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당 서정주 분석

 1  미당 서정주 분석-1
 2  미당 서정주 분석-2
 3  미당 서정주 분석-3
 4  미당 서정주 분석-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미당 서정주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미당 서 정 주
1. 생애
1) 소년 시절 - 서정주는 1915년 전북 고창군 부안면 선운리(속칭 질마재 질마재의 질마는 마을을 넘어서는 고개의 모양이 길마(수레를 끌 때 말이나 소 등에 안장같이 얹는 제구)와 같다고 하여 붙여진 것이다. 질마는 길마가 구개음화 된 상태의 명칭이다.
)에서 출생하였다. 아홉 살 때 줄포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고 1929년에는 중앙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게 된다. 이 때의 미당은 사회주의공산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1930년 11월 광주학생사건 때 주모자가 되어 학교를 퇴학당하고 이듬해 봄, 고창 고보에 편입학해서도 주모자가 되어 자퇴를 했다. 1936년 중앙불교전문학교를 휴학, 동아일보에 시 이 신춘문예에 당선해서 등단한다. 11월에는 함형수, 김동리 등과 함께 시 전문 동인지 『시인부락』을 창간하였다. 만18세쯤 니체와 보들레르의 영향을 받게 되며, 후에 프랑스 상징주의 시도 받아들이게 된다. 또한 고호, 고갱의 그림도 좋아하여 1941년에 나온 그의 첫 시집 「화사집」에는 그 영향의 일단을 담기도 했다.
2) 일제시대와 친일 행위 - 1942년 일본의 식민지 정책이 강화됨에 따라 미당은 시대 상황에 대해 체념과 달관의 자세를 가진다. 이 경향은 노자나 장자 등의 사상에 경도하게끔 만들어, 1947년, 그의 대표작 가 탄생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그는 징용에 끌려가지 않기 위해서 조선총독부의 지시에 따라 친일시를 썼으며, 다츠시로 시즈오라는 창씨명으로 ‘매일신보’에 시 평론을 싣고 친일어용문학지인 「국민문학」,「국민시가」의 편집 일을 맡아 본격적으로 친일 작품을 양산한다. 그가 쓴 친일작품은 시, 평론, 수필, 단편소설, 르포 등 11편에 이른다.
3) 해방 이후의 활동 -1946년 3월 ‘전조선문필가협회’에서 시분과위원회 위원장을 맡았으며 1948년에는 동아일보 사회부장, 1949년에는 ‘한국문학가협회’의 시분과위원회위원장직을 맡는다. 또한 한국전쟁 때 문총구국대에서 서리 실무책임을 맡았는데 이 무렵 그는 실어증에 빠지기도 한다. 14 후퇴 때 전주로 내려가 전주고등학교 국어 교사를 했는데 그는 이때부터 신라에 골몰하기 시작해서, 1960년 「신라초」와 1968년 「동천」을 펴내게 된다. 1953년 9월 피난생활을 끝내고 서울로 돌아온 미당은 1954년,1966년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에 선출되었고 1960년에는 제 3시집 「서정주시선」으로 미국의 아세아 재단에서 주는 ‘자유문학상’을 수상했다.
4) 세계 유랑 및 사망 - 서정주는 1977년과 1984년 2차에 걸쳐 세계일주를 하게 된다. 이 경험은 「서으로 가는 달처럼」,「미당 세계 방랑기」,「떠돌이의 시」등에 담겨 있으나, 이전의 시만큼 정제되어 있지 못하다. 미당은 2000년 12월 24일 별세했다.
*시집 : 화사집(1941), 귀촉도(1948), 서정주시선(1956), 신라초(1960), 동천(1968), 질마재신화(1975), 떠돌이의 시(1976), 서으로 가는 달처럼(1982), 학이 울고간 날들의 시(1982), 안 잊히는 날들(1983) ,노래(1984), 팔할이 바람(1988), 산시(1991), 늙은 떠돌이의 시(1993), 80소년 떠돌이의 시(1997)
2. 시적 경향과 사상
1) 초기시 - 인간 원형의 탐구
미당의 시는 인간 원형의 탐구에서 시작된다. 이는 식민지 후기의 한국적 현실과 관련되는 것이며, 서정주 자신의 자아를 관찰한 데서 오는 실존의 고뇌가 강렬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갈등은 그의 독특한 어법으로 육화되어 있기 때문에 한국 현대시사에서 가장 치열한 생명탐구의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사향 박하의 뒤안길이다.
아름다운 배암……
얼마나 커다란 슬픔으로 태어났기에
참고문헌
※ 참고문헌
김봉군, 이용남, 한상무 공저, 「한국현대 작가론」, 민지사, 2001
오세영, 「한국 현대 시인 연구」, 도서출판 월인, 2003
박철석, 「한국 현대 시인론」 , 민지사, 1998
박호영, 「서정주」,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3
김정신, 「서정주 시정신」, 국학 자료원, 2002
김진희, 「생명파 시의 모더니티」, 새미, 2003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