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 철학과 무위자연

 1  도가 철학과 무위자연 -1
 2  도가 철학과 무위자연 -2
 3  도가 철학과 무위자연 -3
 4  도가 철학과 무위자연 -4
 5  도가 철학과 무위자연 -5
 6  도가 철학과 무위자연 -6
 7  도가 철학과 무위자연 -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도가 철학과 무위자연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도가 철학과 무위자연
1.도가의 의미
1) 도가(道家)의 의의
도가 혹은 도가철학은 일찍이 기원전 2,500년경 유가와 비슷한 시기에 발생하였다. 그리하여 중국철학의 2대 지주로서 당나라 때까지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유가는 물론 법가묵가명가 등 중국의 모든 학파에 영향을 미쳤다. 도가라는 명칭은 도(道)를 우주 만물을 생성하는 궁극적 실재로 보아 그들의 사상을 전개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것으로 노자가 창시하고 장자가 크게 발전시켰다고 해서 노장철학(老莊哲學)이라고도 한다. 그런가 하면 황제와 노자의 학이라는 뜻으로 황노학(黃老學)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유가를 유학 혹은 유교라고 하는 것처럼 도가를 도학(道學) 혹은 도교(道敎)라고도 한다. 도가라는 명칭은 학파를 가리키는 말로서, 사마담이 최초로 쓰기 시작하여 오늘날까지 사용하고 있으며, 도학이라는 명칭은 도에 관한 학문 혹은 도가철학의 뜻으로 쓰여 왔는데(《수서》경적지), 송대의 유학 곧 신유학을 도학(道學; 도통을 계승한 학문이라는 뜻)이라고 부르게 되어 도가를 지칭하는 말로는 쓰지 않게 되었다. 이재권 지음, 《도가철학의 현대적 의의》, 11면.
원래 도(道)자는 머리 혹은 근원을 의미하는 수(首)자와 쉬엄쉬엄 간다는 착()자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글자로서 명사로는 길의 의미로 쓰였으며, 동사로는 ‘이끌다’, ‘통하다’, ‘말하다’ 등의 뜻으로 쓰였던 것이, 그 후 방법과정기술질서원리원칙이유 등의 뜻으로 확대되었다. 정진일 지음, 《도가철학 개론》, 17~20p
2) 도가와 도
중국철학에서 도(道)는 중요한 의미범주 가운데 하나이며, 도가에서는 도가를 규정하고 특징짓는 핵심개념이다. 원시 도가는 중국 고대사회의 사상체제 속에서 도를 핵심으로 하는 천도(天道)와 인도(人道)의 양대 법칙을 제시했다. 여기서 천도는 자연무위에 의해 구체적으로 그 의미를 묘사했고, 인도는 순기자연에 의해 그 의미를 구체적으로 성립시켰다. 전자는 도가에서 자연론의 기초가 되고, 후자는 도가에서 무위 론의 기초가 된다.
‘도’의 원래의 뜻은 길을 가리키는 것이었으나, 그 후 뜻이 보다 다양해지고 구체적인 형태로 변화, 발전되었다. 선진도가인 노자와 장자의 도를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노자와 장자(이하 노장)는 도가 모든 것의 본원이라고 보아, 도를 처음으로 본체의 범주에 올려놓았다. 둘째, 노장은 천도자연에 중점을 두었는데, 이것은 은주시기의 천명관념에서 탈피한, 중대한 의식의 변화를 가져온 사건이다. 의지가 있고 작위적인 천신과 하느님에 대한 부정은, 바로 무의지적이고 자연무위한 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킨, 이성사유가 진일보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노장의 도론(道論)이 비록 오묘하고 심원하기는 했지만, 그들의 도론은 결국 현실 속 인간의 삶으로 귀결 되었다.
결론적으로, ‘도’는 선진도가가 형성되기 전부터 존재하여 왔고, 그 의미 역시 철학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선진도가는 기존의 이러한 ‘도’를 자신의 중요한 이론적 기초로 만들었고, ‘도’자체의 철학적 의미를 깊이 발전시켰다. 이처럼 선진도가는 기타 다른 사상의 영향을 받으면서 그것을 받는 것에 그친 것이 아니라 그것을 자신의 사상적 특징으로 만들었다.
3) 도가와 무위(無爲)
‘무’라는 것을 단순히 없다라고 보기에는 그 함축하고 있는 뜻이 실로 다양하고 복잡하다. 첫째, 있거나 잃어버렸거나 혹은 아직 나타나지 않은 무가 있다. 둘째, 없는 것 같으면서 실제로는 있는 무도 있다. 셋째, 인류의 인식과정 속에서 만들어진 절대적인 무공(無空)의 관념이 있다. 하지만, 앞에서 말한 첫째와 셋째의 의미는 아니다. 노자가 말하는 무의 개념은 둘째의 개념, 실제로는 있지만 없는 듯 한 무를 지칭한다. 노자가 살던 시기와 장자가 활동했던 시기는 중국역사에서 가장 혼란스러운 시기 가운데 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가 노자와 장자의 사상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전쟁의 동란으로 시체가 들에 가득하고, 백성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지배자는 그들의 욕심을 채우기 위해 혈안이 되어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자가 무위의 다스림을 주장한 것은 “천하에 하지 말라는 것들이 많아지면 백성은 더욱 궁핍해지고 백성들에게 이로운 기물이 많아지면 국가는 점점 혼란해지고, 사람들에게 기교가 많아지면 기이한 것들이 점점 생겨나고, 법령이 많아질수록 도적이 늘어난다”-{노자 57장}는 것을 자신이 살던 시대에 직접 목격했고, 그 속에서 유위(有爲)의 부작용과 무위의 필요성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노자는 이러한 사회현실을 우려하여 “내가 무위하면 백성이 스스로 변화되고, 내가 고요함을 좋아하면 백성이 스스로 바르게 되고, 내가 일을 만들지 않으면 스스로 순박하게 된다.”고 여겨 ‘무위’를 강조했다. 결국 노자에게 무위는 소극적 자세와 태도가 아니라, 당시 사회의 잘못된 점을 고치고 바꾸어 나아가는 현실 개혁의 한 방편이었다. -장자-이르러 무위는 다소 소극적인 면으로 발전한다. 즉, 노자의 무위가 사회와 정치에 기반을 두고 있다면, 장자의 무위는 이것을 초월한, 초탈의 세계에서 논의된다. 무위에 이르는 방법적인 문제에서도 장자는 노자와 같이 적극적인 무위의 방법을 주장하기보다, 정신적 초월을 더 강조했다. 김덕삼 지음 68~77p 경인문화사
2. 도가사상의 발전 및 변천
-노자
1) 무위의 덕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