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1  훈민정음-1
 2  훈민정음-2
 3  훈민정음-3
 4  훈민정음-4
 5  훈민정음-5
 6  훈민정음-6
 7  훈민정음-7
 8  훈민정음-8
 9  훈민정음-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훈민정음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서
세종 25년(1443) 창제된 훈민정음은 국어의 완전한 문자화라는 민족적 소망을 실제적으로 구현한 역사의 산물이며, 그 속에 존재하는 과학성과 독창성 등으로 인해 높이 평가받고 있다. 이기문,『新訂版 國語史槪說』, 태학사, 1998, p 68 ~ 71
언어학적 사료(史料)의 측면에서도 그 가치는 높이 평가되어 왔으며 학자들의 수많은 연구를 통해 문자의 체계와 창제원리 등을 분석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동안의 훈민정음 연구는 크게 문자체계, 문자창제의 두 측면에서 진행되어 왔다고 할 수 있는데 1940년 안동에서 『훈민정음해례본』이 발견된 이후 그 성과에 있어 커다란 진전을 이루었다. 이를 통해 제자의 기본원리 및 그 창제의 원리에 관한 그 동안의 의문점들이 어느 정도는 해소되었으며 학계에서 계속되었던 여러 논쟁들이 일단의 합의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훈민정음해례본』에 그 제자원리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역학의 ‘태극 음양(太極 陰陽)’과 ‘오행(金木水火土)’ 설이 등장하는 것은 의미 있는 것이었다. 이는 모든 음성, 문자의 생성 및 그 설명에 있어서 태극(太極)이 음양(陰陽), 사상(四象), 팔괘(八卦), 육십사괘(六十四掛), 그리고 만물을 생성한다는 연역법적 우주적 합리주의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음성문자의 이치를 천지의 법칙과 사람의 법칙에 결부시키고, 만물에서 가장 귀중한 ‘삼재(三才)’인 하늘 땅 사람의 상호작용과 이에 관계되는 사방(四方), 사계절(四季節)의 자연 순행과 변화 발전 관계에 일치시켜 풀이하였으며 음성이나 그 음성 글자의 변별적 자질을 만물형성의 다섯 가지 요소인 오행(五行)으로 설명하였다.
제자원리의 설명을 통하여 드러난 훈민정음의 모습은 그 과학적이고, 독창적인 문자체계의 이면에 동양 전통철학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언어 속에 숨겨진 민족의 세계관을 가늠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즉 훈민정음이 단순한 문자표기체계가 아니라 확고한 언어철학이 반영된 문자서(文字書)이자 음운서(音韻書)였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훈민정음은 현대 국어표기의 모체를 이루는 것으로 그 창제의 원리가 당시의 철학사상을 내포하고 있음은,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도 그 의미를 이해함이 큰 가치로 다가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고에서는 훈민정음의 제이론에 나타나는 철학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초성, 중성, 종성 원리의 배경을 분석하고 그 철학성을 정리하고자 한다.
2. 훈민정음의 철학적 배경
세종 26년 2월 최만리 등 몇몇 집현전학사들은 세종에게 언문반대상소문을 올렸다. 그 구체적 사항의 한 가지는 한글은 성리학(性理學)을 배우는데 도움이 전혀 되지 않는 다는 것이었는데 세종은 이에 대해 답변을 하지 못하였다. 남윤경, 「世宗代 創製된 訓民正音에 대한 歷史的 接近」,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0
二十七字諺文足以 立身於世 何須苦心勞思窮性理之學哉
27자의 언문으로 넉넉히 세상에 출세한다면 어찌 애를 쓰고 생각함에 힘을 써 성리(性理)의 학(學)을 연구하겠습니까?
『세종실록』 권 103, 세종 26년 2월 20일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