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두ㅅ의음가와자질

 1  어두ㅅ의음가와자질-1
 2  어두ㅅ의음가와자질-2
 3  어두ㅅ의음가와자질-3
 4  어두ㅅ의음가와자질-4
 5  어두ㅅ의음가와자질-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어두ㅅ의음가와자질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어두 ㅅ 의 음가와 자질
- 사이시옷과 합용병서를 중심으로
1. 중세국어에서 보이는 된소리
훈민정음의 초성 체계에 의해서 후기 중세어에 있어서는 평음 ‘ㅂ ㄷ ㄱ ㅈ’과 유기음 ‘ㅍ ㅌ ㅊ ㅋ’의 양계열의 존재는 쉽게 확인된다. 그런데 어휘에 있어서 유기음의 출현은, 특히 어두에 있어서는, 평음의 그것과는 비교도 안 될 만큼 적었다. 이미 15세기에 ‘’이 ‘’로 변했으며, 16세기 후반에 와서 ‘곻’가 ‘코’로 ‘갏’이 ‘칼’로 변한 예들이 있어 어두 유기음이 다소 늘었다고 하나, 평음과의 불균형은 여전하였다. 어중에 있어서 ‘ㅎ’과 평음이 합하면 유기음이 되는 것은 현대어에 있어서와 마찬가지였다. 특히 ‘다’가 ‘타’로, ‘긔, 게, 고’ 등이 ‘킈, 케, 커’ 등으로 축약된 예들이 많았다.
훈민정음의 초성체계는 후기 중세어에 있어서의 된소리 계열의 존재에 대하여 적지 않은 문제를 제기해 준다. 東國正韻序에 ‘我國語音 其淸濁之辨 與中國無異 而於字音獨無濁聲 豈音此理 ’라 있다. 국어음에는 “濁聲”이 있는데 한자음에는 그것이 없음을 지적한 것이다. 이 “濁聲”은 곧 된소리라고 해석함으로써만 이 글은 올바로 이해된다. 濁聲을 곧 된소리라고 생각했다면, 훈민정음 체계에서 탁성은 各字書로 표기하였으니 된소리는 당연히 各字書로 표기했을 것이다. 그런데 ‘ㄲ ㄸ ㅃ ㅉ’등은 주로 동명사 어미 ‘-ㄹ’ 밑에서만 사용되었으며 ‘ㅆ ㆅ’ 만이 어두음 표기에 사용되었던 것이다. 된소리의 존재는 어두나 어중 위치에서 평음이나 유기음과 분명히 대립됨으로써 확인되는 것으로 위의 표기 사실은 15세기 중엽에는 마찰음의 된소리 밖에 없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나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합용병서 ‘ㅺ ㅼ ㅽ’ 등이다. 이들 ‘ㅅ’은 예로부터 ‘된시옷’이란 이름으로 불리어 왔는데 이 이름이 언제쯤 생긴 것인지 기록이 없어 알 수 없으나 15세기 중엽에 이것은 이미 사실상 “된시옷”이었던 것으로 믿어진다. 이렇게 믿어지는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훈민정음의 여러 문자 중에서 유독 ‘ㅅ’은 그 音價에 구애되지 않고 “사이시옷”으로 사용되었다. 이 사이시옷은 된소리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이다. 둘째, 15세기 중엽의 표기법에 있어서는 모든 받침은 다음 음절의 두음이 모음일 때는 내려 썼는데 유독 ‘ㅅ’ 만은 예외일 수 있었다. 그것은 다음 음절의 초성이 ‘ㄱ ㄷ ㅂ ㅅ’ 등일 때에도 내려 쓸 수가 있었던 것이다. 사이시옷 역시 마찬가지였다. 15세기 문헌에서 후치사 ‘장’, ‘긔’는 거의 언제나 ‘장’. ‘’ 로 표기되었다. 이런 예외가 허용되었다는 사실은 단적으로 ‘ㅺ ㅽ ㅼ’ 등이 된소리의 표기였음을 입증해 준다. 셋째, 표기상의 ‘ㅆ’은 기원적으로 보면 전탁 표기와, 사이시옷과 후행어의 초성 ‘ㅅ’이 합한 것이 있었는데 비록 기원은 다르더라도 이들이 동일한 발음 즉 된소리였다고 보지 않고는 원만한 해결을 얻을 수 없다. 넷째, 각자 병서는 된소리를 나타내는 것이었는데 이것은 원각경언해 이후에는 자취를 감추고 말핬다. 이것은 국어에 된소리가 없어졌기 때문이 아니고 된소리 표기가 단일화된 데 기인한 것이라고 본다. 다섯째, 15세기 중엽에는 ‘그-’였던 어간이 법화경언해와 두시언해에서 ‘-’로 나타나며 그 전의 문헌에서는 ‘딯-’으로 나타나던 어간이 구급간이방에서는 ‘’로 나타난다. 격렬성을 띤 동작을 보다 인상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어두음이 된소리화한 예들이다. 이러한 경향은 16세기에 오면 더욱 강해진다. 속삼강행실도에 ‘짓-’이 여러 군데 보이며, 훈몽자회에 ‘-’, ‘씹-’등, 분문온역이해방에 ‘-’, ‘싸-’ 등의 예가 보인다. 된소리 계열이 이렇듯 표현적 가치를 가지게 될 수 있으려면 이미 된소리가 어두에서 확고한 지반을 가지고 있고서야 가능한 일이라고 보아, 어두 된소리는 15세기 후반보다 앞서 나타났다고 보는 것이 온당할 것이다.
2. ㅅ계 합용병서의 분포
ㅅ계 합용병서는 어두와 어중에 두루 쓰였지만 주로 ㄱ ㄷ ㅂ 등의 파열음과만 결합되는 결합상의 제약을 보인다.
(1) 어두 표기례
ㅺ : 다
ㅼ :
ㅽ :
즛다
(2) 어중 표기례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