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상대문자와 문자 체계의 변천

 1  일본의 상대문자와 문자 체계의 변천-1
 2  일본의 상대문자와 문자 체계의 변천-2
 3  일본의 상대문자와 문자 체계의 변천-3
 4  일본의 상대문자와 문자 체계의 변천-4
 5  일본의 상대문자와 문자 체계의 변천-5
 6  일본의 상대문자와 문자 체계의 변천-6
 7  일본의 상대문자와 문자 체계의 변천-7
 8  일본의 상대문자와 문자 체계의 변천-8
 9  일본의 상대문자와 문자 체계의 변천-9
 10  일본의 상대문자와 문자 체계의 변천-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일본의 상대문자와 문자 체계의 변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우리의 조상들은 자신의 삶을 기록하려고 수 많은 노력을 해왔다. 어떨 때는 나무에 선을 세기며 어떨 때에는 그릇을 만들 때 줄로 모양을 만들기도 하였다. 일본에 한자가 들어온 것은 3세기쯤이라고 생각 해볼 수 있다. 그리고 카나가 그 형식을 갖춘 것은 8세기이다. 그렇다면 우리의 조상들은 카나를 완성하기 전에 어떠한 문자를 어떠한 형식으로 사용되었을 것인가. 한자가 들어어기 전인 상대문자들과 한자가 들어온 후인 万葉名(まんようがな)를 중심으로 살펴 보고자 한다.
본론
- 한자 전래 전 -
▼상대문자에 대한 학설 상대문자의 부정 증거로서 橋本進吉박사가 제창한 고대8모음설에 의해 イロハ(iroha)47音あいう(oiu)50音으로 구성되어 있는 상대문자는 평안시대(794년~)이후에 만들어진 의작이라는 증거로서 현재까지 일본 국어학개의 통설이 되어 있다. 상대=나라시대에는 모음이 アイウエオ(aiueo)의 5음 이외에 i,e,o에 대해서는 甲乙의 2類이 있었으며 합계 8모음, 자음과 합치면 87의 음이 있었으며 이것을 상대특수카나사용법(代特殊名遣)이라고 한다. 이 전재를 밑에서 大野晋 박사들에 의해 상대문자가 비판되었다. 즉, イロハ歌(이로하가요)(47音)나 アイウエオ/aiueo(50音)은 평안시대에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상대문자라고 추측되는 것 중의 대다수가 47자 또는 50자이므로 이들의 문자가 평안시대 이전에는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학설이 오랫동안 일본의 국어학회에서 주류였다.
그러나 이 상식을 부정하는 강력한 학설이 제기되었다. 그 학설은 “고대 일본에서 사용되던 언어의 모음체계는 5모음이었지만 대륙에서 건너온 도래인들의 영향으로 8모음이 되었다”는 설이다. 松本克己박사의 ‘음운교체현상’에 의하면 도래인들를 의해 조래된 한자를 국어화 하는 일시적인 하상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의논은 아직 결과가 나와 있지 않는 상태이므로 향후 새로운 전개가 기대될 것이다.여기서 언급해야 하는 것은 평안시대에는 8모음이 사멸되었다는 사실이 중요하지만, 왜 사멸되었는지를 밝혀야 8모음 설이 설득력이 결여하게 되어, 8모음설의 입장에서 부정되었던 상대문자는 재검토가 필요하게 될 것이다.
▼上代特殊名遣에 대한 논의
고대 그리스가 그 당시의 선진국의 언어이었던 셈어로 표기한 적이 있었다고 한다. 그 때 음운으로서는 무용한 구별을 하여 표기 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일본어에서도 적용할 수 있으며 외래적인 표기법이 처음으로 받아드린 시기에는 음성상의 차이에 지나지 않는 변의음까지도 구별하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에 만요가나도 한자의 음을 발으기호로써 빌려온 결과 필요이상에 음성을 구별해버렸다는 것이다. 또, 박사는 나라시대의 음운은 현대의 5모음과 거의 변화가 없으며, 8모음 설은 외래적인 표기법이 만들어낸 허상이라고 橋本進吉 박사의 주장을 논파했다. 또, 森重敏 박사는 나라시대 8모음이었다면, 평안시대에는 5모음이 되어있는데 8모음에서부터 5모음으로 변화해야하는 필요성을 발견할 수 없다. 상대시대도 5모음체계가 있았다고 지적하며 주장하였다. 즉, 모음자체는 변화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상대문자
아이누 문자/ 별명: 아이노 문자
메이지 시대 중기 인류학자인 坪井正五가 『東京人類誌 18、22 』에 ‘北海道異文字’로서 처음으로 소개를 한다. 석편이나 도기, 칼, 가죽, 목편 등에 새겨져 있으며 北海道余市 주변에서 발견었다. .특히 천년전의 유물로 인정된 ‘六角柱石片’에는 아이노문자가 새겨져 있으며 확실한 증거가 되어 있다. 그러나 그 당시 “아이누인이 문자를 가질 리가 없다”는 학설이 주류이었기 때문에 인정을 받을 수 없었다. 그러나 ‘蝦夷(아이누)를 통치하였다’는 기재가 있으므로 아이누인 들은 미개인이었다고 쉽게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아히루문자
