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별곡 신진사류들만의 선험적 세계

 1  한림별곡 신진사류들만의 선험적 세계-1
 2  한림별곡 신진사류들만의 선험적 세계-2
 3  한림별곡 신진사류들만의 선험적 세계-3
 4  한림별곡 신진사류들만의 선험적 세계-4
 5  한림별곡 신진사류들만의 선험적 세계-5
 6  한림별곡 신진사류들만의 선험적 세계-6
 7  한림별곡 신진사류들만의 선험적 세계-7
 8  한림별곡 신진사류들만의 선험적 세계-8
 9  한림별곡 신진사류들만의 선험적 세계-9
 10  한림별곡 신진사류들만의 선험적 세계-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림별곡 신진사류들만의 선험적 세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신진사류(新進士類)들만의 선험적 세계,
「한림별곡(翰林別曲)」
1. 머리말
경기체가(景幾體歌) 최초의 작품이라 할 수 있는 한림별곡(翰林別曲, 이하 본가라 칭함) 은 그 까다로운 형식과 특이한 관습으로 인한 창작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후대에 창작되는 경기체가에 주요한 영향을 끼친 작품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갈래의 성격에 대한 논란이 계속 되고 있고, 창작 시기에 대한 문제, 작자에 대한 문제 등 확실하게 규명되지 않은 부분들이 있으며 작품 내의 해석도 어구 해석에 머물러 있어 8장 전체의 문맥이 제대로 해석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김선기(2001), 『翰林別曲의 解釋的 考察』, 『한국언어문학』제47집, 한국언어문학회 ; 에서 저자는 현재의 해석 작업은 대체로 『악장가사』본 「한림별곡」을 대본으로 삼아 전체의 문맥이 제대로 해석되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하였다.
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필자는 본가의 작품을 개관하고 기존의 다양한 분야의 연구검토를 통해 필자 나름의 의미를 부여 해보려 한다.
2. 작품 개관 및 부연설명
-제 1 장-
元淳文(원슌뮨) 인노시(仁老詩) 公老四六(공노륙)
李正言(니졍언) 陳翰林(딘한림) 雙韻走筆(솽운주필)
基對策(튱긔) 光鈞經義(광균경의) 良鏡詩賦(량경시부)
위 試場(시댱)ㅅ景(경) 긔 엇더니잇고
葉(엽) 琴學士(금)의 玉門生(옥슌문) 琴學士(금)의 玉門生(옥슌문)
위 날조차 몃부니잇고
유원순의 문장, 이인로의 시, 이공로의 사륙문
참고문헌

김기탁(1981), 「경기체가의 성격 고찰」, 『영남어문학』제8집, 영남어문학회
김선기(1983), 「翰林別曲의 作者와 創作年代에 關한 考察」, 『어문연구』제12집, 어문연구학회
______(2000), 「翰林別曲의 出現에 대한 綜合的 考察」, 『어문연구』제33집, 어문연구학회
______(2001), 『翰林別曲의 解釋的 考察』, 『한국언어문학』제47집, 한국언어문학회
김흥규(1982), 「장르론의 전망과 경기체가」, 『백영정병욱선생화갑기념논총』, 신구문화사
______(1983), 『장르론의 展望과 景幾體歌』, 新丘文化社
조동일(1994), 『한국문학통사』권1, 지식산업사
______(1994), 『한국문학통사』권2, 지식산업사
박노준(1998), 『高麗歌謠의 硏究』, 새문사
박병채(1994), 『새로고친 고려가요의 어석 연구』, 국학자료원
성호경(1989), 「翰林別曲의 創作時期 論辯」, 『한국학보』, 일지사(한국학보)
이명구(1974), 『高麗歌謠의 硏究』, 新雅社
최용수(2000),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민족어문학』제37집, 한민족어문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