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지식

 1  인간과 지식-1
 2  인간과 지식-2
 3  인간과 지식-3
 4  인간과 지식-4
 5  인간과 지식-5
 6  인간과 지식-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간과 지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인간과 지식
목 차
I. 읽기자료
I-1. 여러분에게 원숭이 같은 면이 많이 남아 있는가?
I-2. 지식과 믿음
I-3. 책의 철학-고독한 성찰과 불안한 의심의 극장
II. 토론주제
I. 읽기자료
읽기자료 1. 여러분에게 원숭이 같은 면이 많이 남아있는가?
사람과 가장 닮은 동물 원숭이. 모든 사람들은 누구나 조금씩의 원숭이 같은 면을 가지고 있다. 사람들이 원숭이 같은 면을 드러내는 방식은 무척이나 다르고 그 정도도 ‘엽기’와 ‘천재’의 사이를 오가며 매우 다양하다. 우리들은 이 두 극단 사이의 어디쯤에 자리 잡고 있을까?
우리는 생리학과 동물행동학에서 원숭이와 인간의 공통점을 찾는 것에 대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생리학적으로 원숭이와 인간은 똑같은 자연적 욕구를 느낀다. 먹고 마시고 자는 것, 이것은 태어날 때부터 인간에게 씌워진 자연적인 굴레이고 하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받는 가장 기본적 욕구이자 본능이며 인간의 몸은 동물과 마찬가지로 연료를 규칙적으로 보충해야 유지되는 기계와 같은 원리로 움직인다. 또한 영장류나 인간은 똑같이 활발한 성적 욕구를 느끼는데 이 욕구는 개인의 생존이 아닌 종족의 보존을 위해 필요한 것이다. 자연적 욕구와는 다르게 건강과는 별개의 문제이나 만약 사람들이 모두 금욕 생활을 한다면 인류의 생존은 그 자체가 위협받을 것이다. 동물들과 인간은 방식은 다르지만 같은 목적을 가지고 이른바 ‘짝짓기’를 한다.
동물행동학적 측면에서는 어떨까? 여기서는 인간과 동물 사이의 공통적인 행동방식의 존재에 대해 알 수 있다. 인간은 의식과 자율성,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자연의 흐름을 따른다. 자연 상태의 동물들이 싸움을 통해 서열을 정하고 지배와 복종 관계를 철저하게 따르듯이 인간 역시 우리 안의 동물적인 면에서 양분을 얻는다. 또한 원숭이들이 가장 자신 있는 부분을 보여주거나 이빨을 드러내고, 소리를 지르는 등의 방식으로 자기를 과시하는 것처럼 인간들은 옷을 잘 차려입고 자신을 한껏 치장해 다른 사람들과는 다른 장점을 최대한 이용한다.
하지만 인간들은 자연적 욕구에 대처하는 방식에서 동물과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원숭이들은 잔인한 동물적 본성에 사로잡혀 그대로 행동하지만 인간은 이 본성에서 부분적, 혹은 완전히 벗어날 수 있다. 이러한 인간들의 방식을 ‘문화’라고 한다. 인간은 동물과는 다르게 자기 의지와 자유, 결정할 수 있는 능력에 따라 행동을 선택하며 필요에 따라 성적 욕구를 자유롭게 조절하고 여러 문화를 만들어 낸다. 자연적 욕구의 극복 역시 그렇다. 인간은 일차적 욕구를 해결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욕구를 좀 더 근사하게 채울 수 있는 여러 방식을 도모한다. 엄격한 규칙을 덧붙여 욕구에 지적, 정신적이 가치를 담아 삶을 더 풍부하게 만드는 것이다.
결국 인간과 원숭이를 근본적으로 구분 짓는 점은 정신적인 욕구다. 자연적 욕구나 행동방식의 측면에서 원숭이와 인간은 구분하기가 매우 어렵다. 하지만 인간은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문화적 기교를 사용하여 삶을 더 풍부하게 만든다. 게다가 인간은 특유한 지적 활동을 벌인다는 점에서 존재 자체부터 근본적으로 구분된다. 인류를 인류로서 규정하는 기준인 언어. 여기서 언어란 입으로 발음하는 것 뿐 아니라 의사를 전달하고 소통하는 수단이다. 언어로 인간은 수많은 가치들에 이름을 붙힐 수 있다. 또한 추상적인 무언가를 추구하고 구분하는 것, 이는 오로지 인간의 두뇌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우리가 지식을 계속 쌓아가면 우리 내부의 원숭이 같은 면은 점점 줄어든다. 우리가 자연적 욕구를 채우는 걸로 만족하고 본능적 충동에 따른다면 정신적인 욕구의 힘을 느끼지 못한 채 우리 내부의 원숭이를 밖으로 내보내게 될 것이다. 인간은 모두 원숭이 같은 면이 있다. 우리는 까마득히 먼 옛날부터 물려받은 자연적 욕구와 본능을 이겨내기 위해 마일 같이 고군분투하고 있다. 철학은 우리를 이 싸움터로 이끌며 손에 무기를 쥐어주는 학문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