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와 더월 작품 해석 보고서

 1  피아노와 더월 작품 해석 보고서-1
 2  피아노와 더월 작품 해석 보고서-2
 3  피아노와 더월 작품 해석 보고서-3
 4  피아노와 더월 작품 해석 보고서-4
 5  피아노와 더월 작품 해석 보고서-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피아노와 더월 작품 해석 보고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피아노 ] & [ 더 월 ] 작품해석
Ⅰ. 피아노
1993년 - 칸느 영화제- 와 공동으로 그랑프리를 수상
1994년 -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홀리헌터 (에이다)
여우조연상(아카데미 역사상 최연소 수상 타이 기록) - 안나 파퀸 (플로라)
각본상- 제인 캠피온 (감독)

어머니는 작가이자 배우이며, 아버지는 연극과 오페라 감독인 예술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빅토리아 대학에서 인류학을 전공하고 호주의 시드니 칼리지에서 미술을 공부한다. 단편영화인 로 깐느영화제 단편영화 부문 황금종려상을 수상하였으며, 평론가들에게 여성 데이빗 린치라는 평을 듣게 한 첫번째 장편영화 로 깐느 영화제 경쟁부문에 선정, LA 비평가 상을 비롯한 국제영화제에서 인정을 받았다. 이후 자넷 프레임의 자서전을 극화한 로 90년 베니스 영화제 7개부문 수상을 비롯해 4대 국제 영화제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그러나 뭐니뭐니 해도 그녀의 이름을 확실히 알린 작품은 93년 작 이다. 이 작품은 그녀에게 93년 깐느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과 함께 94년 아카데미 9개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어 3개부문을 수상하는 등 30여개의 국제 영화상을 수상했다. 여성, 가족에 대한 묘사에 탁월한 식견을 가진 그녀의 영화는 감각이 돋보이는 낭만적인 열정과 에로티시즘으로 주조를 이룬다. 특히 은 자기 스스로의 적극적인 삶을 찾고 싶은 여성의 자율 의지와 사랑의 실체를 풀어간 수작으로 평가된다

19세기 말 미개척지 뉴질랜드. 거센 파도가 몰아치는 해변가에 피아노 한 대와 두 모녀가 서있다. 20대의 미혼모 에이다(Ada: 홀리 헌터 분)는 자신의 아홉살난 사생아 딸 플로라(Flora: 안나 파킨 분)를 데리고 얼굴도 모르는 남자와 결혼하기 위해 이 낯선 땅에 도착한 것이다. 에이다는 여섯살때부터 침묵을 선택한 채 살아왔다. 그녀가 세상과 대화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는 피아노와 그녀의 딸 플로라이다. 원주민과 함께 모녀를 데리러온 에이다의 남편 스튜어트(Stewart: 샘 닐 분)는 에이다의 생명만큼 소중한 피아노를 무겁다는 이유하나로 해변가에 버려두고 집으로 향한다. 버려진 피아노를 옮기기 위해 에이다는 문신을 한 얼굴에 글조차 읽을 줄 모르는 남편의 친구 베인스(Baines: 하비 키텔 분)의 도움을 받는다. 베인스는 에이다가 피아노를 치는 동안 자신이 원하는 어떤 행동이든 할 수 있도록 허락한다면 피아노를 돌려주겠다고 약속한다. 이 협상은 이들을 점점 더 복잡한 감정과 성적 욕망의 소용돌이 속으로 몰고 간다. 결국 에이다와 베인스는 원시의 땅 뉴질랜드를 배경으로 비밀스럽고 열정적인 사랑에 빠지게 된다. 그러나 이 사실을 알게된 스튜어트는 질투와 분노에 휩싸여 에이다의 손가락을 잘라버린다. 베인스는 자신의 모든 땅을 스튜어트에 주고 에이다와 플로라 그리고 피아노와 함께 뉴질랜드를 떠난다. 바다를 건너는 중간에 에이다는 피아노를 바다에 버리고 의수를 차고 말도 배우며 베인스와 행복한 가정을 이룬다.

영화에서 에이다와 베인즈의 관계를 단지 갇혀진 자신의 분출구역할을 하는 에로티시즘, 즉 성욕으로 보는 견해도 있고 이 영화가 페미니즘 영화다 아니다 말이 많다.
페미니즘(feminism)은 남녀동등권을 목표로 여성의 사회적, 정치적, 법률적 권리를 확장하고자 하는 주의이다. 페미니즘적 영화 연구와 제작은 1970년대 초반부터 유럽과 미국에서 활발히 이루어졌다. 영화, 특히 할리우드 상업영화에 등장하는 여성이 실제 여성에 비해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의해 크게 왜곡되었다는 비판에서 출발한 페미니즘영화는 여성의 주체적 자아를 강조하며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나뉜다.
첫번째는 남성의 여성에 대한 성적 폭력과 피해를 고발하는 영화로, 성폭력의 묘사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사건의 해결과정에서 여성의 인권과 인간성이 왜곡되는 풍조와 사회통념을 비판하는 데 중점을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