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서문에 반영된 언어학 이론

 1  훈민정음 서문에 반영된 언어학 이론-1
 2  훈민정음 서문에 반영된 언어학 이론-2
 3  훈민정음 서문에 반영된 언어학 이론-3
 4  훈민정음 서문에 반영된 언어학 이론-4
 5  훈민정음 서문에 반영된 언어학 이론-5
 6  훈민정음 서문에 반영된 언어학 이론-6
 7  훈민정음 서문에 반영된 언어학 이론-7
 8  훈민정음 서문에 반영된 언어학 이론-8
 9  훈민정음 서문에 반영된 언어학 이론-9
 10  훈민정음 서문에 반영된 언어학 이론-10
 11  훈민정음 서문에 반영된 언어학 이론-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훈민정음 서문에 반영된 언어학 이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0. 훈민정음
1. 예의(例儀)편
3. 初聲解(초성해)
4. 中聲解(중성해)
5. 終聲解(종성해)
7. 용자례(用子例)

본문내용
0. 훈민정음
(1)훈민정음
①‘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라는 뜻으로, 1443년 세종이 창제한 우리나라의 글자.
②정인지 등이 세종의 명으로 새로 창제한 훈민정음을 설명한 한문 해설서.
1997년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음.

(2) 훈민정음의 구성
①훈민정음 해례본 : 집현전 학사들이 중심이 되어 만든 ‘한문해설서’ . 훈민정음 원본
예의(例義) : 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목적을 밝힘(어제 서문). 문자를 제시하고 음가를 한자의 예로 설명. 초성 중성 종성을 합하여 음절을 구성하는 방법, 당시 국어의 성조에 대해 설명하고 있음
해례 : 창제의 과정과 원리 및 실제적인 운용에 대해 설명
제자해,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등 6개부분
정인지 서(序) :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와 이유, 훈민정음의 우수성과 훈민정음 해례를 쓰게 된 배경과 세종대왕의 우수성에 대해 기술, 해례본의 편찬자와 편찬일

명기.
②훈민정음 언해본 : ‘말을 번역하다’라는 뜻으로 한자 원본인 훈민정음을 한글로 번역.
③훈민정음 예의본 :해례와 예의가 모두 포함된 해례본과는 달리 예의부분만 들어있는 것.
단행본이 아닌 《세종실록》,《월인석보》등에 실려 있음.


1. 예의(例儀)편
(1)훈민정음 어제 서문

창제 목적: 중국과 우리나라 문자의 차이 인식 (자주 정신)
문자 생활을 영위하지 못하는 백성들에 대한 배려 (애민정신)
사용하기 쉽고 편리한 문자 제작 ( 실용 정신)


(2)한자를 빌어 음가를 설명
초성 : 'ㄱ·ㅋ·ㅇ, ㄷ·ㅌ·ㄴ, ㅂ·ㅍ·ㅁ, ㅈ·ㅊ·ㅅ, ㆆ·ㅎ·ㅇ, ㄹ,' 17글자
중성 : 'ㆍ, ㅡ, ㅣ,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 11자
종성: 초성의 글자를 다시 쓰라고 명시.

초성 : 牙音 ㄱ(君군) ㄲ(虯뀨) ㅋ(快쾌) ㆁ(業)
舌音 ㄷ(斗두) ㄸ(覃땀) ㅌ(呑) ㄴ(那나)
脣音 ㅂ(彆별) ㅃ(步뽀) ㅍ(漂표) ㅁ(彌미)
齒音 ㅈ(卽즉) ㅉ(慈짜) ㅊ(侵침) ㅅ(戌슐) ㅆ(邪싸)
喉音 ㆆ(挹) ㅎ(虛허) ㆅ(洪) ㅇ(欲욕)
半舌音 ㄹ(閭려) 半齒音 ㅿ(穰)
중성 :ㆍ(呑) ㅡ(卽즉) ㅣ(侵침) ㅗ(洪) ㅏ(覃땀) ㅜ(君군) ㅓ(業업) ㅛ(欲욕) ㅑ(穰) ㅠ(戌슐) ㅕ(彆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