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과 도가(道家) 문화

 1  한문과 도가(道家) 문화 -1
 2  한문과 도가(道家) 문화 -2
 3  한문과 도가(道家) 문화 -3
 4  한문과 도가(道家) 문화 -4
 5  한문과 도가(道家) 문화 -5
 6  한문과 도가(道家) 문화 -6
 7  한문과 도가(道家) 문화 -7
 8  한문과 도가(道家) 문화 -8
 9  한문과 도가(道家) 문화 -9
 10  한문과 도가(道家) 문화 -10
 11  한문과 도가(道家) 문화 -11
 12  한문과 도가(道家) 문화 -12
 13  한문과 도가(道家) 문화 -13
 14  한문과 도가(道家) 문화 -14
 15  한문과 도가(道家) 문화 -15
 16  한문과 도가(道家) 문화 -16
 17  한문과 도가(道家) 문화 -17
 18  한문과 도가(道家) 문화 -18
 19  한문과 도가(道家) 문화 -19
 20  한문과 도가(道家) 문화 -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문과 도가(道家) 문화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문과 도가(道家) 문화
도가(道家)
황노학(黃老學) 또는 노장학(老莊學)
도가의 시조 : 노자(老子)
무위자연(無爲自然)을 주장
유가의 예악(禮樂)과 형정(刑政)의 형식주의를 반대
어린 아이의 천진성 회복, 무위자연의 사회를 완성
노자의 도(道, Tao) ≠ 일반적인 도덕(Virtue)
유가의 인의(仁義)라는 도덕의 상위개념
곧 형이상적인 본체론
노자(老子)
도가학파의 종사(宗師)
『사기(史記) · 노자한비열전(老子韓非列傳)』
“노자는 초나라 고현 여향 곡인리 사람이다.
성은 이씨(李氏)이고 이름은 이(耳), 자는 담(聃)으로
주나라의 국가 문서를 관장하는 사관(史官)이었다.”
노자(老子)

귀가 길고 크다 ⇒ 장수의 상징
귀가 아래로 늘어지다 ⇒ 연세가 높다는 의미.곧 늙은 모습
귀가 크면 복이 많고 장수한다는 문화는 바로 노자에게서 유래
왜 李子가 아니고 老子인가?
160세 혹은 200세 장수, 그러므로 老子라 불렀다.
노자는 나면서부터 백발(老子生而皓首) 흰머리, 흰 눈썹, 흰 수염
이에 부모가 ‘老’라고 명명(命名)하였다.
『도덕경(道德經)』
『노자』 또는 『노자도덕경』이라고도 한다.
약 5,000자, 81장으로 되어 있으며, 상편 37장의 내용을 「도경(道經)」, 하편 44장의 내용을 「덕경(德經)」이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도덕경 [道德經]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제1장」
‘도’는 말로 표현할 수 없으며 표현할 수 있으면 영원불변한 ‘도’가 아니다.
도불가언(道不可言)
‘명’ 곧 ‘도의 진상(眞相)’은 이름을 붙일 수 없으며, 이름을 붙일 수 있으면 영원불변한 ‘명’이 아니다.
천하 만인 모두 아름다움이 왜 아름다운지 알며, 이에 ‘못남’이란 개념도 생겨난다.
(동시에 사람들 모두 미를 추구하고 추를 멀리하며, 이로써 다툼이 일어나 결과적으로 도리어 아름답지 않아진다.)
모두 선이 왜 선인지 알며, 이에 따라 ‘악’이란 개념이 생겨난다.
(동시에 사람들 모두 선을 쫓고 악을 가려내어 이로써 허위와 속임이 생겨나고 결과적으로 도리어 선하지 않아진다.)
「제2장」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