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체가의 이해

 1  경기체가의 이해-1
 2  경기체가의 이해-2
 3  경기체가의 이해-3
 4  경기체가의 이해-4
 5  경기체가의 이해-5
 6  경기체가의 이해-6
 7  경기체가의 이해-7
 8  경기체가의 이해-8
 9  경기체가의 이해-9
 10  경기체가의 이해-10
 11  경기체가의 이해-11
 12  경기체가의 이해-12
 13  경기체가의 이해-13
 14  경기체가의 이해-14
 15  경기체가의 이해-15
 16  경기체가의 이해-16
 17  경기체가의 이해-17
 18  경기체가의 이해-18
 19  경기체가의 이해-19
 20  경기체가의 이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기체가의 이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경기체가
Ⅰ. 경기체가의 명칭과 분류
1. 경기체가의 명칭
2. 경기체가의 분류
1) 문헌별 분류
2) 시대별 분류
Ⅱ. 경기체가의 장르적 성격과 특성
1. 경기체가의 장르적 성격
2. 경기체가의 장르적 특성
1) 형식적 특성과 율격
2) 형식 유형과 변화
3) 내용상 특징
4) 시어상의 특징
Ⅲ. 경기체가의 작자와 향유층
1. 사대부의 경기체가
2. 예조 찬진의 경기체가
3. 불교계 경기체가
Ⅳ. 주요 작품
Ⅴ. 참고문헌
목차
1. 경기체가의 명칭
「한림별곡」을 효시로 그 형식을 전형으로 삼은 작품들을 묶어 하나의 장르로 설정.
안확이 이를 ‘경기체(景幾體)’라고 이름 붙인 이후, 논자에 따라 별곡(別曲), 별곡체(別曲體), 별곡체가(別曲體歌) 혹은 경기하여가(景幾何如歌), 경기하여체가(景幾何如體歌), 경기체가(景幾體歌) 등 여러 명칭을 사용.
이에 따라 명칭상, 장르 개념상의 혼란이 일고 있으나 현재 널리 통용되고 있는 용어는 ‘경기체가’라고 할 수 있다.
Ⅰ. 경기체가의 명칭과 분류
2. 경기체가의 분류
경기체가의 형식적인 기준에 따라 율격과 형태구조가 「한림별곡」과 같은 것과 끝에‘景 긔 엇더니잇고’와 같은 여음(餘音)이 붙은 것. 이 둘 중 한 가지만 충족되면 경기체가로 볼 수 있음
이러한 기준에 따라 경기체가로 분류할 수 있는 작품은 25편 정도.
Ⅰ. 경기체가의 명칭과 분류
1) 문헌별 분류
개인의 문집, 악보, 실록 및 총서 족보, 불교문헌 등
(1) 개인의 문집
작품집: 『근재집』 ,『불우헌집』, 『자암집』, 『무릉잡고』 ,『죽계지』 ,『송암집』
작품: 「관동별곡」, 「죽계별곡」, 「불우헌곡」, 「화전별곡」,「태평곡」, 「도동곡」, 「육현가」, 「엄연곡」, 「독락팔곡」
시인 자신의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감흥과 정서를 표출할 작품이 주류.
Ⅰ. 경기체가의 명칭과 분류
(2) 악보
작품집: 『악장가사』,『악학편고』 ,『고려사악지』 ,『대악후보』 ,『금보』
작품: 「한림별곡」, 「상대별곡」, 「오륜가」, 「연형제곡」, 「화산별곡」, 「오륜가」
궁중음악으로 연행 사실과 잔치 같은 행사에 널리 불렸음을 알 수 있음. 한림별곡이 가장 대표적.
자기가 속한 세계의 과시와 찬미, 연행의 유락적인 분위기를 반영하는 취흥
Ⅰ. 경기체가의 명칭과 분류
(3) 실록 및 총류
작품집: 『세종실록』,『성종실록』,『중보문헌비고』
작품: 「구월산별곡」, 「금성별곡」, 「충효가」
실록에 수록된 작품은 악장문학으로 궁중에서 연행된 것들. 이런 점에서 아고에 실린 노래와 그 성격이 같다고 할 수 있음
Ⅰ. 경기체가의 명칭과 분류
(4) 족보류
작품집: 『문화유씨세보』,『함양박씨오한공유적』,『고흥유씨세보』,『백의선생행장』
작품: 「화산별곡」, 「가성덕」, 「충성수」, 「배천곡」
족보에는 한 가문의 역사와 조상의 업적이 기록하여 가문의 전통을 부각시킴. 여기에 수록된 경기체가는 이러한 족보의 속성을 반영하면서 자신이 속한 세계를 과시하고 찬양하는 경기체가의 한 측면을 드러냄.
