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설문 - 올림픽의 저주는 계속 된다

 1  논설문 - 올림픽의 저주는 계속 된다 -1
 2  논설문 - 올림픽의 저주는 계속 된다 -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논설문 - 올림픽의 저주는 계속 된다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제목
올림픽의 저주는 계속 된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위기라는 얘기가 나오고, 위기가 된 가장 큰 이유에는 재정적인 문제이다. 이런 재정적인 문제는 우리나라에서만의 문제가 아닌 다른 나라도 항상 문제가 되고 있다. 다른 나라도 이런 문제들이 올림픽 때마다 나타나고, 이를 ‘올림픽의 저주’라고 부른다. 대표적인 예가 2004년 그리스 아테네 올림픽이다. 개최국 선정 후, 올림픽 파급효과의 기대로 아테네의 복잡했던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리를 3개 건설하기로 했지만 단 1개의 다리만 건설되었으며 시내 지하철 노선확장과 철도확충 비용을 반으로 줄이는 등 교통인프라 개선을 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우리나라는 아직 여러 경기장을 공사 중이고, 2017년에 완공인 경기장이 많다. 하지만 이 경기장들을 올림픽 개최하고 난 후 그 뒤에 관리도 문제가 된다.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예산이 모자랄 뿐 아니라 완공 후 관리를 하는 것이 더 큰 문제가 된다. 우리나라에서 경기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내놓아서 그곳을 애물단지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아직 우리나라는 경기장을 활용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경기장을 짓는 과정이 향후 미래의 빛을 떠안은 것과 같은 것이다.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가 2008년 산업연구원에 의뢰해 만든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 타당성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총생산액 유발 효과는 20조4천973억 원에 달한다고 한다. 이는 2002년 한·일 월드컵의 2배 수준이다. 여기서 가장 기대하는 것은 중장기적으로 지역경제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국가이미지 제고, 기업이미지 개선 효과이다. 하지만 1988년 일본 나가노 동계올림픽과 1992년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을 예를 들어보면 102억 엔의 흑자를 기록했지만, 각종 시설 조성을 위해 자금을 투입한 나가노시 주민은 1인당 356만 엔의 부채를 부담하게 되었고, 개최 이후 당시 스키경기가 열렸던 브리드를 비롯한 인근 14개 마을이 과잉투자로 인해 파산했다. 여기서 우리나라가 유의해야 할 점도 이를 보고 알 수 있다. 과도한 투자는 흑자를 기록할 수 있고, 이미지를 높일 수 있지만, 이는 주민들에게나 정부에게 부채를 떠안게 된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평창 동계올림픽을 개최하기 전 준비를 해야 한다.
현재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이 위기가 된 사태에는 강원도가 최근에 개최권 반납을 언급하고, 단독 개최 능력에 의구심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지금 재정적인 문제를 예산 투입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오히려 다른 나라의 사례처럼 강원도 주민들이 세금을 떠안을 수 있다. 여기서 나온 현실적인 방안은 분산 개최이다. 현재 강원도의 부채규모는 6000억 원에 육박한다고 한다. 그런데 경제성에 대해 의구심이 있던 썰매경기장도 올해 하반기 12000억 원 규모로 이미 착공된 상태이다. 우리나라가 착공해야 할 경기장은 약 8개가 넘고 경기장마다 매년 수십억 원 이상의 유지· 관리비용도 갈수록 늘어날 것이다. 비록 모든 경기장 건설이 시작되었고 공사 중이지만 미래를 생각한다면 이를 매몰시키고 보상금이나 위약금 등을 부담하고 중단하는 편이 훨씬 경제적일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런 경기장들을 매몰시키고 올림픽 개최권을 반납하자는 것은 3번 도전하면서 간절히 바랐던 동계올림픽을 무산시키고 지금까지 투자했던 돈을 물거품으로 만들 수는 없다.
현재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생각되는 것이 분산개최이다. IOC에서는 올림픽 혁신안으로 ‘아젠다 2020’을 발표했다. 아젠다 2020에는 분산개최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있다. ‘개최지가 아닌 지역이나 개최국을 벗어난 국가에서도 경기가 가능하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전 세계 IOC 의원들이 만장일치로 채택한 내용이 있는 거로 세계적인 흐름이 분산개최 쪽으로 흐르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조직위와 강원도는 분산개최는 할 수 없다는 의견입니다. 이완구 국무총리는 ‘조직위 중심으로 평창 동계올림픽이 성공적으로 개최돼 대한민국의 브랜드를 드높이고 국제적으로 깊은 인상을 남기게 하겠다.’라고 이야기했다. 모든 경기를 우리나라에서 이뤄지게 하고, 그 후 강릉시민의 생활체육장으로 쓰겠다고 이야기했다. 그 큰 경기장들을 강릉시민들을 위한 생활체육장으로 쓰겠다고 한 것은 예산 낭비가 되는 것이다. 큰 예산이 들어가고 강원도민들은 그 부담되는 부채만큼 그
경기장을 활용할 수 있을지 의문이고, 그 경기장이 계속 관리가 될지도 의문이다. 나중에 가서 경기장을 활용하지 않는다고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가 이뤄진 후 그 경기장을 매몰시키는 것도 더 큰 낭비가 된다. 생활체육장을 위해 쓰일 예정이면 현재 공사 중인 경기장을 매몰시키고 그나마 절약된 예산으로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아직 우리나라가 생활체육이 활성화 됐다고는 얘기할 수 없고, 생활체육인들이 생활체육할 수 있는 공간은 여의치 않다. 어차피 지어질 큰 경기장이 나중에는 생활체육장으로 쓰인다면 소규모인 생활체육장을 건설하여 좀 더 관리하기도 쉽고 친근하게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JTBC가 2014년 12월 조사한 여론조사에서는 국민의 57.8%가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분산개최에 찬성하는 입장이 우세했다. 점점 심해지는 재정적인 문제에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찬성을 하던 강원도민들도 등을 돌리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굳이 과반수의 강원도민이 원하지 않는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을 굳이 해야 하는지도 의문이 든다는 점이다. 이미 재정적인 문제는 인식하고 있고, 올림픽으로 인한 경제적인 효과가 정확하지 않은 시점에서 무리해서 진행하는 것은 힘들다. 다시 강원도민들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서는 분산개최를 하지 않는 정확한 이유와 정확한 경제 효과, 통계상의 수치로 설득을 해야 할 것이다.
과반수의 강원도민이 원하지 않는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은 현재 시점에서 분산개최가 답이다. 다른 나라의 예처럼 과도한 투자는 오히려 우리나라와 강원도에 해가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이미지 개선과 여러 경제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국민도 원하지 않는 것을 정확하지 않은 경제적 효과 때문에 한다는 것은 너무 위험한 일이다. 아직 우리나라는 인천 아시안게임으로 인한 빚이 남아있는 상황이다. 이번 규모는 인천 아시안게임도 큰 규모이다. 아시안게임보다 동계 올림픽이 더 큰 규모여서 예산이나 부채에서부터도 차이가 날 수 있다. 하지만 이 뒤에 시설 관리· 유지비도 큰 차이가 나고, 이 빚들은 우리나라 국민이 가지고 가야 할 짐이 돼버리는 것이다. 세계의 흐름도 다른 지역이나 다른 나라의 경기장에서 경기를 허용하는 쪽으로 흐르고 있는 가운데 자신들의 이미지 때문인지 국가의 이미지 때문인지 의문이 든다. 좀 더 성숙한 생각을 가지고 분산개최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