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훈민정음

 1  [한국어] 훈민정음-1
 2  [한국어] 훈민정음-2
 3  [한국어] 훈민정음-3
 4  [한국어] 훈민정음-4
 5  [한국어] 훈민정음-5
 6  [한국어] 훈민정음-6
 7  [한국어] 훈민정음-7
 8  [한국어] 훈민정음-8
 9  [한국어] 훈민정음-9
 10  [한국어] 훈민정음-10
 11  [한국어] 훈민정음-11
 12  [한국어] 훈민정음-12
 13  [한국어] 훈민정음-13
 14  [한국어] 훈민정음-14
 15  [한국어] 훈민정음-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 훈민정음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훈민정음이란 무엇인가?
2. 훈민정음 창제 동기 및 목적
3.『훈민정음』
4. 훈민정음 제자 과정

Ⅲ. 결 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훈민정음이란 현재 우리 민족이 쓰고 있는 문자 즉 한글의 옛날 이름으로서, 한자로는 訓民正音으로 표기한다. 훈민정음은 15세기 중엽 세종에 의해 창제된 것으로 한자어와 외래어 등 다른 언어들도 표기할 수 있는 ‘표음 문자’이다.
‘訓民正音’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을 가졌으며 우리 고유의 문자를 지칭하는 고유명사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네 글자는 우리의 문자를 지칭하는 개념 외에도 한 가지 뜻을 더 지니고 있다. 훈민정음을 창제한 후에 세종 대왕은 정인지 등 8명의 학자에게 훈민정음을 만든 근거와 원리를 설명하는 책을 만들게 하여 그 책의 이름을『훈민정음』이라고 칭하였다. 다시 말해, 고유 명사로서 ‘훈민정음’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진다. 첫 번째는 15세기에 세종에 의해 창조된 우리 민족의 고유 문자로서의 ‘훈민정음’이며, 두 번째는 그 문자를 해설한 해설서로서의『훈민정음』이라 할 수 있겠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떠한 이유에서 훈민정음에 대해 알아야 하는 것일까? 다시 말해, 훈민정음에 대해 연구하고 고찰해 보는 것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 훈민정음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에 앞서 이렇게 훈민정음에 대한 연구 의의를 생각해 보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과정이 먼저 이루어 졌을 때 이번 과제가 유의미한 시간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인간의 언어는 크게 음성언어와 문자언어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사실 문자언어는 음성언어에 비해 짧은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의 역사를 거듭해 오면서 여러 민족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표기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문자를 만들게 되었다. 그러한 여러 문자들 중 하나가 바로 ‘훈민정음’이다. 사실 문자는 당대 사회의 상부 구조 하에서 그 민족의 철학과 사상 그리고 생활사 등과 전반적인 관계를 맺으며 발전한다. 우리 민족의 고유한 문자 ‘훈민정음’도 이러한 관계를 맺으며 발전해 왔기 때문에 우리는 ‘훈민정음’을 우리 민족의 뿌리를 알아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근래에 들어 훈민정음에 대한 가치는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대한민국이 통신 및 IT분야에서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세계 상위권에 들 수 있었던 것도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훈민정음’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앞으로 살펴보게 되겠지만 훈민정음의 과학적인 제자원리가 있었기 때문에 속도와 효율성을 생명으로 하는 21세기 정보화 시대에 우리 민족이 정보 통신계의 선진국으로 합류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우리 민족뿐만이 아니라 다른 나라 사람들도 놀라워하는 훈민정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아야 할 필요성은 앞서 말한 이유만으로도 충분하다.
참고문헌
김석환(1978) 『현토주해 훈민정음』한맥
김석환(1997) 『훈민정음 연구』한신문화사
박창원(2005) 『훈민정음』신구문화사
세종대왕기념사업회(2003) 『훈민정음』
이근수(1995) 『訓民正音新硏究』보고사
이상혁(2004) 『훈민정음과 국어연구』역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