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장 토의식 회의식 교수법

 1  제10장 토의식   회의식 교수법 -1
 2  제10장 토의식   회의식 교수법 -2
 3  제10장 토의식   회의식 교수법 -3
 4  제10장 토의식   회의식 교수법 -4
 5  제10장 토의식   회의식 교수법 -5
 6  제10장 토의식   회의식 교수법 -6
 7  제10장 토의식   회의식 교수법 -7
 8  제10장 토의식   회의식 교수법 -8
 9  제10장 토의식   회의식 교수법 -9
 10  제10장 토의식   회의식 교수법 -10
 11  제10장 토의식   회의식 교수법 -11
 12  제10장 토의식   회의식 교수법 -12
 13  제10장 토의식   회의식 교수법 -13
 14  제10장 토의식   회의식 교수법 -14
 15  제10장 토의식   회의식 교수법 -15
 16  제10장 토의식   회의식 교수법 -16
 17  제10장 토의식   회의식 교수법 -17
 18  제10장 토의식   회의식 교수법 -18
 19  제10장 토의식   회의식 교수법 -19
 20  제10장 토의식   회의식 교수법 -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제10장 토의식 회의식 교수법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제10장 토의식 . 회의식 교수법
1. 사회적 상호작용의 의미
2. 토의식 교수법
3. 회의식 교수법
1. 사회적 상호작용의 의미

- 교수자의 여러 가지 특성
- 학습자의 여러 가지 특성
- 교수 학습매체의 여러 가지 특성
들이 함께 어우러져 상호작용을 어떻게 하게 되느냐에 크게 의존하게 됨을 깨닫게 된다.
▶ K. Lewin = 장의 산물이라는 장이론 수립
집단 속에서 사람들은 서로 여향을 미치고 영향을 받고, 그리하여 변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들을 교수 학습이 이루어지는 교실 내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고, 또 적용하여야 한다는 깊은 성찰이 교수 학습을 하나의 사회적 과정으로 이해하는 기틀이 되었다.

-상호작용하는 개인간의 체제를 구명한 상호작용 이론
-집단을 투입과 생산의 체제로 보고 집단내 의사소통체제 등을 초점으로 삼는 체제이론
-집단 구성원의 응집성을 탐구하는 사회성 측정이론
-집단 속 에서의 개인의 동기화 방어과정을 탐구하는 심리분석 이론
-요인분석과 같은 통계적 절차를 통해 집단과정을 분석하는 경험통계적 이론
-집단과정을 수학적 모형으로 제시한 공식적 모형 이론
교수 학습을 하나의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해석할 때, 상호작용이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첫째, 상호작용은 학급의 구성원 즉,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간의 상호작용 또는
관계형성을 의미한다.
관계형성의 산물은 = 공동체의 구성이다.
공동체란, 그 집단의 개개 구성원 상호간의 깊이 있는 개인적 친밀감, 사회적 응집성,
도덕적 책무이식, 그리고 시간상의 지속성으로 특징지어지는 항구적 관계 형성이다.

▶ W.R. Torvert(1976) - 교실을 탐구의 공동체
▶ J. Heron(1974) - 또래 학습공동체
▶J. Bilorusky와 H. Butler(1975) - 실험하는 공동체
공통적인 특징은 서로간의 친밀을 바탕으로 한 사회적 관계형성의 응집성을 추구하는데 있다.
학습 공동체로서의 교실 내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교수 학습과정에 대한 상호간의 완전한
의사소통에서부터 시작한다. 무엇을 가르치고 무엇을 배울 것인지,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우리는 서로
가르치고 배우며, 그 가르치고 배운 것을 우리가 얼마나 잘했는가를 나중에 어떻게 알 수 있는지에 대
한 의사소통에서부터 공동체 형성은 시작된다.
사회적 상호작용의 공동체가 갖는 또 다른 중요한 의미는 교실 내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한 조직의
완전한 심리적 구성원으로서의 의식을 고양시킨다는 데서 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어떠한 집단과 관계를 맺을 때는 두 가지가 관계형성의 관건이 된다.
① 그 집단이 어느 정도나 내게 매력을 느끼게 하느냐 즉, 집단은 내게 대하여 어느 정도 유인성을
발휘하느냐 이다.
-긍정적인 매력→ 집단에 대한 구성원의 동기를 강하시켜 준다.
-중립적인 매력→ 집단에 대한 무관심
-부정적인 매력→집단으로부터 탈퇴하고 싶은 마음을 갖게 한다.
② 그 집단이 나를 어느 만큼이나 수용하느냐이다.
-긍정적인 수용→개인이 집단규범을 따르도록 만든다.
-중립적인 수용→집단규범에 대하여 냉담하게끔 만든다.
-부정적인 수용→집단규범을 거부하도록 만든다.
이러한 매력과 수용의 정도는 곧 그 집단 내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둘째, 교실 내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교수자와 학습자간, 학습자 상호간의 지적 및 정서적인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한 개인 내에서의 지적 및 정서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데 그 뜻이 있다.
인간적인 인간은 지적으로나 정서적으로 통정된 인간이다. 그렇기에 교육에서 지와 정을 따로 떼어서 가르친다는 것은 원래부터 바람직스럽지도 못할 뿐만 아니라 가능하지도 않았다.
자아
지 정
사람과 사람 구성원 상호간
학교 & 지역사회
『T.Yeomans(1973) 이론적 모형』
셋째, 교실 내에서의 상호작용은 사회적 기능을 학습하는 행동적 교육임을 의미한다.
교실 내에서 학습자들은 서로 가르치고 배우면서 협동의 의미화 경쟁의 원리도 함께 배우고,
상부상조의 기능도 배운다.
- 전체 집단규범과 기중에 적응하는 기능도 배운다.
참여의 범위와 한계를 이해하는 기능, 그리고 참여의 방법도 배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사회적 상호작용의 촉진은 일종의 재사회화의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