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의 사상을 중심으로

 1  정약용의 사상을 중심으로 -1
 2  정약용의 사상을 중심으로 -2
 3  정약용의 사상을 중심으로 -3
 4  정약용의 사상을 중심으로 -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약용의 사상을 중심으로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정약용의 사상을 중심으로
호남실학의 핵-정약용의 사상을 중심으로
◎다산(茶山) 정약용
(1762-1836 영조38-헌종2)
조선 후기 실학 집대성을 한 학자
정약용은 1762년에 광주군 초부방 마현리에서 지금은 경기도 남양주시 능내리으로 불리는 곳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나주 정씨로서 경상남도 진주 목사을 지낸 정제훈이었으며, 어머니의 해남 윤씨로써 정약용은 넷째아들로 태어났다. 정약용은 15세에 1살 연상인 풍산 홍씨와 결혼하였고, 서울에 있는 처가에서 살면서 실학의 선구자 성호 이익을 접하게 되고, 당시 중앙의 벼슬아치들 백성들의 생활에 안중에도 없이 당파싸움과 세도정치에만 골몰하며, 뇌물을 받고 노비를 풀어주고, 군역을 면제시켜주는 등 사회의 부조리 한 모습을 보면서 자신의 학문의 방향을 잡기 시작했다.
정약용은 22세때 진사시험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갔으며, 이 때 당시의 임금인 정조에 눈에 띄어 인정을 받게 되고 28 세때에 문과에 급제하여 본격적인 벼슬살이를 시작하였다.임기중 기중가설을 지어 수원성수축에 기여하였고, 1794년 경기도 정약용은 암행어사로서 관리들의 폭정을 고발하여 처벌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관리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깨닫게 되었다.
정약용을 보호해 준 방패막이자, 동시에 경전에 관해 서로 토론하고 잘못된 점을 비판하였던 학문적 스승이자 친구이자, 나라를 바로 세우기 위해 의기투합하였던 정치적 동지였던
정조가 1800년에 사망하자, 신유박해 때 그를 카톨릭 신자라고 하여, 자신의 매형인 이수훈 (조선 천주교 최조 영세사)와 정약종은 처형되었고, 자신의 형인 정약전은 유배되었으며, 자신 또한 전남 강진으로 18년간 유배되었다. 그곳에서 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 마과회통, 상서지원록, 매씨서평, 상서고훈 등 500여권의 실학관계 서적을 완성했으며, 경학관계연구서 232권을 비롯하여 시와 문으로도 뛰어난 저서를 많이 남겼다.
◎왜 우리는 다산 정약용에 대해서 알고자 하는가?
국가 경영에 대한 새로운 비전의 제시와 사람 살이의 근본에 대한
성찰과 탐구가 절실한 시점에 실사구시의 정신으로 근세 실학을
집대성하여 시대의 이정표를 제시했던 정약용의 학문과 사상을 재조명함으로써
이 시대를 위한 새로운 좌표설정의 바탕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산 정약용의 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