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적 차원의 기록 선별을 위한 연구

 1  거시적 차원의 기록 선별을 위한 연구-1
 2  거시적 차원의 기록 선별을 위한 연구-2
 3  거시적 차원의 기록 선별을 위한 연구-3
 4  거시적 차원의 기록 선별을 위한 연구-4
 5  거시적 차원의 기록 선별을 위한 연구-5
 6  거시적 차원의 기록 선별을 위한 연구-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거시적 차원의 기록 선별을 위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거시적 차원의 기록 선별을 위한 연구
제 1장 서론
연구 배경과 목적
2. 연구 방법과 범위
제 2장 기록 선별 방법에 관한 이론적 고찰
거시평가 방법의 등장과 흐름
2. 거시평가를 수용한 국가의 기록 선별 방법
1) 기능중심의 거시평가 방법
2) 주제중심의 거시평가 방법
제 1장 서론
연구의 배경과 목적
기록 평가는 기록 관리의 핵심적인 기능 중 하나로, 현대 기록관리 환경에서 가치 있는 기록을 선별하기 위해 행하는 과정이며, 기록의 계속적 가치와 활용성에 따라 보존기간을 결정하는 과정이다.
근대 초기까지의 평가는 기록 선별의 대략적인 기준을 현실적 필요에 따라 제정하는 수준이었다면, 19세기를 거치면서 산업화, 인구의 증가, 국가의 비대화라는 변화가 기록생산량을 폭발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이러한 변화들로 대량의 기록들 중 가치 있는 기록을 선별하고, 효율적인 처분을 위해 기록 평가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다. 그 중에서도 거시적인 관점에서 기록이 생산된 맥락에 기반을 둔 평가와 당대의 사회상을 담고 있는 기록을 선별해야 한다는 거시평가 이론이 각국의 선진기록관리국가에서 기록평가방법으로 받아들여지기 시작했다. 거시평가는 기록이 생산되는 기능·업무 분석에 따라 기록을 선별하는 기능평가가 대표적인 방법이다. 기능평가는 해당 기능 및 업무분석 책정을 위해 현용적인 필요성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당대의 사회상을 담고 있는 역사적·문화적·사회적 가치를 지닌 기록을 기능평가만으로 선별하기는 어려운 한계를 갖고 있다. 그러나 기능평가는 기록선별에 있어 효율적이고 합리적 이기 때문에 대표적인 선진기록관리 국가들이 선별을 위한 평가방법으로 채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현대 기록관리 환경에 따라 기록평가방법의 많은 변화가 있었다. 2005년엔 기록관리 혁신로드맵을 통해 업무와 기록분류체계의 통합이 추진되었고, 정부기능분류체계에 입각한 기록관리기준표 체제를 확립했다. 기록관리기준표는 업무과정에 기반을 두어 단위과제별로 보존기간을 책정하는 제도이다. 다만 단위과제별 보존기간을 책정할 시 시행령 별표에 기록물 보존기간별 책정 기준을 참고하여 영구기록을 책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두 가지 사실을 알 수 있다. 첫째, 한국에서도 대량의 기록 더미에서 효율적인 기록선별 및 처분을 위해 기능평가의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둘째, 시행령 발표의 보존기간별 책정기준에서 ‘영구대상 기록기준’은 국가가 영구적으로 보존해야하는 기준을 명시하고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당대의 사회상을 담고 있는 기록을 선별하기 위한 거시적 차원의 기록 선별 방법이다. 현재 한국의 평가제도에는 단위과제별 기능평가를 위해 해당 기능 및 업무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함과 동시에 시행령 별표에서 명시하고 있는 영구대상 기록기준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제시해야한다는 과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가 영구보존기록을 선별 가능하게 하는 거시적 차원에서의 방법으로는 궁극적으로 당대의 사회상을 담고 있는 기록의 선별을 가능하게 하는 거시평가의 방법이 유용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해외 선진기록관리국가들 중에서 실제 거시평가를 수용하여 자국의 기록관리 환경에 따라 어떠한 방법으로 적용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