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도의 형성과정과 발전과정

 1  한국무도의 형성과정과 발전과정 -1
 2  한국무도의 형성과정과 발전과정 -2
 3  한국무도의 형성과정과 발전과정 -3
 4  한국무도의 형성과정과 발전과정 -4
 5  한국무도의 형성과정과 발전과정 -5
 6  한국무도의 형성과정과 발전과정 -6
 7  한국무도의 형성과정과 발전과정 -7
 8  한국무도의 형성과정과 발전과정 -8
 9  한국무도의 형성과정과 발전과정 -9
 10  한국무도의 형성과정과 발전과정 -10
 11  한국무도의 형성과정과 발전과정 -11
 12  한국무도의 형성과정과 발전과정 -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무도의 형성과정과 발전과정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국무도의 형성과정과 발전과정
무도의 기원!!
「무도의 기원은 인간 최초의 무인인 ‘니므롯이다.
이는 창조주 여호와 하나님이 맹수들의 습격으로부터 인간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칼과 도끼와 창과 같은 무기제작의 재능을 주었다.」
- 창세기 10 : 8 ~ 9 -
♥ 한국무도의 형성과정 ♥
· 4세기(고구려) 시대에는 격투형태에 대한 체계적 연구 진행
참고문헌

스포츠의 역사와 문화
옛 그림에서 만난 우리 무예풍속史
한국무예의 역사,문화적 조명
무예도보통지주해(武藝圖譜志註解)
Martial Meditation Philosophy and the Essence of the Martial Arts
무도론
한국무도는 탁월한 기량과 기술력,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한국무도사에 관한 한 중국의 쿵푸(우슈)나 일본의 유도, 가라데에 비해 그 연구가 방관되어있다.
그러나 우리의 무도 태권도가 2000년 시드니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태껸, 씨름, 24반 무예등 한국 전통 무예가 보급/발전되고 있음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2
이 최초의 무인이라는 ‘니므롯’에 대해서는 교재에 아주 설명이 잘되어있다. 이 말은 무도가 어느정도 수련이 되면 자연스레 힘이 생겨난다. 그런데 이를 자신의 마음이 교만해지지 않도록 호심술로 자신을 다스려서 결국 호신술, 즉 신의 뜻을 지키는 단계까지 나아가야 한다 이뜻이다. 그러나 무도가 호신술만 체득되어 무력을 통해 권력과 결탁되면 엄청난 어긋남의 기질이 형성되어 곧 ‘반란의기질’이 형성된다.
3
이 그림에서 우리가 알 수 있는것은 우리나라가 중국에 예속되기도 했고, 20세기 전반에는 일본에 의해서 강점당하여 외국의 영향을 적잖게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는 고유한 무술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4
삼국시대 이전에 우리나라의 현묘한 도가 있는데, 이것이 유교, 불교, 그리고 도교를 다 포함하는 고유한 우리 민족정신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이외에도 1세기경 고구려 왕조의 초기 기록을 보면 격투술 뿐만 아니라 형(품새)에 대한 기록도 있으며, 여기에는 무술훈련의 정신적인 측면의 유익함도 강조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현묘한 도가 삼국시대 신라에 의하여 체계화된 심신수련의 무도중심, 군사, 교육등을 포괄하는 사회적 조직인 ‘화랑도’를 창설하였다. 누가-진흥왕, 언제-신라시대 8세기초에. 화랑도는 무술을 하나의 스포츠로 수련하였으며 무술은 고려시대에 대중적으로 발전했다. 이에대한 상세한 규칙과 기술에 대한 기록이 보존되어있다. 다음조가 발표.
5
호신술-자신을 지키는 무예에서, 교만해지지 않게 호심술로써 자신을 다스리고 신의 뜻을 지키는 단계를 지나, 나아가서 자신의 부족 자신의 국가를 지키는 무예로 형성과정이 전개된다.
6
최초의 한국무도는 우주만물과 인간을 창조한 유일신으로부터 맹수의 습격에 대해 사람을 보호하는 재능을 부여받았는데, 그것이 무도의 첫 발전과정인 ‘무기’의 단계이다.
이 ‘무기’의 단계는 점차 세련되게 수련되어 ‘무술’의 단계로 발전되고, ‘무술’은 단순한 ‘무기’가 보다 체계화되어 하나의 무적인 방법으로 자리 잡는 단계를 말한다.
마지막 무예 단계는 교재에 나와있듯이 ‘무술의 극치’ 로 알면된다.
7
우리 한민족은 삼국시대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상무정신이 퇴색하면서 임진왜란을 겪고 온 국토가 유린되고 나서에 무의 배양의 중요성을 깨닫고 ‘무예도보통지’를 편술하게 되었다.
무예도보통지란 쉽게 얘기하면 조선 후기의 무예 훈련 교범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1790년 정조임금 신하를 통해 만들었다. 여기서 무예란 뜻은 창,검,봉 같은 병장기를 다루는 숙련된 기술을 일컫는 말이고, 도보는 어떤 사물을 그림으로 계통을 세워 설명하는 것을 말한다. 통지란 여러가지를 담은 종합서적임을 나타내는 말이다.
무예도보통지란 무술의 자세와 동작을 그림으로 풀이한 종합서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8
무예도보통지 일부분. 서로대련하는 그림, 장창, 편곤, 기창.. 이외에도 각각 무기마다 해당무기를 가지고 사요할수 있는 기술에 대한그림, 대련하는 그림등 많은것들이 수록
10
복잡하고 다변화된 현재 사회에서 무도 수련을 통해 우리는 무엇을 얻을수 있을것인가에 대해 의문을 제시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무도의 수련은 생존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자기방어적인 측면을 가장 최우선으로 하여왔다. 하지만 엄청나게 빠르게 변화하는 지금 이시대에 맞춰 우리의 무도도 무도 스포츠로써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 과정에서 우리의 전통 무도가 가진 여러가치를 잃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우리모두가 고심해보아야 할 숙제가 아닌가 하고 나는 생각한다. 이상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