Ⅰ. 경기체가의 명칭과 분류
(5) 불교문헌
작품집: 『염불작법』, 『함허당득통화상어록』, 『적멸시중론』
작품: 「서방가」, 「미타찬」, 「안양찬」, 「미타경찬」, 「기우목동가」
사대부의 이념을 담은 장르가 어떻게 불교의 노래로 수용되었을까?
- 외유내불이라는 당시의 사회상이 거론됨. 세종 당시 두 대군을 잃고 왕후를 잃는 상황에서 극락천도의 찬불가가 연행되었을 것이며, 염불의례나 재의식과 같은 조용하고 내면적인 의식에 사용되었고, 이에 따라 후렴구는 적당하지 않아 생략되었다는 견해가 제시됨.
「서방가」, 「미타찬」, 「안양찬」, 「미타경찬」 등은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내용으로, 주로 죽은 이의 명복을 기원하는 천도의식에서 연행되는 노래의 일반적인 경향
Ⅰ. 경기체가의 명칭과 분류
2) 시대별 분류
(1) 고려시대의 작품
「한림별곡」, 「관동별곡」, 「죽계별곡」
「한림별곡」- 무신란 이후에 관직에 진출하게 된 신흥사대부들의 득의에 가득 찬 세계관을 과시한 노래
「관동별곡」- 안축이 관동지방의 뛰어난 경치에 감흥을 받아 지은 작품
「죽계별곡」- 작자의 고향인 죽계, 곧 순흥의 뛰어난 경치를 노래한 작품. 안축의 작품은 객관적인 자연을 찬양하되 그 동기에 있어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감흥을 표출. 서정적.
이 시기의 작품은 새로이 일어나는 세력의 당당한 포부를 정서적인 바탕으로 하는 신흥사대부들의 작품이되 주관적이고 서정적인 경향을 띠고 있고, 형식적인 전범이 되는 작품이되 부분적으로 형식적인 규범에서 일탈하여 작품에 변화를 가져오기도 하는 생동력 있는 모습을 보임.
Ⅰ. 경기체가의 명칭과 분류
(2) 세종대를 중심으로 한 시기의 작품
이 시기는 신흥사대부들이 주축이 되어 세운 나라의 기틀이 잡혀가는 시대로, 나라를 지탱시키는 근간이 되는 이념적인 틀을 제시하려는 강한 지향성을 보이며, 시의 내용에 있어 교술성이 다분한 것이 특징.
유교적 이념을 제시(「오륜가」, 「연형제곡」, 「구월산별곡」), 왕조의 도읍지를 찬양(「화산별곡」), 조정의 중추인 관부를 찬양(「상대별곡」), 임금을 찬양하고 송축하는 악장(「가성덕」, 「축성수」) 등
이질적인 작자층 승려에 의한 작품, 미타신앙을 배경으로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작품(서방가」, 「미타찬」, 「안양찬」, 「미타경찬」)과 깨달음의 과정을 노래한 작품(「기우목동가」)
이 시기의 작품의 형식은 획일적이고 규범적인 틀을 확고하게 지키려는 경향이 강하다. 교술적인 내용을 획일적인 형식 속에 담으려 했기 때문에 작품의 제작이 생동력을 상실
Ⅰ. 경기체가의 명칭과 분류
(3) 성종대 이후의 작품
기능별로 보면 궁중음악으로 쓰인 「배천곡」, 서원에서 학동들에게 가르치기 위한 「도동곡」, 「태평곡」, 「엄연곡」, 「육현가」, 개인적인 정서를 표출한 「불우헌곡」, 「금성별곡」,「화전별곡」, 「독락팔곡」으로 나눌 수 있음.
경기체가의 주된 담당층인 사대부의 역할과 의식도 변화되어, 조선 초기의 정서적인 강박관념을 벗어나 개인적인 정취의 서정성을 다시 회복. 형식에서도 엄격한 정형의 답습에서 벗어나려는 경향을 보이지만 경기체가는 형식적인 긴장감과 함께 사대부의 이상을 담으려는 경기체가 본연의 장르적인 속성을 유지시키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워지자 생명력을 상실. 임진왜란 이후에는 더 이상 창작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철종대에 지어진 「충효가」는 문학사적 의의를 찾을 수 없음.
Ⅰ. 경기체가의 명칭과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