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량강화 Empowerment & 강점관점 Strength Perspective

 1  역량강화 Empowerment & 강점관점 Strength Perspective-1
 2  역량강화 Empowerment & 강점관점 Strength Perspective-2
 3  역량강화 Empowerment & 강점관점 Strength Perspective-3
 4  역량강화 Empowerment & 강점관점 Strength Perspective-4
 5  역량강화 Empowerment & 강점관점 Strength Perspective-5
 6  역량강화 Empowerment & 강점관점 Strength Perspective-6
 7  역량강화 Empowerment & 강점관점 Strength Perspective-7
 8  역량강화 Empowerment & 강점관점 Strength Perspective-8
 9  역량강화 Empowerment & 강점관점 Strength Perspective-9
 10  역량강화 Empowerment & 강점관점 Strength Perspective-10
 11  역량강화 Empowerment & 강점관점 Strength Perspective-11
 12  역량강화 Empowerment & 강점관점 Strength Perspective-12
 13  역량강화 Empowerment & 강점관점 Strength Perspective-13
 14  역량강화 Empowerment & 강점관점 Strength Perspective-14
 15  역량강화 Empowerment & 강점관점 Strength Perspective-15
 16  역량강화 Empowerment & 강점관점 Strength Perspective-16
 17  역량강화 Empowerment & 강점관점 Strength Perspective-17
 18  역량강화 Empowerment & 강점관점 Strength Perspective-18
 19  역량강화 Empowerment & 강점관점 Strength Perspective-19
 20  역량강화 Empowerment & 강점관점 Strength Perspective-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역량강화 Empowerment & 강점관점 Strength Perspective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역량강화 (Empowerment)
* 강점 관점 (Strength Perspective)
1. 역량강화의 발생배경
2. 역량강화의 역사적 변천과정
3. 역량강화의 사회복지실천과정
4. 역량강화의 적용 예시
5. 역량강화의 비판적 견해(한계점)
목 차
Chapter 1 역량강화의 발생 배경
3
진단주의 사회복지실천 방법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
: 개인을 증상에 따라 범주화 하고 환경적 상황의 구성요소들을 무시하며 개인을 비난했던 진단적인 모델을 비판
서비스 개입과정에서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 존중을 최대화 하는 관점으로 클라이언트는 도움의 방향과 자신의 삶의 중요한 전환적 결정을 스스로 만들 수 있도록 지지를 제공 받는 것이다. (이효선 2012)
역량강화란?
개념적 틀: 생태체계 관점과 강점 시각 (생태체계적 관점을 기초하면서 강점을 철저히 지향)
(장인협 2004)
4
CT
CT의 문제에 중심
과거지향(과거탐색)
치료적인 접근
전문가의 진단을 통한 해결
사회복지사 중심의 문제해결
병리적 중심
사회복지사의
역할
CT
CT의 해결점 발견, 강점 강화
CT의 현재와 미래 중심
동기부여, 강점 접근
CT 스스로 문제를 해결
문제해결을 위한 정보, 지식
제공
스스로 해결 할 수 있도록
도움
사회복지사의
역할
1. 진단주의
2. 역량강화
※힘의 불균형과 수직관계에 의해 개인의 권리와 결정권을 충분히 보장 받지 못하는 현실
불평등, 억압이 존재한다고 생각함.
Chapter 1 역량강화의 발생 배경
Chapter 2 역량강화의 역사
5
1. 인보관 운동 (settlement house movement) 기원
2. 1920년대 ~ 1930년대 진단적인 모델 중심- 프로이드
3. 1950년대 초반 ~1960년대
: 개인, 집단, 지역사회에 대한 강점 확인의 중요성 언급
: 진단적인 모델 기반을 둔 당시의 실천 대안으로 제시
4. 1970년대
: 임파워먼트 용어와 실천적 적용으로서 빛을 보게 된 시기
: 생태이론과 체계이론의 영향으로 ‘환경 속의 인간’이라는 시각이 강조되면서
임파워먼트 개념 재 부각
5. 1990년대 이후
: 실제적인 실천에 적용 되어야 할 개념으로 강조
: 공공복지영역, 자원봉사기관, 지역사회기관, 사회운동단체 등에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