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례 성례전 정의와 의미

 1  세례 성례전 정의와 의미-1
 2  세례 성례전 정의와 의미-2
 3  세례 성례전 정의와 의미-3
 4  세례 성례전 정의와 의미-4
 5  세례 성례전 정의와 의미-5
 6  세례 성례전 정의와 의미-6
 7  세례 성례전 정의와 의미-7
 8  세례 성례전 정의와 의미-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세례 성례전 정의와 의미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세례 성례전 (Sacraments of Baptism)
1. 견진 (Confirmation)
정의 : 초대 교회에서 세례 이후 곧바로 뒤따라오는 의식에서 유래했다. 이 의식은 감독의 기도와 도유와 십자가 표식, 그리고 안수 등으로 구성된다. ‘견진’(confirmation)이라는 말은 세례에서 이루어진 일을 감독이 비준한다는 의미로 이해된다.
20077232 한명수 | 20067220 백승렬
종교 개혁자들은 중세기에 시행되던 ‘견진’을 그리스도께서 제정하신 것이 아니라고 하면서 거부하고 물세례만으로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가톨릭의 경우, 7성사 안에 ‘견진성사’가 있다. 가톨릭의 견진성사 안에는 성령칠은이 있으며 이를 통해, 세례성사 이후에 성령의 은혜를 받는 성사이다. 이는 견진 성사는 세례 성사를 통해서 받은 은혜를 굳건하게 해주고 증대시키어 교회와 세상에 더욱 봉사하며 우리의 증거생활을 통하여 성숙한 신앙인으로 다시 성장토록 하는데 목적을 둔다. (참고 : http://sacrament.catholic.or.kr/KJ/Kj_first.htm)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앙고백’이 한 사람이 온전한 구성원으로서 교회에 참여하는 것에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이 때, 유아 세례를 받은 사람들은 공적으로 신앙을 고백하고 언약의 공동체로 들어갈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다. 이로써 현대에는 교회의 정회원으로 들어가는 것을 ‘견진’이라고 부르며 현대 개신 교회들은 견진을 받는 당사자는 자기가 유아 세례를 받을 때 자기를 대신해서 다른 사람들(부모, 후견인, 교회)이 해 준 그 서약을 확인하는 것이라고 이해한다.
의미 : 견진은 한 사람의 수세자가 제자도에 의한 성숙한 참여를 하기 위해 첫째, 자기가 받은 세례에 관해 인격적 책임을 지겠다는 것을 공족으로 수용하는 행위고 둘째, 유아 때 세례를 받은 사람은 유아세례시의 서약과 약속을 확인 하는 것이며 셋째, 신앙의 공동체를 향해 온전한 분량의 책임성을 갖게 되는 의식이다. 이런 점에서 견진이 어느 정도 세례를 완성해 가는 과정으로 이해 될 수 있다. 그러나 적극적으로 견진을 세례의 완성이라고 보는 견해에는 약간의 문제점이 있다. 왜냐 하면 세례는 그렇게 두 개의 분리된 요소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며, 동시에 세례를 완성하기 위해서 세례 받는 사람이나 또는 교회 대표가 다른 어떠한 행위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2. 교리문답 (catechism)
정의 : 교리문답은 기독교의 기본적 교리를 질의 응답 형식으로 엮은 책이나 또는 가르침을 말한다. 초대 교회에서 회심하여 개종하는 자들에게 구전의 형태로 교육한 것이, 중세 시대에 주기도문과 사도신경 등을 설명한 교리서로 출판되었다.
내용 : 종교 개혁 시대에서는 교육의 강조로 그 이전에 비하여 훨씬 많은 교리서가 출판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 소요리문답(1529, 루터),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Heidelberg Katechismus)이 1563년에 출판되었으며, 1647년에는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Westminster Larger Catechism)이 출간되었다. 한국 개신교에서는 학습의 형태로 새 신자들을 교육하고 있으며, 장로교의 경우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이 세례를 받기 위한 준비 교육으로 사용된다.
3. 도유 (Anointing, chrism, Unction)
정의 : 도유는 성별된 기름을 몸 전체 또는 일부에 바르는 의식을 지칭하는 말이다.
시행 : 첫째, 세례 의식에서 물세례에 들어가기 직전에 일종의 준비 의식으로 세례 후보자에게 기름을 바르는 경우에 행한다. 둘째, 병자에게 도유하는 것으로서, 아프거나 약한 부위에 발라 준다. 이는 초대교회에서 보편적인 의식이었지만 중세기에 서방 교회에서는 환자가 죽을 때 이를 시행하여‘종부성사’(Extreme Unction)라고 불렀다. 셋째, 견지 예식에서 도유를 한다. 이 때 사용되는 기름은 보통 성유(christm)라고 부르는 것으로 일종의 크림이나 연고 같은 형태인데 성분은 올리브나 방향(balm) 같은 종류로 되어 있다. 이 외에도 고위 성직의 임직식에서도 도유가 시행되기도 한다. 또한 동방 정교회에서는 고도로 장엄한 의식에서 도유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