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시언해에 대해서

 1  두시언해에 대해서-1
 2  두시언해에 대해서-2
 3  두시언해에 대해서-3
 4  두시언해에 대해서-4
 5  두시언해에 대해서-5
 6  두시언해에 대해서-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두시언해에 대해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두시언해에 대해서
목 차
서론
본론
1. 언해사업에 있어서의 두시언해의 위치
2. 두시의 언해 목적
2.1. 조위의 두시서
2.2. 중간두시언해 서
3. 두시의 언해 경위
4. 초중간본의 통시음운론적 고찰
4.1. 표기법
4.2. 음운론적 변화
결론
서 론
구어로서의 국어와 문어로서의 한자라는 이중언어생활을 하던 한민족에게 훈민정음의 창제는 국어의 자국 표기 수단 확립이라는 중요한 역사적언어사적 업적이었다. 훈민정음 창제 후 그 활용에 있어서 창작활동과 번역이라는 독서활동이 주를 이루게 되었는데 전자의 대표격이 요, 후자의 대표격은 라 할 수 있겠다. 鄭義順,「杜詩諺解의 諺解史的 價値」
여기서 우리는 번역이라는 독서활동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두시언해에 대하여 그것이 언해사업에 있어서 어떠한 위치에 서 있는지를 살피고, 언해의 목적과 그 경위는 무엇이며 구체적인 내용에 있어서 이것이 언어학적 자료로서의 어떠한 가치를 지니는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본 론
1. 언해사업에 있어서 두시언해의 위치
세종은 을 제정하고 와 과 을 지었다. 그리고 세종은 아마 의 창제의 기초적 토대를 이용해서 운서 정비사업의 필요성을 생각여 운서의 저술 또는 번역에 정열을 기울인 것으로 보인다.
언해사업의 하나로서 세종은 두보의 시를 준비하게 된다. 이를 위하서 먼저 두시의 여러 가지 주석책을 구하고, 다음으로 두보의 시에 정통한 자를 부르고, 집현전의 학자들 모두에게 주석을 명하였다. 주석이 다 끝난 후에 언해를 시키고자 했던 것으로 보이나 이러한 준비가 진행되는 도중에 세종은 33년 2월에 승하하게 된다.
성종 때에 와서 세종 때 시작한 를 완성한다. 세종이 이미 명령해 놓은 그 사람들을 성종이 다시 명하여 주석을 완성하고, 주석이 다 된 후에 곧 언해하여 성종 12년(1481)에 간행하였다.
세종이 정열을 기울인 운서번역, 세조의 불경언해, 성종의 와 다른 중국 시의 언해, 그리고 중종 이후로는 다양해져서 여러 가지 언해물들이 나오게 된다. 아래 그림은 언해사업 전체의 시대적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이 그림에 포함되지 않은 18세기아 19세기도 이 선을 그대로 연장한 것으로 보면 된다. 여기서 두시(杜時)의 위치는 중국문학의 위치에 해당한다. 위의 논문
운서번역의 토대, 불경언해에서의 말의 구사에 대한 경험이 영향을 줄 수 있는 위치에 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