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화尙火이상화

 1  상화尙火이상화-1
 2  상화尙火이상화-2
 3  상화尙火이상화-3
 4  상화尙火이상화-4
 5  상화尙火이상화-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상화尙火이상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상화(尙火) 이상화
Ⅰ. 생애와 활동
이상화는 1901년 4월 5일 경북 대구시 중구 서문로 2가 12번지에서 태어났다. 부친 이시우와 모친 김진자 사이의 4형제 중 둘째로, 본관은 월성 이씨다. 그는 일곱 살 때 아버지를 잃고, 백부 이일우가 세운 학교에서 한문 교육을 받았는데, 백부의 훈도와 유년기 체험은 훗날 이상화의 인격형성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당시 이상화의 가문은 삼 천석 부자로 알려질 만큼 대구에서 명망이 높은 집안으로, 백부 이일우는 우현서루(友弦書樓)를 세워 많은 인재를 길러냈으며, 교육이외에도 가산(家産)을 독립자금에 쏟아 부을 만큼 지사(志士)적 면모를 갖춘 사람이었다. 그런가 하면 이상화의 형 이상정은 중국으로 건너가 독립운동가로 활동하는 등 이상화의 가문 사람들은 그야말로 우리나라가 겪은 난세를 의롭게 살아간 대구 명문가의 후예들이었다.
이러한 지사적 가풍 속에서 자란 이상화는 열다섯 살에 서울로 상경, 중앙학교에 입학한다. 하지만 끝내 학교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낙향한 다음, 강원도 일대를 유랑하였다. 친구 백기만에 따르면 이상화는 1917년 현진건, 백기만, 이상백과 더불어 프린트판 ‘거화(炬火)’를 출간하면서 시작(詩作)을 개시했다고 한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면서 이상화는 백기만, 허범, 하윤실 등 대구고보 학생들과 주동이 되어 거사를 모의한다. 그러나 시위 전날 홍주일 등 주요 인물이 검거되어 차질을 빚는다. 이에 이상화는 서울로 피신, 박태원의 하숙집에 기거하면서 음악과 영문학에 조예가 깊었던 그에게서 많은 영향을 받는다.
1921년 현진건의 소개로 박종화를 만나 ‘백조’동인이 되면서 본격적인 문단활동을 시작했다. ‘백조’ 창간호에 ‘말세의 희탄’(1922)를 발표하고, 1923년에 ‘나의 침실로’를 계속하여 발표하였다. 이때 이상화는 프랑스 유학을 꿈꾸며 일본으로 건너가 ‘아테네 프랑세’에서 프랑스어와 프랑스문학을 공부하였다.
그러나 1923년 9월 ‘관동대지진’ 당시 일본인의 한국인 학살 사건을 현장에서 직접 뼈저리게 경험하면서 프랑스 유학에 대한 꿈을 접었다. 이후 서울에서 적극적인 문단활동을 벌였다.
1925년 문학단체 ‘파스큘라’에 가담하고, 그 해 8월에는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동맹(KAPF)’의 창립 멤버로 활동했다. 이듬해인 1926년 ’개벽‘ 70호에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를 발표, 식민지 시대의 대표적 저항시인으로 우뚝 서게 되었다.
이후 의열단 ‘이종암사건’(1927). 장진홍의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탄사건’(1927), 신간회의 ‘ㄱ당사건’으로 구금되기도 하였다. 또한 1937년 독립운동가인 형 이상정을 만난 혐의로 몇 차례 일본군에 구금되어 고초를 치른다. 1939년 교남학교 교사로 재직 시, 이상화가 작사한 교남학교 교가 가사가 문제되어 가택 수사를 당하고, 자신의 시 원고까지 압수당한다.
그 후 1941년 ‘문장’ 지에 「서러운 해조(諧調)」를 발표하게 되는데, 이는 1943년 4월 25일 위암으로 사망한 이상화의 마지막 작품이 된다.
Ⅱ. 시적 경향과 변모양상
이상화의 시의 경향은 대체로 감상 퇴폐 탐미 민족 저항 등의 말로 집약, 분류된다. 학자별로 분류방식 김봉군 외(2001), 한국현대작가론, 민지사. p.59~61
참고문헌

정한모(1981), 『이상화 연구』, 새문사.
김봉군 외(2001), 『한국현대작가론』, 민지사.
김윤정(1999), 「이상화 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연숙자(2004), 「이상화 시 연구-저항의식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염향윤(2004), 「이상화 시 연구-현실에 대한 시적 대응 양상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박금란(2005), 「이상화 시에 나타난 현실인식의 변모양상 연구」,강릉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