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한류열풍,한류문화] 대만사회 속 한국드라마

 1  [졸업][한류열풍,한류문화] 대만사회 속 한국드라마-1
 2  [졸업][한류열풍,한류문화] 대만사회 속 한국드라마-2
 3  [졸업][한류열풍,한류문화] 대만사회 속 한국드라마-3
 4  [졸업][한류열풍,한류문화] 대만사회 속 한국드라마-4
 5  [졸업][한류열풍,한류문화] 대만사회 속 한국드라마-5
 6  [졸업][한류열풍,한류문화] 대만사회 속 한국드라마-6
 7  [졸업][한류열풍,한류문화] 대만사회 속 한국드라마-7
 8  [졸업][한류열풍,한류문화] 대만사회 속 한국드라마-8
 9  [졸업][한류열풍,한류문화] 대만사회 속 한국드라마-9
 10  [졸업][한류열풍,한류문화] 대만사회 속 한국드라마-10
 11  [졸업][한류열풍,한류문화] 대만사회 속 한국드라마-11
 12  [졸업][한류열풍,한류문화] 대만사회 속 한국드라마-12
 13  [졸업][한류열풍,한류문화] 대만사회 속 한국드라마-13
 14  [졸업][한류열풍,한류문화] 대만사회 속 한국드라마-14
 15  [졸업][한류열풍,한류문화] 대만사회 속 한국드라마-15
 16  [졸업][한류열풍,한류문화] 대만사회 속 한국드라마-16
 17  [졸업][한류열풍,한류문화] 대만사회 속 한국드라마-17
 18  [졸업][한류열풍,한류문화] 대만사회 속 한국드라마-18
 19  [졸업][한류열풍,한류문화] 대만사회 속 한국드라마-19
 20  [졸업][한류열풍,한류문화] 대만사회 속 한국드라마-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사회계열
  • 2005.11.23
  • 32페이지 / hwp
  • 2,800원
  • 84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졸업][한류열풍,한류문화] 대만사회 속 한국드라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서 론
1. 문제제기
2.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배경
3. 논의의 범위 및 방향
제2장 본론
1. 대만 시청자의 인구 사회학적 속성
2. 한·일 드라마의 양적 비교
3. 한·일 드라마의 질적 비교
제 3장 결론
1. 결론 및 우리 드라마가 나아가야 할 방향
2. 본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류’는 최근 중국, 홍콩, 대만 등 동아시아 지역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일어나고 있는 ‘한국 대중문화 열풍’을 의미한다. 2002년 12월 24일에 출판된 ‘신화(新華) 신사어사전(新詞語詞典)’에 한국 문화의 조류(潮流)를 뜻하는 한류(韓流)가 신조어로 들어갔다.(홍콩경제일보)
즉, 한국의 음악이나 TV드라마, 영화 등을 통해 소개되는 인기 연예인을 동경하고 한국 대중문화를 모방하고 배우려고 하는 문화현상을 말한다. 3, 4년 전부터 동아시아의 여러 나라에 불기 시작했던 '한류열풍'은 해를 거듭할수록 그 열기가 더해가고 있다. 대만 역시 이러한 한류열풍이 거센 나라들 중 하나로, 지난 2003년 문화관광부 자료에 의하면 한국에서 외국으로 수출한 프로그램 품목들 중 드라마의 수출량이 가장 많았으며 한국 프로그램을 수입한 나라 중에서 대만이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사실 대만시청자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외국의 문화 상품을 많이 소비하고 있었으며, 얼마 전까지만 해도 가장 많이 즐겨보는 외국의 드라마는 일본에서 만들어진 것들이었으나, 최근의 시청률 조사에 의하면 최근 들어 한국드라마의 시청률이 일본드라마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드라마 뿐 아니라 대중음악의 영역에 있어서도 한류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1960년대까지만 다른 대부분의 아시아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대만에서도 미국의 팝음악이 가장 큰 인기를 끌었으나, 1970년 들어 주변부적인 음악들 (대만의 대중음악) 이 고개를 들더니 미국 팝 음악과 경쟁을 하기 시작했는데 1980년대 중반에 대부분의 젊은이들은 더 이상 미국 팝 음악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관심도 없게 되었으며, 이는 아시아에서 지역적 문화산업이 건설되기 시작하고 일종의 초국가적 흐름이 생겨났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를 보여주는 일례로 대만에서는 홍콩영화 산업이 새롭게 주목을 받게 되었고, 일본의 문화적 식민화를 경험하였으며, 최근 몇 년 사이에는 한국의 '한류(寒流)'나 '합한(哈韓)'같은 대중음악 열풍이 불기 시작했다.
참고문헌
유상철, 『한류 DNA의 비밀 - 소프트 파워, 소프트 코리아의 현장을 찾아서』, 생각의 나무, 2005

윤재식, 『방송 영상 콘텐츠 제작․투자 및 성과』,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2

윤재식, 『한류와 방송 영상 콘텐츠 마케팅 : 베트남, 태국 시장 확대 전략』04-16,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4

이은희, 북경 오도구 한류체험관 총체규획,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환경조경학과, 2003

장수현 外, 『중국은 왜 한류를 수용하나 : 한류의 중국적 토대에 대한 다학문적 접근』,學古房, 2004

전승은, 『중국의 한류현상의 사회 문화적 의미』, 성균관대 언론정보대학원, 2002

전성흥, 『동아시아의 “한류” ; 대만에서의 “한류”』, 서울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 2002

정윤경, 『아시아 수용자 연구』,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조한혜정 外, 『한류와 아시아의 대중문화』,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