馬(대마도)의 卜部-阿比留家(아히루 가)에 전해진 것으로 아히루문자라고 불러진 문자. 서체에는 세로와 가로가 있으며 그 구성은 한글과 비슷하다. 그래서 아히루문자가 한글을 모방한 것이라면 1446년이후에 개발되었다고 생각해야 하지만, 한글창조이전에 치워졌다고 생각되는 신사의 신찰이나 석비에 아히루문자가 적혀져 있기 때문에 한글과의 관계가 의심스럽다. (미야자기 현의 円野神社(創建703年)에 아히루문자로 새겨진 석비가 출토했으나 그 석비의 존재는 학회에서 무시되어 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石川九楊(1999)「二重言語家日本」 日本放送出版協 
吾彦(1996)「日本神代文字究原点」 新人物社
平河南(2005)「 古代日本文字のた道―古代中朝鮮から列島へ」大修館書店
<万葉名表>
http://www6.airnet.ne.jp/manyo/main/notes/kana/home.html
< 부록자료 : 万葉名해독표>
音 万葉名 あ a 阿、安、英、足 い i 伊、怡、以、異、已、移、射、五 う u 宇、羽、于、有、卯、烏、得 え e 衣、依、愛、 お o 意、憶、於、應 か ka 可、何、加、架、香、蚊、迦 き(甲) ki(1) 支、伎、岐、企、棄、寸、吉、杵、來 き(乙) ki(2) 貴、紀、記、奇、寄、忌、幾、木、城 く ku 久、九、口、丘、苦、鳩、 け(甲) ke(1) 祁、家、計、係、價、結、 け(乙) ke(2) 、、毛、飼、消 こ(甲) ko(1) 古、姑、枯、故、侯、孤、、粉 こ(乙) ko(2) 己、巨、去、居、忌、許、、興、木 さ sa 左、佐、沙、作、者、柴、紗、草、散 し si 子、之、芝、水、四、司、詞、斯、志、思、信、、寺、侍、時、歌、詩、師、紫、新、旨、指、次、此、死、事、准、磯、 す su 寸、須、周、酒、州、洲、珠、、酢、栖、渚 せ se 世、西、、勢、施、背、脊、迫、 そ(甲) so(1) 宗、祖、素、蘇、十 そ(乙) so(2) 所、則、曾、僧、、憎、衣、背、苑 た ta 太、多、他、丹、、田、手、立 ち ti 知、智、陳、千、乳、血、茅 つ tu 都、豆、通、追、川、津 て te 堤、天、帝、底、手、代、直 と(甲) to(1) 刀、土、斗、度、、利、速 と(乙) to(2) 止、等、登、澄、得、騰、十、鳥、常、跡 な na 那、男、奈、南、寧、難、七、名、魚、菜 に ni 二、人、日、仁、爾、、尼、耳、柔、丹、荷、似、煮、煎 ぬ nu 奴、努、怒、農、濃、沼、宿 ね ne 、尼、泥、年、根、宿 の(甲) no(1) 努、怒、野 の(乙) no(2) 乃、能、笑、荷 は fa 八、方、芳、房、半、伴、倍、泊、波、婆、破、薄、播、幡、羽、早、者、速、葉、 ひ fi 比、必、卑、賓、日、氷、飯 ふ fu 不、否、布、負、部、敷、、 へ(甲) fe(1) 平、反、返、弁、弊、陛、遍、覇、部、、重、隔 へ(乙) fe(2) 閉、倍、陪、、、 ほ fo 凡、方、抱、朋、倍、保、、富、百、帆、 ま ma 万、末、馬、麻、摩、磨、、前、、間、鬼 み(甲) mi(1) 民、彌、美、三、水、見、視、御 み(乙) mi(2) 未、味、尾、微、身、、箕 む mu 牟、武、無、模、務、謀、六 め(甲) me(1) 、馬、面、女 め(乙) me(2) 梅、米、迷、昧、目、眼、海 も mo 毛、母、文、茂、門、問、聞、忘、物、裳、喪、藻 や ya 也、移、夜、楊、耶、野、八、矢、屋 ゆ yu 由、喩、遊、湯 いぇ ye 曳、延、要、、叡、兄、江、吉、枝 よ(甲) yo(1) 用、容、欲、夜 よ(乙) yo(2) 、余、四、世、代、吉 ら ra 良、浪、、、羅、等 り ri 里、理、利、梨、隣、入、煎 る ru 留、流、類 れ re 、列、例、烈、連 ろ(甲) ro(1) 路、漏 ろ(乙) ro(2) 呂、侶 わ wa 和、丸、輪 ゐ wi 位、、謂、井、猪、藍 ゑ we 廻、、面、 を wo 乎、呼、遠、鳥、怨、越、少、小、尾、麻、男、、雄 が ga 我、何、賀 ぎ(甲) gi(1) 伎、祇、芸、岐、儀、蟻 ぎ(乙) gi(2) 疑、宜、義、擬 ぐ gu 具、遇、隅、求、愚、虞 げ(甲) ge(1) 下、牙、雅、夏 げ(乙) ge(2) 義、、宜、、削 ご(甲) go(1) 吾、、胡、、後、籠、、悟、誤 ご(乙) go(2) 其、期、碁、語、御、馭、凝 ざ dza 社、射、謝、耶、奢、、 じ zi 自、士、仕、司、時、、慈、耳、餌、、、爾 ず dzu 受、授、殊、儒 ぜ ze 是、湍 ぞ(甲) dzo(1) 俗 ぞ(乙) dzo(2) 序、、賊、存、茹、鋤 だ da 陀、太、大、 ぢ di 、治、地、恥、尼、泥 づ du 豆、頭、弩 で de 代、田、泥、庭、、殿、而、涅、提、弟 ど(甲) do(1) 土、度、渡、奴、怒 ど(乙) do(2) 特、藤、騰、等、耐、抒、 ば ba 伐、婆、磨、魔 び(甲) bi(1) 婢、鼻、 び(乙) bi(2) 備、肥、飛、乾、眉、媚 ぶ bu 夫、扶、府、文、柔、、部 べ be(1) 弁、便、別、部 べ be(2) 倍、 ぼ bo 煩、菩、番、蕃
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