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의 정치지도력 수난이대에 대한 비판적 시각

 1  세종의 정치지도력 수난이대에 대한 비판적 시각-1
 2  세종의 정치지도력 수난이대에 대한 비판적 시각-2
 3  세종의 정치지도력 수난이대에 대한 비판적 시각-3
 4  세종의 정치지도력 수난이대에 대한 비판적 시각-4
 5  세종의 정치지도력 수난이대에 대한 비판적 시각-5
 6  세종의 정치지도력 수난이대에 대한 비판적 시각-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세종의 정치지도력 수난이대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세종대왕의 정치 지도력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가뭄이나 홍수 등 자연적 재해가 심할 때 지도자의 무력함을 탓하였다. 이것은 국가정치의 모든 권한과 책임이 국왕 한 개인에게 집중되었던 정치 시대를 바탕으로 나온 이야기임을 알 수 있다. 그 당시 정치지도자 한 사람의 역량은 그 국민의 삶에 직접적으로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을 할 수 있다.
세종대왕은 총명한 지혜와 뛰어난 지도력을 가지고 선정을 베푼 지도자였다. 그는 현재 리더십의 필수 요수라고 주장하는 효율성과 정통성과 지도력 등을 그 당시에도 효율적으로 정치에 적용하여 역사 속의 성군으로 칭하여 졌다.
바람직한 정치지도자에 관하여 공자의 성왕론, 플라톤의 철인정치론 등을 들 수 있고 근대 초기에 들어와서 마키아밸리는 현실적 군주 이론을 내놓은 바 있다. 이러한 여러 논의 중 지도자의 효율성과 도덕성은 가장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중요한 요점이라 하겠다.
이 레포트에서는 이러한 지도자 이론의 중점을 종합하여 세종대왕의 지도이념과 지도방법을 알아보고 이것을 중심으로 그의 정치 지도력에 대해 논의하려 한다.
시대 변화의 시작을 울린 세종대왕
위대한 인물들은 누구나 그의 마음 깊은 곳에 불멸하는 추동력을 가지고 있었다. 저자는 세종대왕이 가슴속에 품었던 의지를 ‘긍정적인 허무’라고 얘기한다. 그것은 그가 국초 국말의 권력쟁투와 무너져가는 인간사의 허무에서 발견한 것이 다름 아닌 인간 존재에 대한 측은지심이었고, 그것이 다시금 사람에 대한 사랑으로 승화되었기에 그렇게 표현한 것이다.
 
세종은 국초에 권력투쟁의 과정에서 그의 아버지 태종에 의해 수많은 목숨을 희생되는 것을 보았다. 이로 인해 세종의 심중에는 ‘적극적인 역사 개척보다는 허무에 기반을 둔 인간사와 인생에 대한 연민’이 자리잡게 되었으며, 바로 그것이 그가 역사를 이끌어간 동기가 되었다는 것이다.
 
세종의 두 형들은 골치 아픈 왕의 자리에서 도망쳤다. 첫째 형은 미친 척했고, 둘째 형은 중이 되었다. 어쩔 수 없이 세종이 선택한 길은 노자의 도(道)인 ‘대은(大隱)은 어시은(於市隱) : 깊게 은둔하는 것은 시끌벅적한 시장 속에서 세상 사람과 동고동락하는 것’이라는 가르침이었다. 세종이 평생 실천한 실사구시(實事求是: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와 무실역행(務實力行: 참되고 실속 있도록 힘써 실행함)은 또 다른 허무를 극복하기 위한 치열한 몸부림이었으며, 말년에 지은 「월인천강지곡」에는 이러한 세종의 이상이 잘 녹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