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고려가요

 1  [고전문학사] 고려가요-1
 2  [고전문학사] 고려가요-2
 3  [고전문학사] 고려가요-3
 4  [고전문학사] 고려가요-4
 5  [고전문학사] 고려가요-5
 6  [고전문학사] 고려가요-6
 7  [고전문학사] 고려가요-7
 8  [고전문학사] 고려가요-8
 9  [고전문학사] 고려가요-9
 10  [고전문학사] 고려가요-10
 11  [고전문학사] 고려가요-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사] 고려가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본문 요약 및 보충
1-1. 전시대 시가의 전통과 고려가요
1-2. 진솔함․ 다양성․ 개방성 : 속요의 세계
1-3. 반복과 변화, 풍류와 낙관 : 경기체가의 세계
1-4. 고려가요 이해의 새로운 방향
2. 속요의 창작과 수용
3. 경기체가 연구
4. 질문 및 함께 생각해 보기
본문내용
1. 본문 요약 및 보충

1-1. 전시대 시가의 전통과 고려가요
고려시대에 접어들면서 표현방식의 제약과 한문학의 발달로 향가가 쇠퇴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향가의 뒤를 이어 속요와 경기체가가 등장했다. 그 외에는 불가와 무가, 참요가 있고, 고려중반까지 창작되던 향가와 고려 말에 등장한 시조, 가사, 한시까지 고려시대의 시가문학은 매우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속요는 민가에서 불리던 노래가 궁중음악으로 수용되었다가 조선조에 한글로 기록되었고 민요에 기반을 두어 소박하고 곡진한 감정을 담고 있다.
경기체가는 신흥사대부들의 새로운 세계관을 특정한 형식에 담았기 때문에 교술적 성격을 띤다.

1-2. 진솔함․ 다양성․ 개방성 : 속요의 세계
고려시대 음악은 크게 아악(雅樂) ․ 당악(唐樂) ․ 향악(鄕樂)으로 나뉜다. 아악은 예종 때 송나라의 대성악(大聖樂)을 받아들여 만들어진 것으로 매우 엄격한 격식을 갖추어 주로 제례에서 사용되었고 당악은 고려 광종~목종 때 송나라의 사악(詞樂)을 받아들인 노래․ 춤․ 음악이 어우러진 정재(呈才)공연의 형태로, 사신의 접대, 국왕 탄생일 등 나라의 큰 행사가 있을 때마다 사용되었다. 향악은 삼국의 음악을 받아들여 속악(俗樂)이라고도 한다. ‘속요’란 이러한 속악에 붙여진 노랫말이라는 뜻으로 속악가사(俗樂歌詞)라고도 불렀다.
삼국의 속악은 대부분의 작품이 전해지고 있지 않아 국문학사나 국문학 개론에서 제 자리를 찾지 못하는 실정이며, 고려시대에는 다양한 장르의 시가들이 시대를 달리하거나 혹은 비슷한 시기에 존재했다. 그 중 향가, 경기체가, 시조, 가사는 고려시대에 창작되고 가창되었고 각기 독립된 장르로 다루고 있다. 김광순 외, 『한국문학개론』, 경인문화사, 2009. p.72.

속요는 조선이 세워진지 100여년 이상 지난 뒤에야 문자로 채록되었다. 성종․ 중종 대에 가악을 정리하면서 대부분의 고려 노래들은 그 노랫말이 비리(鄙俚), 망탄(妄誕)하고 남녀상열(男女相悅)의 내용을 담았다고 해서 삭제되고 변개되었다. 조선 초 성리학적 이념을 준거 로 하여 고려의 속악을 수용하다 보니, 국가 의식에서 연주된 「정읍사」,「처용가」,「정과정」,「동동」등 4편만이 『악학궤범』에 남아있고 나머지 몇몇 작품이 『악장가사』,『시용향악보』,『대악후보』,『악학편고』,『금합자보』등 악보에 채록되어 전해질 뿐이다.
고려가요는 형식이 일정하지 않을 뿐 아니라 기능이나 속성 면에서도 뚜렷한 공통점을 추출하기가 쉽지 않다. 이런 사정으로 인해 작품의 범위나 장르의 성격, 명칭 등 지극히 기본적인 사항에 대해서도 학자들 사이에서 이견이 적지 않다. 위의 책, p.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