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과 사회 - 충서사상, 권도

 1  개인과 사회 - 충서사상, 권도 -1
 2  개인과 사회 - 충서사상, 권도 -2
 3  개인과 사회 - 충서사상, 권도 -3
 4  개인과 사회 - 충서사상, 권도 -4
 5  개인과 사회 - 충서사상, 권도 -5
 6  개인과 사회 - 충서사상, 권도 -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개인과 사회 - 충서사상, 권도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개인과 사회 - 충서사상, 권도
1. 충서의 개념 이철승, 「유가철학에 나타난 충서(忠恕)관의 논리 구조와 현실적 의미」, 2008.
전통적으로 유가에서는 자기에게 본래적으로 갖추어져 있는 순수하게 선한 도덕의식을 온전히 드러내는 것을 충으로 여기고, 자신의 충을 다른 사람에게 순수하게 미치는 것을 서로 여긴다. 선험적인 도덕의식의 발현을 중시하는 전통 유가의 이러한 관점은 충과 서를 별개의 영역이 아니라, 긴밀하게 관계하는 영역으로 간주한다. 곧 이러한 관점에 의하면 개인의 도덕 질서에 해당하는 충의 영역과 사회의 도덕 질서에 해당하는 서의 영역을 유기적인 관계로 설정하면서 개인과 사회의 바람직한 관계 형성을 통해 도덕 의식을 중심으로 하는 공동체 사회 건설을 중시한다.
이러한 관점은 다른 사람의 아이를 자기 아이를 사랑하듯이 대하고, 다른 사람의 부모를 자기의 부모에게 효도하듯이 대하여, 세상 사람들을 모두 자기의 동포로 여기기를 요청한다.
1) 충의 개념
공자는 증자(曾子)에게 말했다.
“삼아, 내 도는 하나의 원칙으로 일관되어 있다(吾道一以貫之)!”
“예, 알고 있습니다.”
공자가 나가자 다른 제자들이 증자에게 물었다.
“무슨 말씀입니까?”
“선생님의 도는 오직 충, 서일 따름입니다.”
→ 증자는 여기에서 하나로써 관통하는 공자의 도를 충서로 여겼다. 공자는 『논어』에서 충을 말하면서도 충이 무슨 의미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그는 충을 진실, 충실, 믿음, 정성스러움, 말, 효도, 사랑, 공경, 섬김, 관계, 평상심 등의 의미와 연계하여 언급했다. 이는 마음을 진실하게 하여 공손한 태도로 생활하는 것과 같은 도덕적 의미로 설명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그의 관점에 의하면 ‘충이란 태어날 때부터 갖추어진 진실한 마음을 다함’이라는 의미와 깊게 관련된다.
『주례소(周禮疏)』에는 충을 중심(中心)으로 여겼는데 朱熹, 『論語集註』,「里仁」, “朱子曰中心爲忠……見周禮疏如比也.”
참고문헌
6. 참고문헌
이철승, 「유가철학에 나타난 충서(忠恕)관의 논리 구조와 현실적 의미」, 2005
이철승, 「『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 2010