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금`과 `별에서 온 그대`의 성공요인 분석 및 발전방향

 1  `대장금`과 `별에서 온 그대`의 성공요인 분석 및 발전방향-1
 2  `대장금`과 `별에서 온 그대`의 성공요인 분석 및 발전방향-2
 3  `대장금`과 `별에서 온 그대`의 성공요인 분석 및 발전방향-3
 4  `대장금`과 `별에서 온 그대`의 성공요인 분석 및 발전방향-4
 5  `대장금`과 `별에서 온 그대`의 성공요인 분석 및 발전방향-5
 6  `대장금`과 `별에서 온 그대`의 성공요인 분석 및 발전방향-6
 7  `대장금`과 `별에서 온 그대`의 성공요인 분석 및 발전방향-7
 8  `대장금`과 `별에서 온 그대`의 성공요인 분석 및 발전방향-8
 9  `대장금`과 `별에서 온 그대`의 성공요인 분석 및 발전방향-9
 10  `대장금`과 `별에서 온 그대`의 성공요인 분석 및 발전방향-10
 11  `대장금`과 `별에서 온 그대`의 성공요인 분석 및 발전방향-11
 12  `대장금`과 `별에서 온 그대`의 성공요인 분석 및 발전방향-12
 13  `대장금`과 `별에서 온 그대`의 성공요인 분석 및 발전방향-13
 14  `대장금`과 `별에서 온 그대`의 성공요인 분석 및 발전방향-14
 15  `대장금`과 `별에서 온 그대`의 성공요인 분석 및 발전방향-15
 16  `대장금`과 `별에서 온 그대`의 성공요인 분석 및 발전방향-16
 17  `대장금`과 `별에서 온 그대`의 성공요인 분석 및 발전방향-17
 18  `대장금`과 `별에서 온 그대`의 성공요인 분석 및 발전방향-18
 19  `대장금`과 `별에서 온 그대`의 성공요인 분석 및 발전방향-19
 20  `대장금`과 `별에서 온 그대`의 성공요인 분석 및 발전방향-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대장금`과 `별에서 온 그대`의 성공요인 분석 및 발전방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류 드라마의 변천사

2. 드라마 내용 소개
(1) 대장금
(2) 별에서 온 그대

3. 설문조사 결과
(1) 설문조사 통계
(2) 설문조사 결과

4. 중국에서 대장금과 별그대가 성공한 요인의 공통점
(1) 낮은 문화할인율
(2) 차별화된 스토리
(3) 배우의 뛰어난 연기력

5. 중국에서 대장금과 별그대가 성공한 요인의 차이점
(1) 매체 - TV와 인터넷
(2) 접한 경로 - 우연과 지인의 권유
(3) 드라마를 보는 접근 방식의 차이 - 유교적 입장에서 바라보는 시각과 도교적 입장에서 바라보는 시각, 그리고 새로운 형식의 드라마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사전에 명시된 의미에 따르면 ‘한류’란, ‘한국문화의 조류’, 혹은 ‘한국의 경제· 문화 등이 주변국가와 지역, 특히 중국에 광범위하게 미친 영향’이다. ‘한류’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1997년 중국의 CCTV에서 한국 드라마 가 방송된 후 큰 인기를 얻으면서 중국의 대표 일간지 《북경청년보(北京靑年報)》에서 한국 대중문화 열풍에 대하여 “한류”라고 일컬은 데서 비롯된다. 유세경 외2, 『중국 일간지의 “한류” 보도에 나타난 프레임 분석: 2001년~2010년 기간에 보도된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57호, 2012년, p.202
중국 언론매체에서 처음으로 사용된 한류라는 표현은 지난 수년간 우리 언론매체들의 단골 메뉴가 되어왔다. 그들은 신문과 방송을 통해 한류를 언급하며, 한국 대중문화가 중화권과 동남아시아뿐만 아니라 우리보다 앞선 일본이나 문화적 거리가 먼 중앙아시아 부근에서도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장수현,『중국의 한류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학고방, 2006년, p.227-228

이렇게 한류는 홍콩, 대만, 중국, 일본, 베트남, 필리핀 등 아시아 대부분의 지역에서 흥행하였는데, 그 중 한국드라마의 경우에는 특히 중국에서 영향이 매우 컸다고 할 수 있다. 장규수, 『한류와 아시아류』,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년, p.32
중국에서는 이후에도 와 , , 등 한국 드라마의 인기가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 그리고 2000년대 초반, 중국에서의 한국드라마 열풍은 2005년 9월 1일 후난(湖南)위성방송에서 이 방영되면서 절정에 다다랐다. 은 중국 전역에서 모든 연령대의 사랑을 골고루 받으며 한국드라마 신드롬을 일으켰다. 중국정부에서 발행된 『중국방송시청연감』 2006년판에서 조사된 시청률 변화를 살펴보면, 9월 1일 방영 이전 22:00 시간대 시청률은 1.15%였으나, 방영 중에는 5.35%까지 올라갔으며, 의 종영 이후에는 다시 시청률이 0.9%로 떨어졌다고 한다. 강내영, 『중국의 항(抗)한류 현상 연구: 드라마와 영화를 중심으로』, 중국학연구 제43집, 2008년, p.458

그러나 2000년대 후반, 이러한 한국드라마 열풍은 2006년 이후로 반(反)한류와 함께 중국 내 드라마채널의 시청률이 급감하기 시작하는 등 난항을 겪기 시작하였고, 꽤 오랜 기간 동안 중국 내에서 한국드라마들은 빛을 보지 못한 채 한류가 저물어가는 듯하였다. 2005년 한국이 중국시장에 수출한 한국드라마의 계약 총액은 931만 달러에서 2006년 798만 달러, 2007년 529만 달러로 계속해서 감소하며 한국드라마에 대한 반성을 불러 일으켰다. 한국콘텐츠진흥원 중국연구소, 14호, 2012년, p.3-4

하지만 2013년, 중국 내 한국드라마의 부진이 계속되던 가운데에서 한국드라마는 과 로 다시 한 번 도약에 나선다. 특히 2013년 12월 18일에 첫 방영된 는 그 주에 아이치이(爱奇艺)와 PPS에서 클릭 수 1,000만 회를 넘어섰고, 이후 10억을 넘어서 2013, 2014년 가장 인기 있는 한국 드라마로 등극하게 되었다. 이러한 클릭 수는 이제까지의 한국드라마를 통틀어 가장 많은 수이며 기존에 한국드라마를 좋아했던 사람들은 물론이고 한국 드라마를 보지 않았던 모든 사람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쳤다. 한국콘텐츠진흥원 중국연구소, 5호, 2014년, p.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이 분야 인기자료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