히 그가 소비의 공포(specter of consumption)을 제기할 때, 핵심 역할을 함. 서비스 노동에서 소비와 생산의 관계는 중심적이며 채플린이 영화를 통해 보여주는 것은 산업 자본주의와 소비의 상호의존성이 있을 때 모호성과 모순이라는 현대적 주제를 깨닫고 있다는 점임. Tramp는 안전요원으로 백화점에서 잠시 일하게 되며 성당의 고가품들을 도난당하지 않도록 지키게 되어 있었음. 백화점은 공장에서 대량생산된 제품들을 시장으로 보내는 창고임. 강도와 술을 마시게 되며 보안 노동자로서 실패하기 이전에, Tramp와 Gamin은 케이크, 비싼 가죽 코트, 장난감, 편안한 침대에 대한 환상을 드러냄. 백화점 창고라는 욕망의 세계는 Tramp에게 전환점이 됨. 그는 단순한 욕망을 갖고 있는 단순한 남자이지만 그는 Gamin에게 필사적으로 바치려 함. 그러나, 사랑은 그들의 판타지의 유혹적인 힘으로 눈을 멀게 함. Tramp는 기쁨이라는 본성에 이끌려 장난감 백화점에서 구한 스케이트를 타고 눈가리개를 한 채 절벽 가까이서 show-off ice dancing을 보여줌. 소비의 유혹이 환상적 장면으로 보여지는 주요 장면 중 하나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